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ep learning-based conduit water level prediction for Shinwol underground stomwater tunnel operation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운영을 위한 딥러닝 기반 관거 수위 예측)

  • Choi, Hyeonseok;Yoon, Sun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8-418
    • /
    • 2021
  •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은 2010년 집중호우로 침수피해가 발생한 강서구 및 양천구의 저지대 침수문제 해결을 위해서 양천구의 지하 50m 깊이에 설치한 직경 10m, 길이 3.6km, 저류량 32만톤 규모의 지하 대심도 저류 터널이다. 해당 시설은 강우 발생시 유역의 중상류 하수관에서 횡월류 수문을 통해 우수를 저류터널로 유입 및 저류하고, 하류에 위치한 목동 빗물펌프장과 연계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재 시설의 운영은 유입부 인근에 설치된 수위계를 통해 수문 가동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며, 운영 기준 및 매뉴얼은 서울기술연구원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고도화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측 수위 기반의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운영을 자동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딥러닝 기반의 RNN, LSTM, GRU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입부 관거 수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모델의 개발 및 검·보정을 위해 2010년부터 유역 내 구축되어 있는 강우 및 하수관 수위 자료와 목동 빗물펌프장 운영자료를 활용하였다. 현재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은 2020년 5월 준공되어 절대적인 자료 축적 기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향후 지속적인 강우-수위 모니터링을 통해 모델을 고도화하여 시설의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 PDF

Evaluation and Analysis on the Effects of Flood Damage Mitigation according to Installation on Deep Underground Rainwater Tunnel (대규모 터널형 빗물저류배수시설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저감 효과 평가 및 분석)

  • Myung Hoon Lee;Jun Han Bae;Jun Bae Hong;Soo Jin Moon;Ji Hyeok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5-365
    • /
    • 2023
  • 우리나라는 지리, 지형 및 기상특성으로 인해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자연재해 피해를 입고 있으며, 재해예방사업의 일환으로 1998년부터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을 통해 자연재해로부터 침수, 유실, 붕괴위험 등 피해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도시화로 인한 우수침투 가능지역 감소와 유역경사 부족에 따른 충분한 관거 경사확보의 어려움으로 저지대에 노면수가 집중되면서 대규모 침수피해(2010. 09, 2011. 07)가 발생되었으며, 신월·신정지구 및 화곡2지구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선정(2011. 04), 침수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국내 최초의 대규모 터널형 빗물저류배수시설(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을 준공(2020. 05)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 설치에 따른 상습침수구역의 사업 전·후 침수피해 저감효과 검증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을 구축하여 서울시 방재성능목표 확보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기존 설계 당시 서울시 방재성능목표(30년 빈도, 95mm/hr)는 확보되었으나 이를 초과하는 강우(2010. 09, 98.5mm/hr)가 발생함에 따라 수행된 추가 분석(100mm/hr) 결과, 유역의 침수 완전해소를 위해서는 빗물저류배수시설과 더불어 국부적인 간선관거 개량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출모형 구축 시 최근 개선된 하수관로, 지형특성, 홍수량산정표준침(2019, 환경부)등에 따른 수리·수문특성을 반영하고, 신일펌프장(간이)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현재 기준에서의 침수피해 저감 효과를 면밀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서울시 방재성능목표 뿐만 아니라 100mm/hr에도 침수가 완전 해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월빗물저류배수터널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평가 및 분석결과를 통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해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안전·환경효과, 주민만족도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하여 상습침수구역 내 주민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신월빗물저류배수터널에 대한 만족도가 충분히 제고된 만큼 향후 시설의 기능적, 운영적 측면에서의 유지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침수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구현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optimal operating standards for deep stormwater storage-drain facilities for urban flood defense. (도시유역 홍수방어를 위한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 최적운영기준 산정기법 개발)

