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세포

Search Result 1,68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n Signal Transmission of Neuron and Simulation of Action Potential by Sodium ion Concentration (뉴런에서의 신호 전달 해석과 Na 이온농도에 따른 활성전위 시뮬레이션)

  • 김석환;도경선;류광렬;오용선;허창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455-459
    • /
    • 2000
  • 신경의 기본단위인 뉴런을 계층 구조형태로 연결하여 자극에 대한 각 뉴런의 신경전달 메카니즘을 분석하고 Na 이온의 값을 변형시켜 활성전위에 미치는 영향을 LINUX를 기초로 한 GENESIS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해 보았다. 뉴런은 미세한 자극뿐만 아니라 이온농도의 변화로 인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신경의 활성전위와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에서의 이온농도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세포를 전기회로 적인 모텔을 기준으로 설계하였으며, 농도의 변화에 의해 활성전위 전달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과대한 농도 변화는 신경에서의 과도한 활성전위와 매우 낮은 전위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의 어느 부분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뇌에서의 열, 뇌 세포 손상, 근육마비, 심장마비 등의 이상 현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Mercuric chloride on the differentiation of cerebrum of Chick Embryo (계배 대뇌의 분화에 미치는 수은의 영향)

  • 김생곤;조광필김정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3
    • /
    • pp.428-438
    • /
    • 1994
  • HgC12의 투여량에 따른 8일 계배의 대뇌 신경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신경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또한 탈수소효소의 활성도 및 ATP의 변화 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뇌 신경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0.1mg과 0.5mg 투여 군에서는 핵막이 약간 불규칙하게 관찰되지만 조면소포체와 Golgi복합체가 발달되고 rnltochondria가 다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1.Omg 투여군에서는 조면소포체와 Golgi복합체의 발달이 미약하였으며. 2.Omg 투여군에서는 핵막이 파괴되고 2중막이 분리되었으며, Golgi복합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였다. 탈수소효소 촬성도는 수은의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LDH의 활성도는 1.Omg투여군이 약간 감소하였고, 2 Omg 투여 군에서는 69n로 크게 감소 현상을 보였다. MDH활성도는 2.Omg투여 군에서 82%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DH활성도는 1.Omg투여 군에서 80%. 2.Omg투여군에서는 65%로 활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ATP의 변화는 1.Omg투여군 이하에서는 정상군과 유의한 변화는 없으나 2.Omg투여군에서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dulation of Harpagophytum procumbens on ion channels in acutely dissociated periaqueductal gray neurons of rats (천수근이 중심회백질 신경세포에서 이온통로 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 Shin Min-Chul;Chang Hyun-Kyung;Jang Mi-Hyeon;Kim Chang-Ju;Kim Youn-hee;Kim Ee-Hwa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0 no.4
    • /
    • pp.17-29
    • /
    • 2003
  • 목적:천수근은 염증성 관절염과 염증성 장 질환 등에 사용되어왔다. 천수근이 중심회백질 신경세포에서 하행성 진통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중심회백질 신경세포를 분리하여 전위고정하에서 nystatin-perforated patch-clamp technique을 시행하였다. 결과: 천수근에 의하여 유발되는 이온전류는 GABA, glycine, 그리고 glutamate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시켰다.

  • PDF

Distribution of ion channels in trigeminal ganglion neuron of rat (흰쥐 삼차신경절 뉴론의 이온통로의 분포에 관한 연구)

