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도

Search Result 28,877,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fidence intervals for regression coefficients in a panel regression model (패널회귀모형에서 회귀계수의 신뢰구간에 관한 비교연구)

  • 송석헌;전명식;정병철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2
    • /
    • pp.449-46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패널회귀모형에서 내부변환(within transformation) 추정량을 이용하여 회귀계수에 대한 정확한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신뢰구간의 효율성을 신뢰계수(confidence coefficient)와 신뢰구간의 평균길이(average length of confidence interval)을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하여 다른 근사적 신뢰구간들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내부변환추정량을 이용한 신뢰구간은 다른 근사적 신뢰구간들에 비해 명목신뢰계수를 정확히 유지하였고, 신뢰구간의 평균길이도 다른 방법들에 비해 짧은 결과를 보았다.

  • PDF

Reliability Prediction Methods of Microcircuit Devices (전자부품 신뢰도 예측방법)

  • Chung, C.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2
    • /
    • pp.77-86
    • /
    • 1994
  • 부품 고장률은 시스템 신뢰도를 계산하는데 기본이 되는 요인이다. 신뢰도 예측은 부품고장률에서 회로팩, 블록, 서브시스템 및 시스템 신뢰도 순으로 계산되는 Bottom-up 방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부품 고장률 계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 국방부 전자부품 신뢰도 예측방법인 MIL-HDBK-217를 이용한 Microcircuit의 부품 고장률 계산방법을 나타냈다. 또한 Microcircuit의 신뢰도를 MIL-HDBK-217 예측방법 및 예측결과와 외국 예측방법 및 예측결과로 비교하여 나타냈다.

트러스트 기반의 신뢰 네트워크 구조

  • Jeon, U-Ji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2
    • /
    • pp.28-38
    • /
    • 2016
  • 기존 인터넷의 보안 모델은 모든 통신 상대와 통신 환경에 대한 의심을 기반으로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모델이다. 그러나 이 보안 모델은 공격이 지능화됨에 따라 방어도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된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하여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공격자체가 원천적으로 없어지는 신뢰통신 구조를 제안한다. 신뢰통신모델은 먼저 상호신뢰 관계를 가진 제한된 참여자들로 구성된 신뢰 도메인에서 시작하여 외부와의 통신은 잘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허용함으로써 도메인의 신뢰 수준을 유지하면서 신뢰 영역을 확장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 신뢰 모델을 기반으로 신뢰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하고 이 구조를 기존의 IP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TDX-1A 운용 데이터 분석

  • Kim, Jong-Min;Jung, Cheol-Oh;Shin, Seong-Mun
    • ETRI Journal
    • /
    • v.14 no.1
    • /
    • pp.66-75
    • /
    • 1992
  • 본고에서는 TDX-1A 시스팀의 운용 데이터를 신뢰도 측면에서 분석하여, 시스팀이 가지는 신뢰도 분포 특성과 고장 현황 구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하드웨어 신뢰도만 예측될 수 있는 시스팀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하드웨어 외적 요인에 의한 고장이 시스팀의 신뢰도에서 차지하는 부분을 추정함으로써 하드웨어 고장과 소프트웨어 및 운용중 에러에 의한 고장을 감안한 시스팀 신뢰도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S/W의 테스트 신뢰도와 운영 신뢰도에 대한 연구

  • 최규식;김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453-460
    • /
    • 2000
  • S/W 신뢰도는 보통 NHPP와 같은 신뢰도모델에 의해서 평가한다. S/W 시스템은 테스트 단계에서 품질이 향상되고 운영단계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다. 신뢰도를 테스트 단계에서 추정할 것인가 아니면 운영단계에서 추정할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서 그 추정방법이 달라져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의 상이한 신뢰도개념 즉 운영신뢰도와 테스트 신뢰도를 명확히 구분하여 자세히 고찰한다.

  • PDF

The proposition of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in association rule mining (연관 규칙 마이닝에서 기여 순수 신뢰도의 제안)

