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도 평가

Search Result 7,222,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Monte-Carlo Approach to Develop Probabilistic Reliability Assessment Program (확률 기반의 신뢰도평가 기법 개발: Monte-Carlo 접근법)

  • Kim, Tai-Hyun;Chung, Koo-Hyung;Oh, Tae-Ky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330-33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확률론에 근거한 신뢰도 평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확률론 신뢰도 평가 기법의 적용을 통하여 기존 결정론 접근법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을 고려한 신뢰도 평가가 가능 하였으며 확률 신뢰도 평가 기법 중 시뮬레이션 기반 Monte-Carlo 기법을 적용하여 발전 및 부하의 블확실성까지 고려한 통합적인 신뢰도 평가 틀을 개발하였다. 더하여 개발된 신뢰도 평가 틀을 시험 계통에 적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 PDF

초음파탐상 PD-RR Test의 통계적 신뢰도 평가(I)

  • 박익근;김현묵;박은수;박윤원;강석철;최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245-255
    • /
    • 2001
  • 원전 가동전/가동중검사 결과의 신뢰도(reliability)는 원전 배관기기의 건전성에 직결되는 것으로써 결함 발견 시 적용되는 파괴역학해석(FMA)은 비파괴검사 결과에 대한 100%의 신뢰를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비파괴검사가 어느 정도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국내에서는 거의 수행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전의 비파괴검사 규제 요건의 기술적 근거를 확보하고, 원전 기기 건전성 평가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합리적 규제지침을 수립하기 위하여 국내 원전 가동중검사(ISI)에 적용되거나 일반 산업계에 적용되고 있는 초음파탐상검사에 대하여 기량검증 Round Robin Test에 의한 통계적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음파검사 PD-RRT 결과의 통계적 신뢰도 평가 모델을 고찰하고, 결함검출성능 평가, 결함크기 측정 평가, 팀 오차 분석 등 초음파검사 PD-RRT 결과의 통계적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 PDF

On the Study of Software Reliability in Quality Testing Metrics (소프트웨어 신뢰도 품질 평가 메트릭에 대한 연구)

  • Jung Hye-J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7 no.2
    • /
    • pp.151-160
    • /
    • 2006
  • Software quality evaluation system and software evaluation criterion have to be defined to evaluate software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develop software reliability quality metrics for evaluating of software reliability and research for testing of suitable criteria of software reliability. To accomplish a study successfully, we have to estimate the failure time of software using the number of software bugs. Software reliability is very important in software quality. We propose the estim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We propose the software reliability metrics and the software testing method that the basis of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9126 in software testing metrics.

  • PDF

Applicability of reliability indices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system performance measurements (다중 성능지표를 활용한 상수관망시스템의 신뢰도 지수 적용성 평가)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0-90
    • /
    • 2020
  • 상수관망시스템은 관할 지역 내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시설물로써, 비상시에도 사용자의 용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안정적인 성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수관망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은 비상시 용수공급가능량, 공급수압 등 여러 가지 수리해석 결과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성능들을 시간·공간적으로 모두 고려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므로, 복합적인 용수공급 성능을 집약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신뢰도 지수들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신뢰도 지수들은 각각의 이론적 접근방법에 따라 시스템의 특정 성능에 다소 편중된 평가 결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상수관망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시, 목적과 특성에 맞는 적합한 신뢰도 지수를 선정하고, 적용하기 위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시스템의 구조적 특성 및 핵심 성능에 따른 신뢰도 지수별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에서 몇 가지 공급부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수리해석 결과와 신뢰도 지수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기준 분석기법을 통해 종합적인 시스템 핵심 성능에 대한 신뢰도 지수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뢰도 지수별 적용성을 함께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수관망시스템의 설계 또는 기존 시스템의 보강 및 운영계획 수립 등을 위한 연구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Reliability Assessment Tool (확률기반 신뢰도 평가시스템 설계 및 개발)

  • Kim, T.;Oh, T.K.;Lee, S.H.;Min, S.W.;Lee, J.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571-57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확률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평가 할 수 있는 신뢰도평가 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설계를 소개한다. 확률기반 신뢰도 평가시스템은 Enumeration 기반,Cumulant 기반, Monte-Carlo 시뮬레이션 기반의 세 가지 기법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평가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Probabilisitic Reliability Evaluation considering the small signal stability constraints with Monte Carlo simulation (소신호 안정도를 고려한 확률론적 신뢰도 평가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신뢰도 평가 tool의 구현)

  • Jang, Gwang-Soo;Kim, Yu-Chang;Jung, Ha-Sub;Pakr, Jong-K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계통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론적인 방법으로 전력계통의 신뢰도를 평가한다. 발전기 3 state modeling 및 부하의 정규분포 곡선으로 확률론 신뢰도 평가 모델을 가정하였다. 그리하여 Adequacy 및 계통의 전압 및 송전선제약 조건 외에도, 소신호 안정도 항목을 추가하여 보다 동적인 측면에서의 신뢰도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평가 방법의 결과에 의하여 각 평가 항목간의 비율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한 PSS의 설치 위치 선정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모의 방법은 Monte Carlo Simulation방법을 사용하였으며, WSCC 3기 9모선과 New England 10기 39모선을 모의계통으로 하였다.