  • Yoon, Jun-Seo;Moon, Hyeon-Tae;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4-284
    • /
    • 2022
  • 최근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기후는 연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는 한국 강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도시화된 대도시의 배수 시설 능력 부족은 돌발 강우, 국지성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야기한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의 경우 대심도 저류배수터널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설운영기준 및 매뉴얼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와 같은 시설물에 대한 운영사례가 없고, 시설물 내 복잡한 수리 현상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서·양천 일대에 설치된 대심도 터널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최적운영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유역 강우유출모의에 적합한 XP-SWMM 모형을 활용하여 강우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수직구별 유입유량, 도달시간 등의 유출특성을 반영하고 수문개방시간을 고려한 시설물 운영기준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유역 홍수예방을 위한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 및 시설물 운영 매뉴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stability for stable management prepare continuous flood in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연속강우 대비 안정적 운영을 위한 수리적 안정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 Oh, Jun Oh;Kim, Young Do;Jun, Sang M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6
    • /
    • pp.451-461
    • /
    • 2020
  • Urban flooding due to rapid urbanization has recently become frequent. In this study,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construct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to prevent urban flooding. Experiments were preformed for 55 scenarios, of which 19 overflows occurred. In addition, the video analysis for the scenarios where the overflow occurred showd that the overflow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exhausting the pressurized air in the facility and the undular bore were moving.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judge that it would be advantageous to maintain a completely drained or full-pipe condition for stable operation of the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for continuous rainfall in the future. And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 research on the correlation for the magnitude of inflow discharge, overflow and undular bore.

Characteristics of pressure fluctuation by plunge pool depth of intake facility in deep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 유입시설 감세지 깊이에 따른 압력변화 특성 연구)

  • Jun Oh Oh;Sang Mi Jun;Jea Hyeon Park;Yong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8-108
    • /
    • 2023
  •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인해 도시 내에서 증가하는 홍수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22년 8월 8일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지역에 내린 폭우로 인해 8명 이상의 인명피해와 1300억원 이상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도시홍수를 근본적으로 방어하기 위하여 미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을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1년 서울특별시 강서구 및 양천구에 발생하는 홍수를 방어하기 위하여 국내 최초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건설하여 현재 운영 중에 있다.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은 초기 개수로 흐름에서 만관 후 관수로 흐름으로 전이되는 구조물로 계획과 운영이 매우 어려운 시설이다. 이에 미국, 일본, 중국, 이탈리아 등 국가에서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의 유입시설 중 감세부에 해당하는 수직갱과 감세지의 깊이에 따른 감세지 바닥 압력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감세지 깊이가 깊어질수록 바닥면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바닥면의 압력이 감세지 깊이만큼의 정수압을 포함하는 경우 정수압 대비 최대 2.0배, 정수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정수압 대비 최대 1.0배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직갱 깊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수직갱 깊이가 짧아질수록 압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회전수 및 회전력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수직갱 직경, 수직갱 깊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판단되며 이를 통하여 수직갱 깊이-감세지 깊이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해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 감세지 설계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vertical inlet of inflow characteristics of the Shinwol rainwater storage & drainage system by design condition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의 수직유입구 설계조건에 따른 유입특성 분석 연구)

  • Park, Su Ho;Oh, Jun Oh;Park, Jae Hyeon;Park, Chang K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2
    • /
    • pp.129-138
    • /
    • 2017
  • In this study, the hydraulic model test was performed for the 3 vertical inlets of the Shinwol rainwater storage & drainage system that Seoul City plans to install, and the control discharge value actually measured was analyzed comparing to the value obtained using the theoretical control discharge equation suggested by Yu and Lee (2009). In the results, it was 66~69% compared to the value obtained from theoretical equation showing that the control discharge value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equation is calculated excessively. The sensitivity analysis by design factor was performed using 3 models conducted in this study and 15 hydraulic experiment models conducted in existing research Yu and Lee (2009). The sensitivity analysis of control discharge equation was performed by dividing $Q_{cm}/Q_{cp}$ into 3 ranges. The suggested equation considered only the influence on the tangential intake structure design factor B, z, ${\beta}$, e/B, so ${\theta}$, L considered complex influence suggested equation needed to be more improved.

