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절세포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연두금파리 유충의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 면역반응성세포의 동정 (Immunocytochemical mapping of serotonergic neurons in the centrqal nervous system in the larva of Lucilia illustris)

  • 김관선;이봉희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13
    • /
    • 1993
  • 연두금파리 유충의 뇌와 복신경절에 분포하는 세로토닌 면역반응성 세포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세로토인세포는 뇌에 28개, 제1식도하신경절의 첫째마디에 6개, 둘째마디에 10개 그리고 세째마디에 6개가 각각 존재하였다. 그리고 앞가슴신경절에 6개, 가운데가슴신경절에 4개 그리고 됫가슴신경절에 4개가 각각 위치하였다. 또한 복부신경절에서는 첫새 마디부터 일곱째 마디까지 각각 4개가 존재하였고 마지막마디인 여덟째마디에서는 단지 두개의 세포만이 관찰되었다. 결국 연두금파리 유충의 중추신경계에는 모두 94개의 세로토닌 면역반응성 세포들이 분포하였다. 이들 세포로부터 뻗어나온 축색들은 뉴로파일내에서 분지하거나 횡연합섬유를 이루었다.

  • PDF

다채널기록법을 이용한 토끼 망막 신경절세포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Rabbit Retinal Ganglion Cells with Multichannel Recording)

  • 조현숙;진계환;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5권4호
    • /
    • pp.228-236
    • /
    • 2004
  • 망막의 신경절세포는 눈에 가해진 시각 정보를 흥분파의 형태로 변환하여 시신경을 통하여 대뇌의 시각피질까지 전달한다. 과거에 사용하여 왔던 방법은 단일 전극을 단일 뉴론의 세포내, 외에 삽입함으로써 특정 시간대에 특정 뉴론만을 기록하는 방법이었으므로 신경망 전체를 통하여 처리되어 나오는 정보를 알아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다행히 최근에 다채널 전극을 사용하여 여러 신경세포에서 나오는 신호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는 다채널기록법(multichannel recording) 이 개발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8행 ${\times}$ 8열의 다채널전극을 사용한 다채널기록법을 이용하여 망막신경절세포 군집의 흥분파를 기록, 분석함으로써 단일 신경세포가 아닌 망막 신경망을 거쳐 최종적으로 나오는 신호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전극에 부착된 망막 절편에 2초 동안 빛을 가하고 5초 동안 빛이 차단되는 자극을 반복적으로 인가한 후, PSTH 분석방법으로 망막 신경절세포를 ON 세포, OFF세포, ON/OFF세포의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ON 세포: 35.0$\pm$4.4%, OFF 세포: 30.4$\pm$1.9%, ON/OFF 세포: 34.6$\pm$5.3% (전체 망막절편수=8)로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호상관(Cross-Correlation) 분석방법을 통해서 인접한 세포들끼리 매우 짧은 시간대에(<1 ms) 동기화된 흥분을 발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기화된 흥분은 6~8개의 세포로 구성된 세포 클러스터에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즉 개개의 신경절세포들이 빛 자극을 처리함에 있어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기존의 가정과는 달리 인접한 세포끼리는 동기화된 흥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은 시세포 수와 신경절세포 수의 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되는 병목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전으로 생각된다.

  • PDF

육생 민달팽이 Incilaria fruhstorferi daiseninana의 내장신경과 관련이 있는 동정된 뉴우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entified Neurons Related to the Visceral Nerve in the Terrestrial Slug, Incilaria fruhstorferi daiseninana.)

  • 김영규;장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43
    • /
    • 1987
  • Incilaria fruhstorferi daiseninana의 뇌는 쌍을 이루고 있는 뇌(cerebral), 측(pleural), 노(parietal), 족(pedal)신경절과 단일 복부(abdominal)신경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융합된 신경고리를 이루고 있었다. 복부신경절로부터 나오는 내장신경은 생식, 장, 심장, 신장신경등으로 분지되어 이들 각 기관에 신경을 공급하고 있었다. 다음 3가지 방법, 즉, 내장신경을 Ni$^2$+로 역방향으로 충진하여 세포체를 염색하는 방법, 형광화합물 Lucifer yellow를 세포내로 주입하는 방법, 세포내활동전위와 내장신경의 세포외 활동전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12가지의 동정된 뉴우런이 내장신경과 관련되고 있음을 알았다. 알아낸 각 세포의 전기생리학적인 특성을 검지하고, 이것과 각 세포의 돌기 분지상태와의 관련 및 일부 세포간의 상호관계를 검사하였다. 이들중 8가지 세포가 내장신경에 축색돌기를 내보내는 효과신경세포라는 증거를 얻었다.