  • PDF

Probabilistic Arrival Power Evaluation at Each Load Point (부하지점에서의 확률론적 공급능력 평가)

  • Moon, Seung-Pil;Chang, Byung-Hoon;Kim, Gi-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580-581
    • /
    • 2007
  • 전력시장의 환경변화와 전력소비자들의 다양성 그리고 전력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 확률론적 전력공급 신뢰도 평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 과거 전력계통의 신뢰도 평가는 발전계통만을 대상으로 하는 HLI에서의 신뢰도평가였으나 최근 송전망을 포함한 복합전력계통의 신뢰도 평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복합전력계통의 신뢰도 평가에서는 일반적으로 각 부하지점별 공급지장 가능성 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부하지점에서의 공급가능용량을 확률론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보인다.

  • PDF

System Reliability-Based Load-Carrying Capacity Evaluation of Steel Cable-Stayed Bridges (체계신뢰성방법에 기초한 강사장교의 내하력평가)

  • 조효남;임종권;박경훈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341-350
    • /
    • 1998
  • 본 논문은 교통하중에 대한 강사장교의 체계신뢰성에 기초한 체계적이며 실용적인 내하력평가 및 여용성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고량 주형과 주탑의 조합상관 한계상태에 기초한 내하력평가를 위하여 개선된 조합상관식에 기초한 LRFR(Load and Resistance Factor Rating) 방법과 신뢰성에 기초한 시스템수준의 평가를 위해서 목표체계신뢰성지수의 항으로 표현되는 등가시스템저항강도에 의한 접근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여용성을 정의하기 위해서 체계신뢰성해석의 결과와 내하력평가 결과를 이용한 실제적인 시스템여용성 평가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체계신뢰성에 기초한 평가방법은 기존의 요소신뢰성 방법에 비해 구조물의 여용성을 충분히 반영하는 상당히 합리적이며 실제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신뢰성 평가 인증과 그 대응전략

  • 김환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71-47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신뢰성 기술 기반 구축과 평가ㆍ인증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신뢰성 인증 제도의 필요성, 신뢰성 평가 네트워크, 국제적 신뢰성 인증제도의 구성 및 개발방향을 살펴보고 그 대응책을 모색해 본다.

  • PDF

Improving reliability of reservoir hydrological data followed by periodic evaluation (주기별 평가에 의한 저수지 수문자료 신뢰도 개선)

  • Jaekyoung Noh;Jaenam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6-106
    • /
    • 2023
  • 저수지 수문자료는 강우량, 유입량, 저수량, 방류량이다. 이 중에서 관측되고 있는 것은 저수량과 일부 수로방류량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모의에 의해 유입량을 고정시키면, 물수지에 의해 방류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저수량 오차로 모의 유입량과 계산 방류량의 신뢰도는 반드시 확인돼야 한다. 신뢰도가 낮으면 모의 유출량과 계산 방류량을 조정하며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신뢰도는 평가주기가 짧을수록 보장된다. 여기서는 유역면적 218.80km2, 유효저수량 3,494만m3, 수혜면적 5,117ha인 탑정지에 대해 2020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1시간 단위로 1달, 10일, 3일, 2일 간격의 주기로 저수지 운영자료를 생산하고, 그 신뢰도를 평가하여 평가주기가 짧을수록 오차가 감소되는 것을 관찰코자 했다. 1시간 간격의 유입량은 ONE 모형으로 모의했고, 저수지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여 모의 유입량에 저수량 변화를 더해 방류량을 계산했다. 또한 저수지 물수지에 의해 저수위를 모의했으며, 관측 저수위와의 오차제곱근(RMSE)으로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달 간격으로 신뢰도를 평가한 경우 RMSE는 132.466m, 10일 간격은 46.922m, 3일 간격은 0.520m, 2일 간격은 0.349m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저수지 수문자료의 평가주기를 짧게 할수록 신뢰도는 개선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과거 자료에 대해 1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유입량을 모의하고 방류량을 계산한 결과를 고정시키고, 평가주기를 달리하며 수위오차를 분석한 결과이다. 만약 평가주기별로 유입량과 방류량을 실제 상황에 적합하게 조정하면, 그 신뢰도는 훨씬 더 개선될 것이다. 현재 저수지 수위만을 관리하고 있는 현장의 상황에서 이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첨언하면 AI 시대의 핵심은 자료다. AI의 먹이는 자료다. 다시 말해 자료 없는 AI는 시체와 같다. 자료는 기본이고 진실이다. 자료 없는 결과는 가짜다. 또한 위의 결과는 자료는 상시 관찰돼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1년에 한 번 수문자료를 평가하는 제도로는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 없다. 무엇보다 자료는 상시 관찰하는 제도가 정착돼야 하며, 그 때 비로소 AI와 공존과 협력으로 물관리 기술의 혁신을 이룰 것이라 확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