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차단술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다한증 환자에서의 Clipping에 의한 T2 Sympathetic Chain Block의 효과 (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 Block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이두연;윤용한;백효채;신화균;이성수;강정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45-748
    • /
    • 1999
  • 배경: 원발성 다한증 환자에서 높은 만족도와 수술성공률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6개월이 지나면 과도한 보 상성 다한증의 결과로 만족도가 66%까지 떨어지게 된다.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시도 되었으 나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문제에서의 완전한 치료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8년 7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42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42례 의 협자에 의한 흉부교감 신경절 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을 시행하였으며 2명을 제외한 40명 의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으며 평균 수술시간은 4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결과: 수술 후 보상성 다한증은 31례(77.5%)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9례(22.5%)였다. 수술 의 만족도는 95.0%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2례(5.0%)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결론: 협자을 의한 T2 흉부교감 신경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한 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특히 여름철에 수술하는 경우와 안면부 다한증의 경우에 가역적인 수술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추성 두통 환자에서 제3 후두신경의 양극탐침을 이용한 박동 성 고주파 신경차단술 - 증례보고 - (Bipolar Pulsed Radiofrequency Denervation of Third Occipital Nerve in Patient with Cervicogenic Headache - A case report -)

  • 이숙영;심우석;이상민;장인영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1권2호
    • /
    • pp.150-154
    • /
    • 2008
  • Pulsed or conventional radiofrequency (RF) denervation of the third occipital nerve (TON) is considered to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pain originating from the cervical 2-3 facet joint, including cervicogenic headache. However, proper positioning of the RF probe in the TON can be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due to the possible involvement of various lesions along the target nerve. We found that bipolar RF is easier to perform and more convenient than unipolar RF when administering a lumbar medial branch block. Here, we report the successfu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a cervicogenic headache by pulsed RF (PRF) denervation of the TON, using a bipolar probe. We believe that bipolar PRF denervation of the TON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unipolar RF or PRF for the treatment of pain originating from the cervical 2-3 facet joint.

암환자의 상복부 통증 치료에 대한 침의 효과: 무작위배정 대조군 연구 예비임상시험 프로토콜 (Efficacy of Acupuncture in Treating Upper Abdominal Pain in Cancer Patients: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Clinical Trial)

  • 정진용;이현종;서정철;민보미;조민수;신임희;노운석;곽민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1호
    • /
    • pp.33-39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복강신경총 차단술을 시행한 상복부 암성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침치료가 암관련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임을 증명하기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방법 : 본 연구는 3주간 진행되는 무작위배정 대조군 예비임상연구이며, 총14명의 피험자들은 시험군 (복강신경총차단술+침치료)과 대조군 (복강신경총차단술)으로 무작위배정된다. 모든 피험자들은 복강신경총 차단술을 1회 시술 받으며, 오직 시험군의 경우에만 주 3회, 2주간 총 6회의 추가적인 침치료를 시술받을 예정이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통증에 대한 VAS를,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Painvison과 추가 진통제 소비량을 측정한다. 평가는 시험시작 전, 시험 1주, 2주 및 3주후에 이루어지게 된다. 결론 : 본 연구는 추후 본격적인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본 연구를 통해 상복부 암성 통증치료에 있어서 침치료가 복강신경총차단술과 같이 병행치료 했을 때 임상적으로 유효함을 증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줄 것이라 사료된다.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수술의 효과 (Thoracoscopic T-3 Sympathicotomy for Palmar Hyperhidrosis)

