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뢰성(reliability)

검색결과 8,405건 처리시간 0.036초

DECOVALEX-2019 Task G 소개: EDZ Evolution - 굴착손상영역 평가를 위한 수리전도도 및 투수량계수 측정의 신뢰도, 적합성 및 중요성 (An Introduction to the DECOVALEX-2019 Task G: EDZ Evolution - Reliability, Feasibility, and Significance of Measurements of Conductivity and Transmissivity of the Rock Mass)

  • 권새하;민기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4호
    • /
    • pp.306-319
    • /
    • 2020
  • 사용후핵연료의 심층처분 사업에서는 처분장 주변 모암의 수리역학적 성능을 저하시키는 굴착손상영역의 특성화가 중요하다. 이에 DECOVALEX-2019 프로젝트의 Task G에서는 균열암반 수치해석 모델을 구축한 후 암반 주변의 굴착손상영역의 수리역학적 거동을 모사하고, 구축한 모델로 처분장의 운영 시에 장기적으로 야기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과업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2차원 균열암반 모델을 구축하여 수치해석 기법의 특성을 파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3차원 균열암반 모델로 확장 후 스웨덴 애스푀 지하연구시설(Äspö Hard Rock Laboratory) 내 TAS04 간섭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수치해석 모델을 검증한 후, 세 번째 단계에서는 열과 빙하 하중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여 균열암반의 수리역학적 반응을 순차적으로 확인하였다. 과업의 전 과정에서 유한요소법과 개별요소법으로 균열암반에서의 수리역학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균열의 기하학적 특성을 반영 및 굴착손상영역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각 수치해석 기법에 따라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결정질 균열암반에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을 계획할 시 수치해석 단계에서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방법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의 회수율 평가 (The Evaluation of Recovery Rate of Radioimmunoassay Using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 최성희;신선영;임소희;홍미경;노경운;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58-162
    • /
    • 2014
  • 공인된 기구에 의해 발급된 문서를 동반하는 인증표준물질은 특성값과 추정값의 신뢰정도를 나타내는 연계 불확도, 그리고 측정한 결과가 명시된 불확정 정도의 범위 내에서 국가 측정 또는 국제측정표준에 일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비교하고 교정하는 소급성을 제공하는 표준물질이다. 회수율 검사는 검체를 측정하여 얻은 값이 참값에서 얼마만큼 벗어났는지의 차이를 말하며 키트의 정확도를 반영한다. 이러한 인증표준물질을 가지고 회수율 검사를 하는 것은 체외 방사면역진단키트의 정확성을 보여주며 이러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인증표준물질은 NIBSC (National Institute for biological standard and control, United Kingdom)와 IRMM (Institute for Reference Materials and Measurements, Belgium)에서 구입하였고 검사 종목은 T4, Ferritin, PSA, Prolactin, AFP 그리고 TSH으로 총 6종목이다. T4는 IRMM의 표준물질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종목은 NIBSC의 표준물질을 사용하였다. C-1 (저농도), C-2 (중농도), C-3 (고농도) 3 level로 제조하여 본원에서 사용하는 키트를 이용하여 4회 측정하였다. WHO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회수율 측정에서 T4 90%, Ferritin 88%, PSA 94%, Prolactin 99%, AFP 94%, TSH 93%였다. 6개 종목의 회수율 측정에서 88-99%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핵의학 체외진단키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 연구가 다른 검사실의 키트로 확장되어 검사가 되어야 하고 검사실간에도 교류가 필요하다.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체외진단키트의 회수율 평가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하며 결과의 정확성은 환자의 만족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부산 김해평야 농업지역 친환경농업의 행위자-연결망 연구 (Actor's Role and Networks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in Busan Metropolitan Agricultural Region)

