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

검색결과 23,099건 처리시간 0.056초

신경발달학적 신경영상학 (NEUROIMAGING IN NEURODEVELOPMENT)

  • 이정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26-32
    • /
    • 2005
  • 신경발달학적 신경영상학은 급속하게 발전하는 분야이고 사용되는 새로운 영상학적인 기술의 수도 해마다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신경발달학적인 관점에서 소아청소년 정신과적 장애들에서 아직 명확한 신경병리학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점차로 많은 수의 논문에서 일관적인 뇌영상학적인 이상 소견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경발달학적인 관점에서 신경영상학적인 연구에서 과거와 현재 상황을 기술하고 제한점과 함께 미래에 대한 조망을 하고자 한다.

  • PDF

피열근에서 상후두신경에 의한 운동신경 지배 (Motor Innervation of IA Muscle by SLN : HRP Study)

  • 김영모;조정일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6년도 제6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95-95
    • /
    • 1996
  • 후두근의 운동지배신경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은 윤상갑상근이 상후두신경의 의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 외에는 모든 후두내근이 반회후두신경에 의하여 지배된다는 것이다. 이중에서 갑상피열근이나 피열근에 대하여 상후두신경과 반회후두신경의 이중지배(dual supply)는 오랜동안 논란이 되어왔다. 특히 피열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반회후두신경의 피열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며 또한 상후두신경의 내지의 일부인 ramus porforantes에 의해서도 이중지배를 받는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피열근의 운동신경지배 중 상후두신경의 역할에 대해서 적지 않은 보고가 후두의 신경해부학적인 고찰 및 전기적 자극을 통한 연구에서 단지 피열근 근처에서 twig을 형성할 뿐, 직접적인 운동지배 현상은 보이지 않음을 입증하여 피열근은 오직 반회후두신경에 의하여 운동지배된다고 주장하였다. (중략)

  • PDF

중성자 보안검색 장치를 위한 신경망 기반의 ${\gamma}$-스펙트럼 분류 방법 (A Method for ${\gamma}$-Spectrum Classification Based on Neural Networks for Neutron-Type Security Device)

  • 최창락;김지수;김수형;심철무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C)
    • /
    • pp.451-454
    • /
    • 2007
  • 본 논문은 한국 원자력 연구소 중성자 스펙트럼 패턴을 분류하는 시스템에 신경망(Neural Networks)을 적용하였다. 중성자 스펙트럼 분석시 3개의 신경망을 하나로 결합하여 각 신경망의 인식률을 확인하였다. 신경망1은 폭발물 판별을, 신경망2는 폭발물의 종류를, 신경망3은 비 폭발물 종류를 구별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중성자 스펙트럼을 통해 실험한 결과 신경망1은 83.48%를, 신경망2는 84.6%를, 신경망3은 91.67%의 인식률을 얻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증령에 따른 백서구강점막 상피내신경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INTRAEPITHELIAL NERVES OF ORAL MUCOSA OF RATS DURING AGING)

  • 최대호
    • 치과방사선
    • /
    • 제14권1호
    • /
    • pp.7-16
    • /
    • 1984
  • 구강점막 각 부위의 지각신경의 특징은 근년 생리학적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생리학적 기능은 연령과 더불어 감소된다는 소견이 구강점막에서도 적용된다고 하나 이에대한 형태학적 지견을 중심으로 볼 때 그러한 감소가 순전한 기능저하의 결과인지 혹은 지각신경의 해부학적 형태변화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본 논문은 Spraque-Dawely와 Fischer 344 두종의 숫자 20마리를 이용하여 각종을 6개월과 30개월의 연령으로 2군으로 나누어서 연령에 따른 구강점막내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특성의 변환을 관찰하고, 단위면적당 분포하고 있는 신경요소의 변화를 정량해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점막에 분포하는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형태에 있어서는 젊은백서와 늙은백서 사이에 인정할 만한 질적 차이가 없었다. 2. 연령증가에 따라 구강점막의 상피내 간격에 존재하는 신경요소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3. 이와 같은 감소는 신경섬유보다 신경종말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진화신경망을 이용한 프로그램 행위학습 및 비정상행위탐지 (Anomaly Detection and Learning of Program Behaviors with Evolutionary Neural Networks)