  • 김광택;김일현;이송암;백만종;선경;김형묵;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39-744
    • /
    • 1999
  • 배경: 본 임상연구는 수부 다한증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에서 동년 12월까지 수부 다한증을 호소한 50명(여자: 24, 남자: 26)의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 경 차단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중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가 37명이었으며, 액와부 다한증이 동반된 경우가 13명이었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20세였다. 수술방법은 전기 소작용 가위를 이용하여 양측의 흉부 교 감신경을 차단하였으며,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는 3번 늑골(흉부 2번, 3번 교감신경절 사이)에서 차단 하였으며 액와부 다한증을 동반한 환자는 3번, 4번 늑골에서 교감신경을 차단하였다. 수술 후 다한증의 호전 정도 및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와 만족도의 측정은 Linear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수부, 안면부, 체간, 족부 의 땀 분비정도는 무한증을 0로 과다 발한을 10으로 하였으며 만족도는 후회하는 경우 0로 매우 만족해하는 경우를 10으로하여 조사 후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수부 다한증은 호전되었다.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수부의 땀 발생 정도의 평균 측정치는 $1.5\pm$0.8로 조사되었으며, 보상성 다한증은 39명 (78%)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평균측정치는 3.4$\pm$1.6이었다. 2명(4%)의 환자에서 미각성 다한증이 발생하였 으며, 수술 후 만족도는 8.5$\pm$1.2였다. 결론: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술 시행 후 증상이 호 전되었으며, 안면부 교감신경 기능의 보존과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 및 미각성 다한증의 발생빈도가 낮아, 수부 다한증의 일차적 치료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술의 적용이 합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삼차신경통 환자에서 안와하 신경차단술 후 발생한 안구뒤 혈종 -증례보고- (Retrobulbar Hematoma after Infraorbital Nerve Block in Trigeminal Neuralgia -A case report-)

  • 박종택;김예원;정의균;이영복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3호
    • /
    • pp.241-244
    • /
    • 2009
  • Retrobulbar hematoma can arise from orbital trauma and periorbital or intraorbital procedures, and it can result in several morbidities including vision loss. Making the immediate diagnosis and performing decompression of the retrobulbar hematoma are crucial for preventing serious morbidities such as permanent vision loss. We present here a case of temporary vision loss that was due to iatrogenic retrobulbar hematoma in a patient who received infraorbital nerve block for the treatment of trigeminal neuralgia. A 70-year-old woman with trigeminal neuralgia was treated with infraorbital nerve block. Just after the procedure she experienced acute periorbital swelling, proptosis and worsening visual acuity. Immediate orbital computed tomography was done, and this revealed a retrobulbar hematoma. The patient underwent lateral canthotomy with cantholysis and administration of dexamethasone and mannitol.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began 3 hours after these procedures. Her visual acuity was greatly improved 12 days after admission.

우측 경련성 사경 수술적 치료 후 좌측에 발병한 경련성 사경 환자에서 시행된 국소마취제 신경차단술의 임상효과 - 증례보고 - (Positive Effects of Local Anesthetic Nerve Blocks for a Patient with Newly Developed Left Side Spasmodic Torticollis after Surgical Intervention of Right Side Spasmodic Torticollis - A case report -)

  • 최창훈;최진환;성춘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246-250
    • /
    • 2007
  • We report here on a case of right side spasmodic torticollis (ST) that was refractory to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and medication. The patient finally underwent a selective ramisectomy with ipsilateral 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resection, but the remaining symptoms slowly aggravated, and a contralateral left side SCM spasm began. As conservative therapy for reducing the spasmodic symptoms, accessory nerve block, upper cervical plexus block and stellate ganglion block were performed twice in a week. After 6 months, the spasmodic symptom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ronto Western Spasmodic Torticollis Rating Scale (TWSTRS) decreased by more than 70%. After one year of serial intermittent local anesthetic blockade therapy, the patient became almost free from the original ST symptoms (TWSTRS = 1). Serial local anesthetic interventions for the ST patient may have a beneficial role on the pathological peripherocentral neural activity of the ST patient and can modulate motor-sensory integration in the patient.

