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정보

검색결과 1,255건 처리시간 0.032초

웹 환경을 통한 신체상태정보 획득에 대한 설계 (Design of Obtaining Body State Information on Web Environment)

  • 이현창;서신림;신성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133-135
    • /
    • 2013
  • 신체 정보에 대한 신체 상태정보 획득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만연함에 따라 센서 기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신체정보 획득이 신속하고 정확하며, 대량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기술에도 불구하고 정보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각각의 기기에 따라 다른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 정보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한의학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체의료정보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 PDF

IoT 환경에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리듬 패턴분석 엔진 설계 (Physical Rhythm Pattern Analysis Engine Design For Effective Health Management In IoT Environment)

  • 신윤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158-16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신체, 감성, 지성의 생물시계 또는 체내시계라고 일컫는 바이오리듬 PSI 학설 중에서 신체리듬에 대해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신체리듬 PRV 엔진을 제안한다. 이 엔진은 IoT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동적으로 신체리듬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되는 신체리듬 패턴은 신체의 건강관리에 대한 능동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며 실시간으로 신체리듬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생체 데이터는 나이와 성별, 유전적 특징과 외부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신체리듬의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만 있다면 이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리듬 패턴분석 엔진을 제안하여 질병 예방 및 관리에 보다 철저하게 대비하여 고령화 사회에서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심박수를 활용한 교통수단별 신체활동 정보 분석 연구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by Transportation Mode Using Heart Rate)

  • 정은비;유소영;유승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0-115
    • /
    • 2020
  • 최근 각종 센서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자료수집이 용이해졌으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활동에 대한 기록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이 가능한 개별 이용자 이동정보, 신체활동 정보 분석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보제공을 위한 기초 분석을 수행하고, 개별 신체활동 정보를 제공하였다. 교통수단별 신체활동 분석은 자료수집, 기초 통계분석, 신체활동 정보 분석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20-30대 성인남녀 4명을 피험자로 모집하여 상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Fitbit을 통해 교통수단 이용에 따른 신체활동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신체활동 정보 중 심박수를 이용한 예비심박률(%HRR: Percentage of Heart Rate Reserve)을 도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수단별로 예비심박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보를 이용하는 경우 신체활동 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추후 이용자에게 신체활동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분석으로, 동일한 기종점에 대한 서로 다른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신체활동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향후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 마련,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을 통한 청소년 신체활동 게임 어플리케이션 기획 및 GUI설계 (Youth Physical Activity Game Application Planning and GUI Design using Smartphone)

  • 김도현;안수지;이연정;한세진;박정규;박수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2-184
    • /
    • 2017
  • 최근 신체비활동 증가에 따른 청소년의 운동부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신체활동량 증진을 위하여 스마트폰 게임을 기획 및 개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은 '게임'이라는 흥미적 요소를 통해 청소년의 지속적인 어플리케이션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있다. 또한 GPS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모션 인터렉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청소년의 신체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방법을 제시한다.

  • PDF

반복 최근접점와 파티클 필터를 이용한 인간 신체 움직임 추적 (Human Body Motion Tracking Using ICP and Particle Filter)

  • 김대환;김효정;김대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12호
    • /
    • pp.977-985
    • /
    • 2009
  • 본 논문은 빠르게 움직이는 인간 신체를 추적할 수 있는 실시간 인간 신체 움직임 추적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반복 최근접점(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듬은 효율적이고 계산량이 적어 실시간 인간 신체 움직임 추적에 적합하지만 잘못된 최근접점(Closest point) 선택으로 인해 국부적 최소점(Local minimum)에 쉽게 빠지게 되어 종종 추적에 실패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반복 최근접점 알고리듬에 움직임 이력(Motion history) 정보를 기반으로 한 파티클 필터 (Particle filter)를 결합한다. 제안하는 인간 신체 움직임 추적은 계층적 트리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신체 추적 공간 크기를 줄여주며, 움직임 이력 정보를 이용한 움직임 예측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빠른 인간 신체 움직임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인간 신체 움직임 추적이 정확한 추적 성능과 빠른 수렴 속도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스마트카드 시스템 (Customer's Body Metric Record for Ubiquitous Smart Card System)