  • Park, Hee-Cha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2 no.2
    • /
    • pp.235-243
    • /
    • 2011
  • The most widely used data mining technique is to explore association rules. This technique has been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et of items based on the association thresholds such as support, confidence, lift, etc. There are many interestingness measures a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association rules. Among them, confidence is the most frequently used, but it has the drawback that it can not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association. The net confidence measure was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is drawback, but it is useless in the case that the value of positive confidence is the same as that of negative confidence. This paper propose a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to evaluate association rules and then describe some properties for a proposed measure. The comparative studies with confidence, net confidence, and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are shown by numerical example. The results show that th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is better than confidence or net confiden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liability Index based on Hydraulic Uniformity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상수관망의 수리학적 균등성을 이용한 신뢰도 지표의 개발 및 적용)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6
    • /
    • 2019
  • 상수관망시스템은 공급원으로부터 수요처까지의 용수공급을 위해 구축된 관수로 기반의 사회기반시설물로서, 주로 생활 및 산업 용수를 공급하므로 대규모 사회 경제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용수공급 능력이 요구된다. 네트워크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표현되는 상수관망시스템의 신뢰도(reliability)는 크게 시스템 내 구성요소의 안정성(mechanical reliability)과 용수공급의 기능적 안정성(hydraulic reliabil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의 용수공급 안정성에 주목한 수리학적 신뢰도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된 바 있으며, 다양한 평가방법 및 지표들이 제시되어 활용 중에 있다. 기존의 수리학적 신뢰도 지표들은 주로 수요절점(demand node)에서의 공급가능 수량 및 수압을 바탕으로 산정되었다. 그러나, 절점(node)에서의 공급 상태는 결과에 해당하며,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관로(pipe)의 배치 및 규격을 분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접 관로(pipe)의 공급 특성을 분석하여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평가함으로써, 신뢰도 저하의 원인 분석 및 시스템 개선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뢰도 지표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 내 수리학적 기울기가 전반적으로 균등할수록 설계 비용대비 공급 신뢰도, 즉 용수공급 효율이 개선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내 총 에너지 손실로부터 각 관로의 길이, 유량 등의 특성을 고려한 등가 수리경사(Equivalent hydraulic gradient)를 유도하여 모든 관로의 적정 수리경사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각 관로의 실제 수리경사를 대상으로 관로별 수리학적 균등성 지수(pipe hydraulic uniformity index)를 산정하였으며, 더 나아가 전체 시스템의 균등성 지수(system hydraulic uniformity index)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신뢰도 지표는 가상의 네트워크에서 지역 내 용수 사용량이 증가하는 등 용수공급 안정성을 저해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검증하였으며, 또한 기존 지표들의 신뢰도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네트워크 최적 설계의 목적함수로 활용하거나, 네트워크의 보강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methodology for creating a function-centered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기능 중심의 신뢰성 예측 모델링 방법론)

  • Chung, Yong-ho;Park, Ji-Myoung;Jang, Joong-Soon;Park,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5 no.4
    • /
    • pp.77-84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creating a function based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Although, there are various works for reliability prediction, one of the features of their research is that the research is based on hardware-centered reliability prediction. Reliability is often defined as the probability that a device will perform its intended function, under operating condition,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there is a profound irony about reliability prediction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d four-phase modeling procedure for function-centered reliability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ing procedure consists of four models; 1) structure block model, 2) function block model, 3) device model, and 4)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We performed function-centered reliability prediction for electronic ballast using the proposed modeling procedure and MIL-HDBK-217F which is the military handbook for reliability prediction of electronic equipment.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on Satisfaction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According to Gender (성별에 따른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신뢰 및 감정적 신뢰의 매개 효과)

  • Choi, YooJung;Choi, 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525-53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bile payment service quality(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on the formation of trust(cognitive trust, affective trust) and the effect of trus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trust affecting satisfaction. The 188 sets of data collected, those were tested against the model using PLS. The results showed that system quality affected cognitive trust, service quality affected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and both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cognitive trust on satisfaction was stronger for males, and affective trust had more influence on satisfaction for females.

Study on Reliability Target Proving Process for Advanced EMU (차세대전동차 목표신뢰도 추종방안 연구)

  • Joung, Eui-Jin;Kim, Gil-Dong;Hong, Jae-Seong;Lee, Jang-Mu;Lee, Han-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75-777
    • /
    • 2012
  • 차세대전동차는 직접구동모터(DDM : Direct Drive Motor) 방식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기어박스를 없애는 등, 연결부품을 제거함으로써 고장률을 줄여 기존차량 대비 30% 이상 신뢰도를 향상하도록 개발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모터 자체 만을 변경함으로써 신뢰도를 향상시켰다고 보기는 어렵고, 시스템 차원에서 전동차 내 타 구성품과의 인터페이스를 살펴보고,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신뢰도가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규차량일 경우, 기존차량대비 어느 정도로 신뢰도가 향상되었는지를 입증하고자 주행시험을 실시하는데 전동차에 신뢰성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크게 목표설정, 신뢰도예측, 신뢰도입증의 3단계 작업이 진행되며, 신뢰도 예측은 주요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단위의 고장률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예측하고, 신뢰도 목표치를 만족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며, 신뢰도 입증은 예측한대로 시스템이 구축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전동차에서 설정한 목표신뢰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행한 업무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