An experimental study on increased pressure in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by undular bore (불규칙 단파에 의한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내 압력상승에 관한 실험 연구)

  • Oh, Jun Oh;Park, Jae Hyeon;Jun, Sang M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4
    • /
    • pp.303-312
    • /
    • 2020
  • An underground deep tunnel system is a facility in form of a reverse siphon for an under flood defense structure. In this study, the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which is under construction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s of undular bore and pressurized air on the hydraulic stability of the facility in various flood scenarios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undular bore generated downstream pushed the pressurized air collected in the facility while moving upstream, and the pressure inside the pipe increased at this time. It was analyzed that the pressure during the passage of the undular bore wa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tatic pressure and dynamic pressure at the time and overflow occurred whe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pressurized air was more than 40% of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unnel.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correlated with the volume of pressurized air collected in the facility, and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velocity of undular bore and the volume of pressurized air in the futur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undular bore on the hydraulic stability at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불규칙 단파가 신월저류배수시설의 수리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

  • Oh, Jun 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5
    • /
    • pp.313-323
    • /
    • 2019
  • Deep Tunnel system is a large-scale urban flood control facility installed underground in order to reinforce the lack of drainage systems in developed cities. In a structure like a deep tunnel system, the undular bore generated in the downstream causes a problem in the hydraulic stability of the tunnel.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undular bore on the hydraulic stability at the "Shinwol rainwater storage and drainage system", under construc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on various flooding inflow scenarios. As a result of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undular bore generated downstream is trapped in the pipe while moving to upstream, pushes the compressed air. It is judged that overflow occurred by choking the vertical drop shaft in the process when this compressed air is being exhaust through the upstream vertical drop shaft and blocking flood inflow. In addition, the analysis of velocity of undular bore shows that the undular bore transfers energy, and at this time, the pressure rose in the pipe and the velocity increment occurred of the undular b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edict the size and velocity of undular bor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ydraulic stability of the tunnel in the deep tunnel system.

Hydraulic stability evaluation for deep tunnel on continuous precipitation (연속강우에 대한 대심도 터널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 Oh, Jun Oh;Park, Jae Hyeon;Park, Chang Keun;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9-99
    • /
    • 2016
  • 최근 홍수의 특성과 피해 양상은 과거와는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기존 하천유역의 저류 능력이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미 외국에서는 대심도 터널을 활용한 홍수재해 관리방안이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시에 건설중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연속강우 시 대심도 터널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와 운영방안 수립을 위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은 Froude 상사법칙을 사용하여 원형의 1/50크기로 제작하였다. 모형의 전체 저류 가능량은 모형기준 $2.78m^3$ (원형 $347,778m^3$)이며, 터널 내 잔류수는 전체 저류 가능량의 0 ~ 100%까지 10%씩 변화시켜 실험 CASE를 선정하였다. 각 실험CASE별 수직 유입구 안정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터널 내 잔류수가 10%~80%까지 존재 할 때는 저지수직구1에서의 압축공기 폭발현상으로 인한 월류현상이 발생하였으며, 10%~40%까지는 저지수직구2에서 월류현상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고지수직구에서는 모든 CASE에서의 공기폭발 현상 및 월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입성능 및 공기배출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저지수직구1에서의 월류현상 발생 시점은 5분55초에서 3분42초까지 빨라졌으며 저지수직구2에서의 월류현상 발생 시점은 5분57초에서 4분57초로 빨라졌다. 이는 터널 내 잔류수량이 증가할수록 터널 내 만관시점이 빨라져 발생하며, 저지수직구1,2에서의 압축공기 폭발현상 및 월류 현상은 터널 내에서 발생한 반사파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차후 터널 내 반사파 발생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