수술 후 서혜부 만성 통증에서 신경 자극기를 이용한 초음파 유도하 음부대퇴신경 차단술 (Ultrasonography-Combined with Nerve Stimulator Technique for Injection of the Genitofemoral Nerve in a Patient with Chronic Postoperative Inguinal Pain)

  • 오영빈;신현백;고명환;서정환;김기욱
    • Clinical Pain
    • /
    • 제18권1호
    • /
    • pp.36-39
    • /
    • 2019
  • Chronic postoperative inguinal pain (CPIP) is a major complication after inguinal herniorrhaphy. We report the treatment of CPIP using ultrasonography-combined with nerve stimulator for injection of the genitofemoral nerve (GFN). A 59-year-old man underwent laparoscopic herniorrhaphy and presented with numbness from the inguinal region to the scrotum after operation. In the pain clinic, ultrasonography-guided GFN block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s had little effect. Six month after operation, patient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and ultrasonography-combined with nerve stimulator for GFN injection underwent to enhance the accuracy of neural approach. The induction of scrotal contraction and paresthesia on the GFN distribution was monitored by nerve stimulator and local anesthetic was injected. After the block, pain relief lasted for 6 months without analgesic use. Ultrasonography-combined with nerve stimulator is an effective approach to treat CPIP as it enhances precise localization and injection of small peripheral nerve like GFN.

안와아래 신경 차단술에 의한 위 작은 어금니 및 위 송곳니 부위에 발생한 삼차신경통의 치험 - 증례 보고 - (Infraorbital Nerve Block with Pure Ethyl Alcohol for Treatment of Trigeminal Neuralgia - A case report -)

  • 정종권;이경민;김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5권1호
    • /
    • pp.76-79
    • /
    • 1992
  • Trigeminal neuralgia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excruciating paroxysms of pain in lips, gums, cheek, or chin, and very rarely, in the distribution of the ophthalmic division of the trigeminal nerve. There are many treatments of trigeminal neuralgia, such as, medical treatment, electrical stimulation, radiation therapy and ablative procedures. Infraorbital nerve block with pure ethyl alcohol is an ablation procedure for trigeminal neuralgia. We injected pure ethyl alcohol into the infraorbital foramen for pain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fraorbital nerve block with pure alcohol was an a simple and an effective method. 2) Complication, included a mild sensory deficit and mild edema over the infraorbital area.

  • PDF

A peripheral tremor associated with intractable pain after traffic accident : case report

  • ;김성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74-77
    • /
    • 2009
  • 말초에서부터 야기된 행동장애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말초 신경 손상 후의 행동장애가 심리적인 것으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말초 신경 손상에 의해 야기된 상지의 진전에 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5세 남자환자는 자동차 사고 이틀 후 상지의 통증과 진전이 발생하였다. 뇌 및 경추의 자기공명영상 촬영상 특이소견이 없었다. 과거력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행동장애에 대한 가족력 또한 없었다. 그는 하루에 약 네 차례에서 여섯 차례 십분 이상 지속되며 악화되는 진전으로 고통 받았다. 약물 치료, 경막외주사 주입, 경추의 신경차단술, 통증유발부위 주사요법 등으로 통증 조절을 하였다. 그 결과 통증이 반 정도 줄었으며 진전의 강도, 시간, 빈도가 줄어들었다.

  • PDF

만성 난치성 상부 등 통증에서 초음파 유도 하 흉추 주위 공간 차단술 (Ultrasound Guided Thoracic Paravertebral Space Block for Chronic Intractable Upper Back Pain)

  • 김명상;백민철;조한얼;박중현
    • Clinical Pain
    • /
    • 제20권2호
    • /
    • pp.141-144
    • /
    • 2021
  • There are some cases of myofascial pain syndrome (MPS) with chronic upper back pain that does not respond to dry needling or trigger point injection, well-known treatments for MPS. A 67-year-old female developed a stabbing upper back pain with trigger point at left T7~8 levels 10 years ago. She complained of the pain with Numeral Rating Scale (NRS) 8 points.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and trigger point injection had no effect. Under ultrasound guidance 20 ml of 1% lidocaine was injected into thoracic paravertebral space. Immediately, the pain was reduced to NRS 4 points. One week later, the second block was per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and the pain was reduced to NRS 2 points. The stabbing pain disappeared, and oral opioids were discontinued. Ultrasound guided thoracic paravertebral space block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refractory MPS with chronic upper back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