  • PDF

아프리카왕달팽이(Achatina fulica) 내장신경절 및 우체벽신경절에 관한 연구 I.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n the Visceral Ganglion and Right Parietal Ganglion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김상원;한종민;이광주;황선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1-9
    • /
    • 2000
  • 아프리카왕달팽이 Achatina fulica의 내장신경 절과 우체벽신경절은 좌, 우 양반구로 구성된 나비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들 신경절의 피질부와 수질부의 표피부위에는 신경세포가 밀집되어 있는 반면 중앙부위에는 신경섬유가 망상형으로 신경망을 구성하고 있었다. 두 신경절의 피질부 및 수질부에 위치한 신경세포들은 초대형신경세포(200 $\mu\textrm{m}$ 이상)와 대형신경세포(직경 60-70 $\mu\textrm{m}$ 이상), 중형신경세포(직경 30-40 $\mu\textrm{m}$) 그리고 소형신경세포(직경 10-15 $\mu\textrm{m}$) 등 4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초대형 및 대형신경세포는 20-22개 정도로 매우 소수가 관찰된 반면, 중형신경세포(약 400-500개)와 소형신경세포(약 700-800개)는 다수가 관찰되었다. AB/AY 이중염색반응에서 초대형 신경세포는 light Yellow cell(LYC)로, 대형 및 중형신경세포는 yellow green cell (YGC)과 dark green cell(DGC) 등 두 종류로 그리고 소형신경세포는 yellow cell(YC)과 blue cell(BC) 등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Somatostatin 면역염색반응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낸 DGC는 성장조절물질 분비의 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대형 및 대형신경세포는 신경분비기능 이외 포식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 PDF

Glucose Oxidase에 의(依)하여 손상(損傷)된 배양척수감각신경절세포(培養脊髓感覺神經節細胞)에 대(對)한 음양곽(淫羊藿)의 효과(效果) (Effect of Epimedium Koreanum Nakai on GO-Induced Neurotoxicity in Cultured Mouse Spinal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 박승택;이호섭;윤용갑;박병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43-151
    • /
    • 1999
  • 척수감각신경절세포에 대한 산소자유기의 신경독성효과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Glucose Oxidase(GO)를 배양 척수 감각신경절세포에 처리한 후 GO의 독성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GO에 의하여 유발된 신경독성에 대한 음양곽(Epimedium Koreanum Nakai)의 방어효과를 MTT assay법에 의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GO는 신경세포에 처리한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또한 음양곽이 GO의 독성효과를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소자유기인 GO는 생쥐의 배양 척수감각신경절세포에 독성을 나타냈으며 음양곽과 같은 한약추출물이 GO의 독성을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tlab을 이용한 망막신경절세포 감수야 구성 (Reconstruction of Receptive Field of Retinal Ganglion Cell Using Matlab)

  • 예장희;진계환;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4호
    • /
    • pp.260-267
    • /
    • 2006
  • 개개의 망막신경절세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망막의 특정부위에 빛자극이 가해지면 그 빛자극의 특징을 활동전위의 형태로 인코딩하게 된다. 이때 개개의 망막신경절세포가 담당하고 있는 망막의 특정부위를 감수야(receptive field)라 부른다. 그러므로 망막신경절세포의 전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감수야의 위치를 규정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이유는 감수야의 배열 상태를 알게 되면 신경절세포가 어떻게 시각자극을 인코딩하는지 그 메커니즘에 관한 통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작위 바둑판 자극을 MEA의 개개 채널에 독립적으로 인가함과 동시에 여러 망막신경절세포의 흥분파를 기록하였다. 이후 오프라인에서 망막신경절세포의 파형을 추출하고 ON-cell, OFF-cell, ON/OFF-cell로 분류한 후 개개의 망막신경절세포의 감수야를 WATLAB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보았다. 이런 방식으로 재구성된 ON-cell과 OFF-cell의 감수야의 예를 제시한다.

  • PDF

랫드 척수신경 결찰에 따른 척수신경절세포의 퇴행성변화 (Degenerative Changes of the Rat Dorsal Root Ganglion (DRG) Cells Following a Tight Spinal Nerve Ligation)

  • 김이석;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61-266
    • /
    • 2009
  • 본 연구는 잘 알려진 통증모델을 대상으로 척수신경절세포의 변성과정을 경시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10주령된 Sprague-Dawley 계통의 랫드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고, pentobarbital (50mg/kg)로 마취상태에서 다섯째 허리신경(L5)의 앞가지를 결찰한 후 1일, 3일, 7일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1일과 3일군에서 작은 신경절세포에서 퇴행성변화가 먼저 관찰되었고, 중간 및 큰 신경절세포에서는 그 변화가 미약했다. 7일 실험군에서는 작은 신경절세포의 수가 크게 감소하였던 반면, 중간 및 큰 신경절세포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자현미경 소견으로는 작은 신경절세포의 경우 초기 1일 및 3일군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능선의 변형과 부종이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은 검게 변성되었다. 반면 큰 신경절세포의 경우 모든 실험군에서 변형된 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소기관들도 잘 보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척수신경 결찰에 의한 통증자극으로 랫드 척수신경절 내 작은 신경절세포는 다른 신경절세포에 비해 퇴행성변화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미토콘드리아 등 세포질소기관의 부종을 동반한 암적화변성(dark degeneration)을 통해 사멸되었다.