  • Kim, Ae-Kyung;Choi, Kyoung-Kyu;Choi, Ho-Yo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5
    • /
    • pp.451-462
    • /
    • 2002
  • 삼차신경은 구강악안면영역의 운동 및 감각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치과임상에서 매우 중요하다. 삼차신경근 중 삼차신경절에 세포체를 갖는 뉴론은 주로 체성 감각을 전달하는 1차 구심신경으로 악안면영역의 촉각, 압각, 진동감각 온도각 및 통각을 담당한다. 이러한 감각의 전달은 기본적으로 신경세포의 이온통로의 활동에 의존하는데 삼차신경절 세포에 여러 종류의 이온통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체 염색법을 이용하여 이온통로가 존재를 확인 하고자 한다. 횐쥐의 삼차신경절로부터 통법에 따라 뉴론을 단일 세포로 분리하고 immunocytochemistry 방법으로 세포를 염색하여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실험에서 이온전류의 측정 등으로 관찰된 여러 종류의 이온통로들을 면역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횐쥐의 삼차신경절 뉴론에서 확인된 이온통로는 소디움통로와 N, P 및 Q-type의 칼슘통로 그리고 BK$_{Ca}$, Kv 4.2 및 Kir 2.1 등의 포타슘통로이었으며 이온통로의 종류에 따라 분포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Effect of FS11052, an Inhibitor of Exocytosis, on Neurite Extension in Rat Hippocampal Neurons and PC12 Cells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제 FS11052가 신경세포와 PC12 세포의 돌기신장에 미치는 영향)

  • Lee Yun-Sik;Kim Dong-Seob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6 no.2 s.75
    • /
    • pp.315-322
    • /
    • 2006
  • FS11052, a novel microbial metabolite from Streptomyces spp. was identified as a small molecular substance and shown inhibition activities for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 from rat hippocampal neuron and PC12 cells. FS11052 is an inhibitor of tritiated norepinephrine ($[^3H]-NE$) release in high $K^+$ buffer solution containing ionomycin, indicating that FS11052 inhibits neurotransmitter release after the influx of $Ca^{2+}$ ions. When examined the effect of FS11052 on glucuronidase release from guinea pig neutrophils, FS11052 inhibited glucuronidase release: when treated with $5{\mu}g/ml$ of FS11052, which was not induced cellular cytotoxicity. The fact that the glucuronidase release in neutrophil and norepinephrine release in neuron was inhibited suggests the similarity in the locations and the mechanisms of FS11052 action targets. When treated with $5{\mu}g/ml$ of FS11052, $[^3H]-NE$ release and neurite extension for both rat hippocampal neurons and PC12 cells were prevented. These observations of FS11052 functioning as an inhibitor of neurotransmitter release suggest that FS11052 has an important role in synaptic transmission in neuron.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ee Venom Acupuncture on MPTP-induced Mouse (MPTP 유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대한 봉독약침의 신경보호 효과 및 항염증 효과)

  • Park, Won;Kim, Jae-Kyu;Kim, Jong-In;Choi, Do-Young;Koh, Hyung-Kyu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7 no.3
    • /
    • pp.105-116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MPTP 유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봉독약침의 신경보호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C57BL/6 mice에 신경독소인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MPTP)를 하루에 2시간 간격으로 MPTP-HCl(20mg/kg per dose)을 4번 복강 내 주입하여 중뇌 흑질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한 파킨슨병 동물 모델을 유발하였다. 실험군은 MPTP군, MPTP 현종 BVA군, MPTP 곡지 BVA군, MPTP 신수 BVA군의 4군으로 하였다. 마지막 MPTP 투여 2시간 후에 1차로 봉독약침을 시술하고, 그 후 48시간 간격으로 총 5차 연속 시술하였다. 봉독약침액의 농도는 0.2mg/Kg으로 하였고, 경혈은 양측 현종($GB_{39}$), 곡지($LI_{11}$), 신수($BL_{23}$)를 사용했고, 주입량은 각 경혈당 양측으로 각 $20{\mu\ell}$씩 주입하였다. 항염증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TH, MAC-1, iNOS HSP70을, 세포사멸에 대한 신경세포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aspase-3을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실험 결과 MPTP 유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현종 곡지 신수혈에 대한 봉독약침은 TH-Immunoreactivity neuron의 감소와 microglial activation을 억제하였다. 봉독약침군 모두 효과를 보였으나 그 중 현종과 신수혈에서 특히 억제작용이 컸다. MAC-1에서는 현종혈이 억제작용이 컸다. HSP70-IR neuron은 곡지에서 유의한 억제작용을 보였으나, iNOS neuron은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세포사멸억제여부 실험에서 봉독약침은 모두 억제작용을 보였으나 특히 곡지자침군에서 caspase-3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봉독약침이 MPTP 투여로 인한 중뇌 흑질의 염증에 의한 도파민 신경세포 손상을,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뇌 발달 태교법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30 no.3 s.328
    • /
    • pp.32-33
    • /
    • 2006
  • 아기는 약 200억 개의 뇌세포를 가지고 바깥 세상에 태어난다. 게다가 더 놀라운 사실은 이 200억 개의 뇌세포가 또다시 각각 2만 개 이상의 다른 가지들로 연결되면서 신경망을 형성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 신경 전달망이 바로 아이 인생의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잠재력의 근원이다. 다시 말해 똑똑한 아이일수록 이 신경망들이 숫자도 훨씬 많고 복잡하게 얽혀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형성된 뇌세포들은 적절한 연락이 오지 않으면 스스로 쓸모없다고 판단하여 임신 8개월 전에 40~75% 가량이 죽어버린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Rhodiola Sacra o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Neuro-2A Cells (설치류 Neuro-2A 신경세포에서 홍경천 에탄올 추출물의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효과)

