• Title/Summary/Keyword: 신호품질

Search Result 817, Processing Time 0.069 seconds

A Signal Quality Measurement Algorithm for CDMA2000 1x Reverse-link (CDMA2000 1x 역방향 링크의 신호 품질 측정 알고리즘)

  • Kang, Sung-Ji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6
    • /
    • pp.997-1004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 signal quality measurement algorithm for CDMA2000 1x terminal. The proposed algorithm is suitable to be implemented in software on a PC-based platform and extract the received signal after carrying out equalization, PN code acquisition and tracking, frequency and phase offset compensation with 4-oversampled input signal. Then, through despreading and demodulation with the extracted signal, the proposed algorithm regenerate the reference signal to be used in measurement. The signal quality is measured using this regenerated signal and the extracted signal.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품질 개선 성과

  • 김남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32
    • /
    • 2023
  • 전국 항만, 연안해역의 항로표지에 해양기상 및 조류신호표지를 구축하여 국지적 해양관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품질분석과 관계자간 간담회를 통해 얻은 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사항들을 통해 정상자료율을 높여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였다.

  • PDF

The Prediction of Electric Field Intensity from DTV Transmitting Signal (DTV 송신 신호의 전계강도 예측에 대한 연구)

  • Suh, Kyoung-Whoan;Lee, Joo-Hwan;Jung, Hyuk;Choi, Sung-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384-387
    • /
    • 2010
  • 지상파 방송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됨에 따라 아날로그 TV 방송신호와 디지털 TV(DTV) 방송신호간의 생성과 복조방식이 상이함에 따라 전파환경에 의한 방송품질의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DTV 방송신호의 수신을 위한 전파 음영지역 해소가 품질 확보에 필수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타당성 및 신뢰성 있는 전계강도 예측 방법에 근거하여 적정지역의 송신소 및 중계기 설치가 전파 품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적으로 30 MHz ~ 3000 MHz 대역 지상파 방송서비스의 전파특성 예측에 활발히 이용되는 ITU-R 권고 P.1546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점-대-지역 전계강도 예측을 위한 계산 방법을 제시하고, 수치 계산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한다. 제시된 방법은 DTV 수신지역의 전계강도 예측을 통한 신호의 품질 분석은 물론, 양호한 전파환경 구축에 필요한 중계기 위치설정, 인접대역에 의한 간섭 및 양립성 분석 등에 직접 활용이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GPS signal environment at DGNSS stations using TEQC (GPS 자료 품질평가를 이용한 기준국 신호환경분석)

  • Sohn, Dong-Hyo;Park, Kwan-Dong;Kim, Du-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19-320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 해양교통시설과 위성항법중앙사무소가 운영하고 있는 DGNSS 기준국의 신호수신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자료의 TEQC 품질평가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TEQC는 GPS 수신기로 관측한 원시자료를 RINEX형식으로 변환 편집하고, 관측자료의 품질을 점검하는데 이용하는 GPS 전처리 소프트웨어이다. TEQC 품질점검 기능을 통해 GPS 관측자료의 데이터수신율, L1과 L2 신호의 의사거리 다중경로오차, 사이클슬립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였고, 이를 현장조사결과와 상호 비교하였다. 장기 관측 자료의 TEQC 품질지수 결과를 통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관측소의 주변환경 및 장비변화 시점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Weld Monitoring System in Aluminum Laser Welding for Car Body Application (자동차 차체 적용을 위한 알루미늄 레이저 용접에서 용접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Park, Young-Wha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1-111
    • /
    • 2009
  •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의 차원에서 자동차 업체는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위한 차체의 경량화가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화 소재를 이용하여 차체 조립에 투입하고자 연구 중에 있다. 이와 같은 레이저 용접 공정이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용접부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품질을 판단하여야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AA5182 알루미늄 판재의 용가 와이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에서 용접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는 4kW급 Nd:YAG 레이저를 사용하였고, 차체용 알루미늄 판재 AA5182 1.4t를 AA5356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센서로는 반응 범위가 190 mn~680 nm인 센서를 이용하였고, 용접 중 센서로부터 발생된 출력전류를, 신호 증폭기와 DAQ 보드를 통해 초당 10,000 samples/sec로 계측하였다. 다양한 용접조건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계측된 신호와 용접 품질은 비선형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용접 품질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퍼지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법과 계측 신호를 이용한 인장강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병렬로 품질평가를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측된 신호와 용접 품질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퍼지 규칙 베이스 정의하였고, 신경회로망 모델을 이용하여 인장강도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품질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레이저 용접부의 품질평가가 가능한 GUI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of the SDMB service in the border adding time delay to the satellite signal (위성신호 Delay추가를 통한 위성DMB 서비스 경계지역 품질개선)

  • Min, Man-G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5
    • /
    • pp.1279-1283
    • /
    • 2008
  •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DMB) needs Gap Fillers(GFs) to cover the non-service areas. However, SDMB mobile phones which are not located in GFs service area receive signals directly from the satellit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ver all SDMB service with GFs. Therefore, there is a border between the GFs service coverage and the satellite service coverage and it causes a time delay in signals which are from the GFs or the satellite. The time delay is the reason why SDMB service deteriorates. In this paper, I show how to reduce the deterioration of SDMB service in the border area between the GFs and the satellite adding the time delay to the satellite signal and the GFs signal. I think that this method is helpful in reducing the deterioration,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s of SDMB service, which the GFs are not spread all over the nation yet.