한국관박쥐망막에서 칼레티닌 면역반응성의 무축삭세포 및 신경절 세포에서의 관찰 (Calretinin-Immunoreactive Amacrine Cells and Ganglion Cells in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 전영기;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33-139
    • /
    • 2007
  • Calretinin의 생리적 역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지만, 칼슘 buffer로서의 작용과 칼슘 중재의 신호 변환에 적극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Calretinin은 인간의 망막에서 성체 광수용체 세포와 이극세포, 수평세포에서 칼슘의 수송과 칼슘의 생리적 buffering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관 박쥐의 망막의 내핵층과 신경절세포층에서 calretinin의 면역세포화학반응 신경세포들과 그 분포 양상을 조사하여 우리는 박쥐 망막에서 calretinin에 면역세포화학반응을 일으키는 AII 무축삭세포를 내핵층에서 그리고 신경절세포층에서는 신경절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의 관찰연구는 우리의 이전 연구와 더불어 박쥐 시력의 풀리지 않는 문제와 박쥐비행의 기동성의 독특한 행동적인 측면들을 더욱 많이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랫드 척수신경절내 zinc의 분포양상: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Histochemically-reactive Zinc in the Rat Dorsal Root Ganglion (DRG) Neurons: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 김이석;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15-19
    • /
    • 2010
  • 이번 연구에서는 성체 랫드(Sprague-Dawley)의 척수신경절내 분포하는 zinc의 분포 관찰하기 위하여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y(AMG)로 염색하였다. H-E염색표본에서 척수신경절 속에는 신경절세포들이 무리지어 분포하고 있었고, 세포체는 둥글거나 타원형이었으며, 작은 신경절세포, 큰 신경절세포로 대별되었다. 모든 신경절세포의 세포체는 한 층의 납작한 위성세포(satellite cell)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었다. AMG 염색표본에서는 작은 신경절세포의 경우 강한 양성반응이 핵 주변부에서 관찰되었으나, 큰 신경절세포의 경우 전반적으로 미약한 AMG 양성반응을 보였고, 염색양상도 서로 달랐다. 그러나 큰 신경절세포를 둘러싸는 위성세포에서는 뚜렷한 AMG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조직화학적 본 연구의 결과는 zinc가 감각신경절인 랫드 척수신경절에서 통증을 포함한 감각의 전달과정에 의미있는 기능을 영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채널전극으로 기록한 토끼 망막신경절세포의 활동전위 파형 구분 (Waveform Sorting of Rabbit Retinal Ganglion Cell Activity Recorded with Multielectrode Array)

  • 진계환;이태수;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3호
    • /
    • pp.148-154
    • /
    • 2005
  • 망막에서 나오는 활동전위와 같이 복잡한 신경망을 거쳐 처리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일 전극 기록법으로는 어렵다. 단일 전극을 통한 활동전위의 기록은 개개의 신경세포 특성을 알아내는 데에는 유용한 방법이나 신경세포 간의 시간적, 공간적인 관계는 알아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채널 전극을 이용한 신경신호 기록방법이 최근에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채널전극 기록 방식인 MEA60 시스템은 세포 밖에 위치한 60개의 전극이 생체신호를 동시에 기록한다. 세포 fi에 위치한 각각의 전극이 포착한 신경 신호는 하나의 망막신경절세포 반응이라기보다는 여러 세포의 반응이 동시에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여러 세포의 반응이 함께 기록된 신호로부터 각각의 세포로부터 나오는 파형을 구분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 전극으로 기록한 망막 신경절세포 신호로부터 MATLAB을 이용하여 활동전위 파형을 검출하고 분류하는 과정을 구현하여 보았다. 이러한 분류과정은 추후 진행되는 신호분석방법인 자극 후 시간 히스토그램(poststimulus time histogram, PSTH), 자기상관관계(autocorrelogram), 상호상관관계(cross-correlogram)를 보기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전처리(preprocess)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ATLAB을 이용한 파형 구분 프로토콜을 확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프로토콜이 신경절 세포의 활동전위 파형을 검출하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