  • 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6-296
    • /
    • 2003
  • 이 연구는 부산 김해평야 농업지역의 친환경농업에서 관련 행위자(actors)들이 어떠한 역할을 부여받으며 연결망을 형성하는가를 연구하고,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s-Network Theory)이 우리나라 농촌 연구에서 지니는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인구지역에서 친환경 농업은 18농가만 수용하고 있어 수도권 등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미약하다. 친환경농업과 관련하여 형성되고, 또한 되어야 할 연결망들은 필수경로(OPP)의 형태에 의해 차단되거나 혹은 분산되어 있었고, 이 결과 지역내에서 연결망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었다. 통과되지 못한 첫 번째 필수경로는 자연(수질 토양 오염)과 부정적인 지역 이미지였다. 두 번째 필수경로는 신뢰도였으며 이 중 농민과 정부관련기관간 신뢰도 결여가 가장 큰 장애요소였다. 이외의 극복되지 못한 필수경로는 유통망 및 정보 결여였다. 연결망에서 이와 같은 필수 경로를 통과하지 못하면, 연구지역에서 친환경농업에서 농민들의 이탈은 가속화될 것으로 사료되며, 작목반도 가까운 시일내에 해체될 것으로 생각된다. 친환경농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부 예산 집행기간의 탄력성, 지역환경에 어울리는 농법 개발과 지역내 행위자들의 협의체 구성을 통한 연결망의 상설 가동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PDF

기독교대학의 핵심역량 측정 도구 개발 사례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Tool of KBU Core Competency)

  • 이성아;남선우;이은철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2권
    • /
    • pp.187-22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의 6가지 핵심역량의 정의를 규명하고, 이에 따라 하위요소를 구성하여 핵심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탐색을 통해서 역량을 정의하였고, 하위요인을 구성하였으며,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에 의해 초안을 개발하였다.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을 위해 K대학 재학생 907명을 대상으로 역량을 측정하였으며, 공인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6개의 핵심역량의 정의를 도출하였고, 각 역량 마다 3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하였으며, 초안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에 의해 개선된 93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신뢰도 검증 결과 문항내적 합치도는 .890~.960사이로 나타났으며, 문항-총점간 상관분석 결과 .80이상의 지나친 상관을 보이는 문항은 발견되지 않아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인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 공인된 측정 도구와의 상관이 보통에서 보통이상으로 나타남으로 공인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rt Water Grid Key Performance Index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 정승권;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5-39
    • /
    • 2020
  • 현재 스마트시티는 전 세계적인 추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워터그리드 조성을 위한 기준이 부재하여 이들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요건과 목표를 설정하고 기존 스마트워터그리드의 한계와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개선할 필요성은 분명하며, 이를 위해 스마트워터그리드 목표에 적합한 인덱스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터그리드의 목표측정과 달성정도 평가가 가능하고, 향후 스마트워터그리드 구축을 위한 이행계획에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SWG KPI)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SWG KPI)를 통해 지속적인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역량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평가결과로 인한 영향력 확보를 통해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SWG KPI)의 신뢰도 향상과 스마트워터그리드 역량평가를 위한 평가 테이블를 제공하여 계획 중인 스마트워터그리드에 대한 성과평가카드(Challenge Evaluation Card) 작성 및 사전평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기술사의 안전의식, 안전행동과 인명안전과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Lif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s of Fire Professional Engineers on Life Safety)

  • 김명철;고한목;박재관;서해열;유병선;유창범;윤해권;주승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112-121
    • /
    • 2018
  • 본 연구는 소방기술사(Fire Professional Engineer)의 안전의식, 안전행동과 인명안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단순회귀 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방기술사의 안전의식이 높아지면 안전행동은 72.1% 상승하고,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이 높아지면 인명안전은 각각 61.5%와 64.5%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행동은 안전의식과 인명안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모든 연구가설(H1, H2, H3, H4)의 채택으로 소방 관련법은 인명안전 중심으로 개정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어, 향후 인명안전을 반영한 분석 자료로 널리 활용 될 것이다.

