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인지

Search Result 22,999,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MICRONEURO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USING THE SURAL NERVE;HISTOLOGIC STUDY (비복신경을 이용한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신경재건;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Myung-Jin;Kim, Byeong-Ri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3 no.1
    • /
    • pp.30-36
    • /
    • 1991
  • Various nerves from many areas of body can be used as a donor of autogenous nerve graft in the microneurosurgical repair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In the grafting procedure of nerve repair, the best results will be achieved with a maximum approximation of fascicular surface at both the porximal and the distal stumps. Therefore, appropriate selection of donor nerve will bring out the best results. The sural nerve has been us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donor nerve in the microneurosurgical repair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The authors examined the fasc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sural nerve microscopically and compare this results with our previous report of the greater auricular nerve and that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 PDF

Intraneural Ganglion Cyst of the Peripheral Nerve: Two Cases Report (말초 신경에 발생한 신경 내 결절종: 2예 보고)

  • Kim, Tai-Seung;Jo, Young-Hoon;Paik, Seung-Sam;Kim, Sung-Jae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9 no.2
    • /
    • pp.83-86
    • /
    • 2013
  • Ganglion cysts that occurred within sheaths of peripheral nerves have been documented in literatures, but it is relatively rare condition. The peroneal nerve is the most common site of involvement. Other reported sites of involvement are the radial, ulnar, median, sciatic, tibial and posterior interosseous nerves. We report a case of the intraneual ganglion cyst within peroneal nerve and another case of the intraneural ganglion cyst within a medial plantar nerve that were successfully excised without neurologic complication.

고양이의 마디신경절에서 VIP 양성세포의 의의

  • 김영모;조정일;한창준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6.11a
    • /
    • pp.94-94
    • /
    • 1996
  • 미주신경의 마디신경절내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는 경부, 흉강 및 복강의 감각신경을 지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된 SP, CGRP 등의 신경펩디드의 분포에 관하여 많은 보고가 이루어졌다.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VIP)는 혈관, 평활근, 분비선 주위에 분포하는 부교감신경세포의 전달물질로서 후두의 자율신경계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VIP지배신경의 기원에 관해서는 미주신경이나 후두신경, 그리고 일부 후두 구조내에 존재하는 부신경절(Paraganglia)에서 기원한 후 신경절 부교감신경으로 알려져 있는데, 즉 미주신경의 마디신경절은 단지 감각신경의 기원이 되는 신경세포 집합체로 마디신경절과 자율신경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그러나 일부 보고에서 성문하부의 점막상피에서 SP나 CGRP외에도 VIP 양성세포가 발견됨으로써 일반적으로 자율신경계 세포로 알려진 VIP 양성세포의 기원과 기능은 더 규명되어야 할 부분의 하나로 사료된다 금번 저자는 고양이의 마디신경절에 대하여 면역 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한 VIP양성 세포의 출현여부를 관찰함으로써 마디신경절과 자율신경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Neuroscience I : neural encoding and decoding (신경과학 I : 신경신호 인코딩과 디코딩)

  • Lee, Ho-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59-62
    • /
    • 2006
  • 전산 신경과학은 신경 시스템을 생물물리학, 신경회로, 그리고 시스템 레벨 등 여러 가지 관점에서 크기와 구조를 모델링하여 신경 신호의 전달과 전달되는 정보의 내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전산 신경과학은 기존의 생물학적인 신경과학 연구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방법으로 이론적이고 계산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 세포에서 반응 인코딩에 해당되는 신호 발생율(firing rate)과 스파이크 통계(spike statistics)를 설명하고, 신경 세포에서 반응 디코딩에 해당되는 스파이크-트레인 디코딩(spike-train decoding)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세포배양과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통한 도파민 수용체의 연구

  • 김경만;임동구;오기완;최수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31-231
    • /
    • 1994
  • 이 연구는 인삼 성분 약물이 도파민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첫 단계로써 그 기본적인 assay system을 정착 시키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우리는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후 2-4 일의 쥐를 사용하여 흑질, 선조체, 해마구, nucleus accumbens등의 뇌 부위에서 신경세포 배양을 시도하였다. 흑질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들의 경우엔 면역 세포학적방법을 써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신경이 도파민성 신경이나 GABA성 신경들 이었다. 또한 이들 세포들의 전기 생리학적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흑질에서 신호 전달체계가 잘 확립된 GABA 수용체의 작용을 살펴 본 결과 이 신경세포들은 GABA-A 및 GABA-B 수용체의 발현은 물론 이온 채널에 미치는 신호 전달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었다. 도파민 수용체의 작용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배양한 신경세포에 도파민agonist를 가해서 이온 채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선조체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Dl 과 D2 agonist에 대해서 상반되는 반응을 나타냈다. 즉 Dl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를 활성화 시켰으나 D2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들을 억제 하였다. 한편 해마구의 CAI 과 CA3 부위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에 대한 도파민 agonists의 작용은 선조체의 신경세포에 대한도파민 agonists의 작용과는 상반되는 반응 이었다. Dl agonist는 해마구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 하였으나 D2 agonist는 이들 신경세포들의 활성을 증가 시켰다. Nucleus accumbens 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도파민에 의해서 그 활성이 억제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봐서 같은 도파민 수용체라도 분포되어 있는 조직에 따라서 신호전달 에 관여 하고 있는 C-단백이나 이차 전령물질이 달라서 신경세포에 대한 작용이 다르든지. 약리학적으로는 구분되지 않으나 뇌의 조직에 따라서 분포가 다른 도파민 수용체의 아그룹이 존재 한다고 생각된다.

