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호제어장치

Search Result 645,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The Preliminary Study of Odorant Induced fMRI using an Apparatus of Smell Stimulation Controller (후취자극 제어장치를 이용한 후각 fMRI의 기초연구)

  • 강원석;백문영;이현용;신운재;정순철;민병찬;김재형;은충기;문치웅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2
    • /
    • pp.157-16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후취자극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후각자극에 대한 인간의 뇌의 활성화 영역을 뇌기능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fMRI)장치로 측정 또는 가시화하고 이의 임상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우선 후각에 이상이 없고 코 수술 경험이 없는 오른손잡이 피험자 4명을 대상으로 5번에 걸쳐 Echo Plannar Imaging(EPI)에 의한 혈액산소농도의존(blood oxygen level dependent : BOLD)법을 이용하여 후각자극에 의한 뇌기능자기공명영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후각자극은 MRI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후취제어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제시된 향은 천연 향의 일종인 lavender-like fragrance를 사용하였다. 향의 제시는 후각의 피로도를 감안하여 3회의 휴식기관과 2회의 자극기간을 각 30초씩 번갈아 시행하였으며, 동시에 5초 간격으로 각 절편 당 30 영상을 연속적으로 획득하였다. Correlation법으로 0.4∼0.7의 문턱치(threshold)범위에서 통계 처리된 뇌의 활성화 영상은 EPI영상과 같은 부위의 T1 강조영상에 overlapping 시켰다. 호흡에 의한 artifact를 제거하기 위해 실험실에 만든 장치로 호흡을 측정하여 post-processing 할 때 반영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fMRI 영상의 신호변화를 관찰하여 활성 영역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후각자극에 의해 뇌의 전두엽 피질(frontal cortex), 소뇌(cerebellum), 그리고 뇌교(pons)에서 활성화된 신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측두엽(temporal lobe)과 뇌섬(insula)에서도 의미 있는 신호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일차 후각영역인 piriform cortex와 entorhinal cortex, amygdaloid complex, 그리고 이차후각영역인 orbitofrontal cotex에서는 그다지 많은 빈도로 신호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BOLD법을 이용한 fMRI에 의하여 후각자극에 대한 뇌의 활성화영역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후각자극에 대한 뇌의 기능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량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andby mode function control circuit for power supply (대기모드 기능을 내장한 전원 장치 제어 회로)

  • Park, Hyun-Il;Kim, Hyoung-Woo;Kim, Ki-Hyun;Seo, Kil-Soo;Han, Seok-B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196-1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가전 및 사무용 전원장치가 대기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IC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PWM IC는 전원장치가 정상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 전원장치 출력단에서 피드백 받은 신호의 크기에 따라 40 ~ 60kHz의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를 내보내고, 대기모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최소 33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내보내도록 설계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의 듀티비는 정상상태인 경우에는 20 ~ 88%,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에는 1%이내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 결과 대기모드 상태에서 전원장치의 전력소모량은 0.2W 정도로 작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ension and the Tension Control for a Wire Rope (와이어 로프 제조공정의 장력 계측과 제어에 관한 연구)

  • 박성수;홍순일;윤정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12a
    • /
    • pp.217-220
    • /
    • 2000
  • 현재, 선박용 로프제조에서 로프의 제조 공정은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어 작업의 효율화와 품질의 균질화를 위해서 최적의 장력제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와이어 로프 제조공정의 자동화이고 로프의 제조 공정에서 장치는 로프를 릴에 감아 올릴 필요성은 거의 없기 때문에 케이블을 풀어주는 속도와 로드셀에 의해 장력을 검출하고 장력을 발생하는 하드웨어 구성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수형 와이어 로프(Catenary Rope)의 동적 모델링을 작성한다. 이 시스템에 대하여 교류서보 전동기를 이용한 장력 발생장치를 모델링한다. 현수형 시스템의 장력 계측 장치는 하중 변환기(load cell)를 사용하고 수학적 모델링을 행한다. 장력 계측 장치에 관해서 스프링 저울을 이용해 출력을 비교 검토한 결과, 인장력을 계측하는 장치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Electro-magnetic measuring system for head rotations (전자기학적 방법을 이용한 머리운동 측정 시스템)