  • 한상준;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262-264
    • /
    • 2004
  • 시스템 호출 감사자료기반 기계학습기법을 사용한 프로그램 행위 학습방법은 효과적인 호스트기반 침입탐지 방법이며, 특히 신경망은 기존 연구 중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하지만 보통의 신경망은 그 구조를 찾기 위한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아 침입탐지에 효과적인 구조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신경망 기반 침입탐지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화신경망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진화 신경망은 신경망의 구조와 가중치를 동시에 학습하기 때문에 일반 신경망보다 빠른 시간 내에 더 좋은 성능의 신경망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999년의 DARPA IDEVAL자료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연구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 진화신경망이 침입탐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장단기 기억 신경망과 공간적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배경차분 (Background subtraction using LSTM and spatial recurrent neural network)

  • 추성권;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순환 신경망을 이용하여 동영상에서의 배경과 전경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순환 신경망은 일련의 순차적인 입력에 대해서 내부의 루프(loop)를 통해 이전 입력에 의한 정보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경망을 말한다. 순환 신경망의 여러 구조들 가운데, 우리는 장기적인 관계에도 반응할 수 있도록 장단기 기억 신경망(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LSTM)을 사용했다. 그리고 동영상에서의 시간적인 연결 뿐 아니라 공간적인 연관성도 배경과 전경을 판단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간적 순환 신경망을 적용하여 내부 신경망(hidden layer)들의 정보가 공간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신경망을 구성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본적인 배경차분 동영상에 대해 기존 알고리즘들과 비교할만한 결과를 보인다.

  • PDF

내장신경 절단 및 흉부교감신경 절단을 통한 난치성 복통의 치료 -1례 보고- (Splanchnicotomy and Thoracic Sympathicotomy for Control of Intractable Abdominal Pain -One Case Report-)

  • 황정주;김재영;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2호
    • /
    • pp.995-997
    • /
    • 2000
  • 내장의 통증은 교감신경을 통하여 척수로 전달된다고 알려져있다. 특히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통증에 관해서 Mallet-Guy 등이 1943년 큰내장신경 및 요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한 이래로 상기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내장신경 절제술은 효과에 비해 수술이 커지고, 긴 바늘을 이용한 복강신경총 차단술이 발달하면서 사장된 방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에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이 발달하면서 간단히 큰내장신경 절제술이 가능해져 흉강경을 이용한 큰내장신경 절단술은 난치성 복통치료의 좋은 방법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 PDF

아프리카왕달팽이(Achatina fulica) 내장신경절 및 우체벽신경절에 관한 연구 I.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n the Visceral Ganglion and Right Parietal Ganglion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김상원;한종민;이광주;황선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1-9
    • /
    • 2000
  • 아프리카왕달팽이 Achatina fulica의 내장신경 절과 우체벽신경절은 좌, 우 양반구로 구성된 나비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들 신경절의 피질부와 수질부의 표피부위에는 신경세포가 밀집되어 있는 반면 중앙부위에는 신경섬유가 망상형으로 신경망을 구성하고 있었다. 두 신경절의 피질부 및 수질부에 위치한 신경세포들은 초대형신경세포(200 $\mu\textrm{m}$ 이상)와 대형신경세포(직경 60-70 $\mu\textrm{m}$ 이상), 중형신경세포(직경 30-40 $\mu\textrm{m}$) 그리고 소형신경세포(직경 10-15 $\mu\textrm{m}$) 등 4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초대형 및 대형신경세포는 20-22개 정도로 매우 소수가 관찰된 반면, 중형신경세포(약 400-500개)와 소형신경세포(약 700-800개)는 다수가 관찰되었다. AB/AY 이중염색반응에서 초대형 신경세포는 light Yellow cell(LYC)로, 대형 및 중형신경세포는 yellow green cell (YGC)과 dark green cell(DGC) 등 두 종류로 그리고 소형신경세포는 yellow cell(YC)과 blue cell(BC) 등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Somatostatin 면역염색반응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낸 DGC는 성장조절물질 분비의 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대형 및 대형신경세포는 신경분비기능 이외 포식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