  • PDF

피열근에서 상후두신경에 의한 운동신경 지배

  • 김영모;조정일;한창준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7.04a
    • /
    • pp.118-118
    • /
    • 1997
  • 갑상피열근이나 피열근에 대하여 상후두신경과 반회후두신경의 이중지배(dual supply)는 오랜동안 논란이 되어왔다. 특히 피열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반회후두신경의 피열분지에 의해 지배되며 또한 상후두 신경의 내지의 일부인 ramus preforantes에 의해서도 이중지배를 받는다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피열근의 운동신경지배 중 상후두신경의 역할에 대해서 적지않은 보고가 후두의 신경해부학적인 고찰 및 전기적 자극을 통한 연구에서 단지 피열근 근처에서 twig을 형성할 뿐, 직접적인 운동지배 현상은 보이지않음을 입증하여 피열근은 오직 반회후두신경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운동지배된다고 주장하였다. 저자는 양측 반회후두신경을 절단한 개 모델에서 피열근에 대하여 HRP 역행성 착색법 후 뇌간에서 살펴본 결과 후두의 운동신경원인의 핵에서 양성으로 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상후두신경의 내지에 대하여 운동신경섬유의 표식자로 여겨질 수 있는 Cholineacetyl transferase(CHAT) 면역염색을 시행한 결과 피열근의 운동신경에 상후두신경이 괸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of Diabetic Polyneuropathy: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운동신경전도검사)

  • Kang, Ji-Hyuk;Lee, Yun-Seo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0
    • /
    • pp.237-245
    • /
    • 2010
  • Nerve conduction studies (NCS) are the most objective measure of nerve function and essential for the diagnosis of sub-clinical neuropathy in diabetes mellitus and diabetic polyneuropathy (DPN). This study evaluates the characteristic of electro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DPN. Electrodiagnostic data from 120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ies and 77 control subjects were reviewed.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ies (MNCV), distal motor latencies (DML),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 amplitudes, No potential frequency and conduction block were analyzed. Data were normalized based on normative reference values, and the proportion of nerves with abnormal values in the lower and upper limbs were evaluated. DPN was systemic demyelinating peripheral polyneuropathy and more severe abnormal nerve conduction was found in lower limbs than in upper limbs. The abnormal degree was more severe in peroneal nerve. It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conduction block in control and DPN group. Our findings suggest that DPN had more common and severe peroneal nerve involvement in the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MNC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lectrophysiological evaluation of DPN.

Ultrastructural Analysis of Chemical Synapses in Cultured Wild Type Drosophila Embryonic Neurons (초파리 배자 신경세포의 화학적 신경연접 미세구조)

  • Oh, Hyun-Woo;Park, Ho-Yong
    • Applied Microscopy
    • /
    • v.34 no.4
    • /
    • pp.223-230
    • /
    • 2004
  • To identify the structural basis of mutations that affect synaptic transmission we have begun quantitative ultrastructural descriptions of synapses in cultured Drosophila embryonic neurons. In wild-type cultures, synapses are distinguished by the parallel arrangement of a thickened pre- and post synaptic membrane separated by a synaptic cleft. The presynaptic active zones and postsynaptic densities are defined by electron dense material close to the membrane. Presynaptic regions are also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one or more electron dense regions, presynaptic densities, around which a variable number of small, clear core synaptic vesicles (mean $35.1{\pm}1.44$ nm in diameter) are clustered. Subsets of these vesicle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ither the presynaptic density or the membrane and are considered morphologically docked. A small number of larger, dense core vesicles are also observed in most presynaptic profiles.

Speciated Neural Networks Evolved by Fitness Sharing (적합도 공유에 의해 진화한 종분화 신경망)

  • 안준현;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2-14
    • /
    • 2000
  • 기존 진화 신경망 연구는 마지막 세대에서 최적의 신경망을 찾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마지막 세대의 다른 신경망들이 진화와 학습을 통해 얻은 정보를 모두 무시한다. 최근에는 가능한 많은 정보를 이용해서 보다 뛰어난 성능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마지막 세대의 모든 신경망들의 정보를 결합하는 다중 신경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효과적인 다중 신경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경망들이 다중 신경망을 구성해서 서로 보완해 주도록 하여야 하는데, 아직까지 효과적인 다중 신경망 구축 방법은 나오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유전자 연산에서 다양한 해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종분화를 이용해서 다양한 신경망들이 생성되도록 하는 다중 신경망 구축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이 방법의 효용성을 보인다.

  • PDF

신경망 VLSI 기술의 발달과 현재

  • 한일송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9 no.11
    • /
    • pp.47-52
    • /
    • 1992
  • 신경망 실용화에 기본이 되는 신경망 VLSI 기술의 최근 발전 추세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대규모 고속 신경망 VLSI 구현 방법들인 디지털,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신경망 칩들을 비교하였으며, 십 수만 단위의 하이브리드 신경망 칩기술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