  • Jo, Nam-Eun;Song, Young-s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8
    • /
    • pp.265-270
    • /
    • 2019
  • Growing evidence suggests that mediating apoptotic cell death of ER st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thological develop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The ethanol extract of Rodiola sacra (ERS) investigates whether ER stress protects neuroinvasive neuro-2A cells from homocysteine (Hcy) cell death and ER stress. In neuronal cells, Hcy markedly decreased the viability of the cells and induced the death of Annexin V-positive cells as confirmed by MTT assay. The Hcy cell viability and apoptotic loss pretreated with ERS were attenuated, and Hcy showed stress in the expression of C / EBP homologous protein, 78-kDa glucose regulatory protein and the junction of X-box binding protein-1 (xbp1) mRNA. ESR decreased Hcy-induced mRNA binding, GRP78 and CHOP cells induced Hcy-induced ER stress and apoptosis, and Western blotting revealed expression of heme oxygenase-1 and HO-1 enzyme activity Inhibition is indicative of therapeutic value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decreased cell death by hemin.

Metamorphic Changes of the Neurosecretory Cells in the Brains of Wax Moth Gafferfa mellonella during Metamorphosis (꿀벌부채명나방 뇌신경분비세포의 변태에 따른 변화)

  • 이봉희;강성훈;김민영;김우갑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2 no.2
    • /
    • pp.120-133
    • /
    • 1989
  • The paraidehyde-fuchsin(PAE)-positive neurosecretory cells in the brains of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have been morphologically examined at the six different metamorphic stages. During the metamorphosis, neurosecretory cells in the brain can be found in the five unclei of pars intercerebralis, lateral region of protocerebrum, optic lobe, deutocrebrum and tritocerebrum. The five nuelel include one to seven neurosecretory cells. On the bases of cell sizes and histochemical specificities of neurosercretion within cells, all the PAF-positive neurosercretory cells included in the six different metamorphic brains can be recognized as four species of neurosecretory cells as follows; (1) large (about 25 $\mu$m), neurosecretion-parcked cell (type I neurosecretory cell), (2) large, granule-dispersed cell (type II neurosecretury cell), (3) small (about 15 $\mu$m), neurosecretion-packed cell (type III neurosecretory cell), and (4) small, granule-dispersed cell (type IV neurose-cretory cell). The three tb seven medial neurosecretory cells are included in the pars intercerebralis of the six different metamorphic brains. With the increase of days from the late larva to the adult the type I cells of medial neurosecretory cells gradually decrease in number, but the respective three type II neurosecretory cells appear in the five different metamorphic brains except in pupa 2 day before the emeregnce of the adult which has only one type II. The one to five lateral neurosecretory cells are observed in the lateral region of protocerebrum from thepupa just after pupation to the adult. The type IV neurosecretory cells are the most in number of lateral neurosecretory cells. The one type Ineurosecretory cells are included near the optic lobe of only the 4-day-old pupa. the one deutocerebral neurosecretory cell, type II, appears only in the adult. The tritocerebrum includes both three neurosecretory cells in the late larva and one neuresecretory cell in the adult. In the late larva the two tritocerebral neurosecretory cells are type Ill neurosecretory cell and the one is type IV. The remaining one tritocerebral neurosecretory cell is type IV.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