Modeling and Analysis of Delay Bound for Voice Traffic in the IEEE 802.11 Wireless LAN (IEEE 802.11 무선랜에서 음성신호의 딜레이 바운드에 관한 분석)

  • Choi, Won-Suk;Kim, Yo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1485-1488
    • /
    • 2003
  • IEEE 802.11 무선 랜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이 효과적으로 전송퇴기 위해서는 정해진 딜레이 바운드내에서 전송이 완료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트래픽인 음성신호를 전송할 때의 단방향 딜레이 바운드는 echo canceller를 쓰지 않았을 경우 $25ms{\sim}30ms$ 이다. 딜레이 바운드를 지키지 못하고 전송된다면 시간에 민감한 음성신호의 특성 때문에 음성품질이 유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채널의 혼잡을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품질이 보장되는 기준을 95%이상의 패킷이 성공적으로 전달되는 경우로 제한하여 음성의 딜레이 바운드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음성패킷이 drop될 확률을 수학적인 분석을 통해 유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IEEE 802.11의 두 가지 기본적인 MAC(Multiple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인 DCF와 PCF를 사용해서 음성신호를 전송할 때 딜레이 바운드를 지키지 못하는 음성 패킷을 사전에 drop 시킴으로써 몇 개의 음성 노드가 손실율 5% 이내 (음성의 품질이 유지되는 한계)를 만족시키는지를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STA 수와 손실율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Broadcasting Signal Monitoring System (다매체 방송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Suh, Young-Woo;Yim, Zungkon;Park, Sung-Ch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39-40
    • /
    • 2015
  • 방송망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을 위해 다양한 측정 및 모니터링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신호의 특징상 송신 장비의 열화가 진행되더라도 수신 장비의 채널 복호 및 오류정정, 다양한 형태의 페이딩(fading) 간섭으로 인해 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운영 인력의 축소, 관리 대상 매체의 증가 등 방송사의 인력관리의 문제등도 감안할 때, 다양한 매체의 종합적인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집약적이고 시간 지속적인 측정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다매체 다채널 방송 환경에서 효율적인 측정 및 모니터링을 위해 집적화된 형태의 방송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매체의 튜너를 하나의 제어기에 연결하고 이를 스케줄링 기법에 의해 순차적으로 측정한 후 방송 품질의 핵심 파라미터 측정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단기 및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일간, 월간, 연간 신호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시간 및 계절에 따른 신호 품질의 변화 및 순간적인 방송 신호의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송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 PDF

Power Signal Compression Technique Using DCT (DCT를 이용한 전력신호 압축 기법)

  • Kim, Dae-Bong;Oh, Jong-Myung;Hong, Chan-Yung;Lee, Kyeong-Pyo;Lee, Myung-Sik;Park, Min-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05-106
    • /
    • 2011
  • 전력계통에서 비선형부하와 시변부하 사용의 증가 및 분산전원의 보급 증가로 전력품질(power quality)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전력계통에서 전력품질은 전력신호를 통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력신호 상시 관측을 통한 전력품 모니터링은 많은 신호 데이터양이 필요하여 전력 신호 압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호 압축 성능이 우수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기법을 이용하여 전력신호를 압축,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보드를 통해서 압축 저장 된 신호를 오차 범위 5% 이내로 복원한다. 따라서 정전과 같은 이벤트(event)가 발생하였을 때 특정시간, 장소에서의 전압과 전류 파형을 볼 수 있게 한다. IEC 61000-4-30, IEEE std 1159에 근거하여 Matlab 프로그램 상에서의 성능을 평가하고 DSP보드를 이용하여 DCT를 이용한 데이터압축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Power Signal Monitering System with Compression Storage and Reconstruction (압축 저장 및 복원기능을 가지는 전력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 Bae, Hyeon-Deok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9 no.2
    • /
    • pp.148-154
    • /
    • 2016
  • In recent year, the interests of PQ is increase due to the increasing of non-linear load and distributed power sources in power system. For the parameters det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of PQ, and the PQ improvement method, continuous power signal monitering is needed. In this paper, the power signal 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method is suggested for power signal monitering. The power signal is compressed using DCT that has good compression performance, and the compressed signal is reconstructed through IDCT. And for the higher compression rate, DCT coefficients are arranged by magnitude in compression process, and in recouction process DCT coefficients are rearranged to original frequency position. The synthesized signal according to the IEC standard is used used in 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simulations.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verified by comparing the error between synthesized signal and reconstructed sig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