  • 경진희;조동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77-580
    • /
    • 2006
  • 상품을 구입할 때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적용한 스마트카드를 이용하는 것은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현재의 E-business 시스템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사람의 신체는 모든 부분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 측정 기준을 가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스마트카드는 바디 메트릭을 저장하기위해 적절한 저장장치이고, 그것과 관련된 컨텐츠의 자바 애플릿의 검색이나 업데이트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만약 고객의 신체 정보가 모바일 스마트카드에 저장되어 사용된다면, 그것은 상거래 프로세스에 효율적인 확장을 가져올 것이다. 이 논문은 웹 브라우저와 자바 임베디드 스마트카드사이의 일정한 접근 인터페이스를 개발, 제공하기위한 자바카드 웹 서비스의 프레임워크를 설명할 것이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인체식별정보를 사용한 스마트카드 애플릿 (Using Body Metric for Smart Card Applet in Ubiquitos)

  • 경진희;조동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116-2117
    • /
    • 2006
  • 상품을 구입 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담은 스마트카드를 이용하는 것은 전자상거래시장의 E-business 시스템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사람의 신체는 모든 부분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 측정기준을 가지고 있다. 가장 주목할만한 점은 스마트카드는 신체 식별정보를 저장하기위한 적절한 저장장치이며, 관련된 컨텐츠와 자바 애플릿의 검색 및 업 데이트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만약 고객의 신체 정보가 모바일 스마트카드에 저장되어 사용된다면, 그것은 상거래 프로세스에 효율적인 성장을 가져올 것이다. 고객들은 항상 자신의 요구보다 더 좋은 만족도를 원하기 때문에, 모바일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그러한 고객들에게 빠른 응답과 최상의 아이템을 살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XML 스키마와 자바 애플릿을 이용하여 신체 식별 정보를 이용한 상품 구매의 새로운 방안을 제안 할 것이다.

  • PDF

로컬모션정보와 글로벌모션정보를 이용한 제스처인식 (Gesture Recognition using Combination of Local and Global Information)

  • 이현주;이칠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277-27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입력 시퀀스의 각 영상으로부터 신체 영역을 분리한 후 신체 영역의 2차원 특징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먼저, 샘플 영상들로부터 구한 2차원 특징 벡터들의 통계적 정보를 주성분 분석법으로 분석하고 제스처 모델 공간을 구성한다. 입력 영상들은 미리 구성된 모델과 비교되어지고 각각의 영상은 모델 공간의 한 부분으로 심볼화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심볼 시퀀스로 형상화되어진 영상 시퀀스는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을 이용하여 하나의 제스처로 인식된다. 우리가 이용하는 2차원 특징 정보는 대략적으로 신체의 어느 부분이 움직이는지를 알 수 있는 로컬정보와 전체적인 신체 모션의 정보를 나타내는 글로벌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실세계에서 적용하기 용이하고, 좋은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준지도학습 기반 LDL-콜레스테롤 예측의 정확도 개선 (Improving the prediction accuracy for LDL-cholesterol based on semi-supervised learning)

  • 양수빈;김민태;권수빈;우나현;김학재;정태경;이성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53-556
    • /
    • 2022
  • 이상지질혈증의 발병에 대한 조기 진단 및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상지질혈증의 진단은 혈액계측 정보 중에서 네 가지 LDL, HDL, TG, 그리고 TC를 이용하여 진단하며,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해서는 LDL을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나이, 성별, 그리고 BMI와 같은 신체계측 정보를 학습하여 LDL-콜레스테롤을 예측하기 위한 준지도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기반 기계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얕은 학습(Shallow Learning)기반의 MLP(Multi-Layer Perceptron)을 이용하고, 이상지질혈증 진단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신체계측 정보로 예측된 HDL, TG, 그리고 TC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기계학습을 이용한 예측방법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즉, 제안방법은 신체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혈액계측 정보의 LDL, HDL, TG, 그리고 TC을 각각 예측하고, 신체계측에 혈액계측의 예측 정보를 추가하여 학습한 준지도학습 기반 얕은 네트워크를 설계한다. 실험결과, HDL, TG, 그리고 TC의 혈액예측 정보를 이용한 준지도학습 기반 LDL 예측 정확도는 71.4%로 신체계측 정보만을 이용한 예측 방법의 67.0% 보다 약 4.4%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웹 환경에서 비주얼 인터페이스를 통한 신체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getting Body State Information through a Visual Interface on Web Environment)

  • 이현창;서신림;신성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129-131
    • /
    • 2013
  • 현대의학의 발전에 힘입어 의료정보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한의학의 정보화는 매우 빠르게 확장 및 향상 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의학에 비하여 한의학의 의료정보 활용은 상대적으로 적은 게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 정보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한의학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체의료정보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신체 통증부위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웹 환경에서 비주얼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획득 설계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