XLPE 케이블에서 보이드 결함의 부분방전 특성과 위치추정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Localization of Void Defects in XLPE Cable)

  • 박서준;황성철;왕국명;길경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03-209
    • /
    • 2017
  • 전력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각종 전력설비의 예방진단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가스절연개폐장치와 변압기와 같은 단위 기기의 절연진단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전력케이블에 있어서는 단순히 결함의 유무와 부분방전을 측정할 뿐, 세부적 특성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LPE 케이블에서 보이드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과 결함의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이드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4종의 결함계를 모의하였으며, 부분방전펄스는 주파수 대역 150kHz~30MHz의 고주파변류기로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도체에 인접한 결함일수록 방전전하량이 크고, 정극성에 비해 부극성의 방전펄스 수가 약 20% 많게 나타났다. 또한 TDR 방법으로 결함위치를 산출하였으며, 50m 케이블에서 1m 이내로 결함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마음공부 기반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d Practice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 안관수;백현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399-410
    • /
    • 2011
  •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모형 초기에 팀 구성원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마음공부를 이용함으로써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서 첫째,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마음공부 기반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둘째,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모형 초안에 대한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수정 보완한 후 완성된 형태의 최종모형을 구안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을 J시 J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교육과 2학년 학생 총 46명을 대상으로 5주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모형 초안을 적용한 결과 마음공부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팀 재구성 단계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모형안을 구안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학습 수업모형은 팀 구성 시 팀원들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뿐 만 아니라, 이를 통한 학습 분위기 쇄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맨틱 웹 기반 국방무기 다차원 정보 분석 시스템 (Semantic Web based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Analysis System on the National Defense Weapons)

  • 최중환;박정호;김평;이승우;정한민;서동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2-510
    • /
    • 2012
  • 국방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첨단 무기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온라인을 통한 정보의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각국의 미래 전략무기 소요 제기를 위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이종의 국방정보를 통합 관리 및 분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시맨틱 웹은 이종의 지식자원을 통합하고 검색 및 내비게이션 할 수 있는 차세대 지식정보 관리 기반 기술로 최근에는 지능형 시스템 구축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시맨틱 웹은 단순 키워드 검색이 아닌 의미적으로 연관된 정보 검색을 제공하기 때문에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을 기반으로 무기 제원 정보를 중심으로 무기의 제조국, 개발 회사, 개발 현황 등 무기와 관련된 다양한 관련 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조화하는 것은 물론,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무기를 효과적으로 검색 및 분석할 수 있는 국방무기 다차원 정보분석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무기의 제원명과 제원의 상하위 관계를 이용해서 확장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무기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다양한 경로로 무기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무기체계에 따른 다양한 분석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무기 분야의 전문가 지식과 웹에서 수집된 무기 관련 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축하고 지능화된 검색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정보전 시대에 필요한 첨단 무기 정보 획득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입력자료 개선에 의한 MODIS 총일차생산성의 신뢰도 향상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MODIS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by Improving Input Data)

  • 김영일;강신규;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2-139
    • /
    • 2007
  • 현재 1 km 해상도의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총일차생산성(GPP) 영상이 8일 간격으로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MODIS GPP 산출에 사용되는 입력기상(DAO)자료와 광합성유효복사흡수율(FPAR) 자료의 오차를 정량화 하였고, 이들 오차가 MODIS GPP의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입력자료의 평가를 위해 지상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였고, 구름효과 등을 저감한 FPAR의 시계열을 복원하였다. 평가 결과 입력자료의 오차는 MODIS GPP에서 17% 정도 과대평가되었다. 두 오차 중에서 기상자료의 오차가 주요 원인이었으며, FPAR의 오차는 부차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양한 토지피복 중에서 혼효림의 MODIS GPP 오차가 약 20%로 가장 크고, 농경지는 약 11%의 오차를 보였다. 입력자료에 의한 MODIS GPP의 오차는 GPP의 계절변화뿐만 아니라 연간 GPP 변화에도 상이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MODIS GPP에 내재한 오차는 상당하다고 판단되며, 향후 GPP 모니터링에 응용하기 위해선 상기 기술한 오차 요인들을 저감한 입력자료에 의거해 MODIS GPP를 재가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