  • 남문현;김정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6.10a
    • /
    • pp.652-657
    • /
    • 1986
  • 본 연구는 시야나 머리운동을 구속하지 않고 수평 및 수직 머리운동을 측정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Helmholtz 코일을 적절히 구성하여 균일 자계를 발생시키고 탐지 코일을 이용하여 머리운동의 동적 특성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는 신호처리 장치를 구성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다른 연구결과와 비료 고찰하였다.

  • PDF

A Interface Card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Remote Control (원격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카드 설계 및 구현)

  • 김호중;전흥구;최관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57-60
    • /
    • 2000
  • 기존의 로컬호스트 환경에서 사용되었던 입출력 장치 제어프로그램을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기존의 스크립트 언어만으로 제어하였던 방법 대신에 자바를 이용하여 동적인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카드를 설계하고 LED, LCD, Switch 등을 연결한 후 동작 상태를 클라이언트에서 자바애플릿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nterface of Level crossing signal equipment in on-board signal mode (차상신호시스템에서의 건널목 신호보안설비 인터페이스)

  • KIM Yong-Kyu;BAEK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1451-1453
    • /
    • 2004
  • 본 논문은 기존선 전철화 및 속도 향상 관련 건널목 신호보안 설비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는 건널목 경보제어기, 정 시간 제어장치, 조차장 또는 역 주변에서의 건널목 운영 방안, 전철화에 따른 건널목 인명 및 신호보안 설비 보호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또한 2004년부터 시작된 기존선 차상신호시스템 도입에 따라 기존의 건널목 신호보안 설비와 차상신호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분석하였다.

  • PDF

Port-Fuel Injection Design Development of the Small Size Engine (소형엔진의 전자분사장치 설계개발)

  • Park,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21-924
    • /
    • 2010
  • 기존의 소형엔진은 캬브레이터 연료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연비 및 배기가스 성분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하여 전자분사장치를 장착하기위한 설계 및 작동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형엔진은 저가의 범용 동력장치로서 전자화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어장치 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화를 위해서는 크랭크 축과 캠축의 위상각 신호를 통하여 연료분사와 점화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통례이나 본 연구에서는 크랭크 축의 CPS센서와 흡기포트의 압력변동을 이용하여 연료분사와 점화를 제어하는 기구와 장치를 설계 개발하였다. 본 장치는 저가의 범용 엔진에 적용이 가능하며 제어반복성에도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

A Method for Reduction of Spurious Signal in Digital RF Memory (디지털 고주파 기억 장치에서의 스퓨리어스 신호 저감 방법)

  • Kang, Jong-J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2 no.7
    • /
    • pp.669-674
    • /
    • 2011
  • In this paper, a method for reduction of spurious signal in Digital RF Memory(DRFM) is proposed. Spurious response is a major performance issue of DRFM. This method is based on mixing a random phase LO signal into input IF signal and sampling it. The random phase LO signal is generated by high speed phase shifting characteristic of Direct Digital Synthesizer(DDS). Through this technique, we achieved an enhancement of 5~10 dB of spurious response.

산업용기계.기구의 전자파 안전대책

  • 정재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15-320
    • /
    • 2003
  • 최근 산업용 기계·기구 및 설비는 과거 아날로그 제어방식에서 전자회로를 이용한 디지털 제어방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어장치가 소형화퇴고, 기능의 다양화 및 초정밀 제어가 가능해 졌다. 그러나 각종 전자파 잡음 발생원이 많아지고 기계장치의 제어에 약한 신호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전자파 장해로 인한 산업재해와 생산차질, 불량품생산 등 여러 부작용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선진국의 경우 전자파 적합성(EMC)에 대한 규제대상과 안전기준을 점점 강화하는 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가전제품, 통신장비 등은 전파법,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등으로 오래 전부터 전자파 안전대책을 의무 규정화하여 규제하교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