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섬유초종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 증례 보고 -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the Sciatic Nerve in a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 A Case Report -)

  • 송상호;조성우;심창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1
    • /
    • 2000
  • 악성 신경초종은 주로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매우 드문 육종으로 기존의 신경섬유종이나 신경초종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말초신경에서 새로이 발생하기도 하며 방사선 치료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신경섬유종증의 기왕력이 있는 3 9세 남자로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는 대퇴후방의 동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계가 분명한 $6.5{\times}5{\times}4.5$cm 크기의 종괴는 광학 현미경상 촘촘히 압축된 방추상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신경섬유종증 환자는 이차적으로 악성 신경초종의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악성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 PDF

신경섬유종증의 동반이 없는 총상 신경초종 - 2 례 보고 - (Plexiform Neurilemmoma Unassociated with Neurofibromatosis - 2 Cases Report -)

  • 이기행;김윤수;정창훈;성미숙;김진아;최승욱;김형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2-87
    • /
    • 2005
  • 신경초 세포에서 기원하는 양성 종양에는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이 있다. 이 중 총상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는 대부분 신경섬유종이며, 신경초종의 경우는 매우 드물다. 총상 신경초종은 신경섬유종증을 동반하지 않고, 악성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반드시 신경섬유종과 감별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각 각 좌측 상완부와 우측 족부에 발생한 총상 신경초종 2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종격동 악성 말초 신경 초종으로부터 유방 전이의 영상 소견: 증례 보고 (Imaging Findings of Breast Metastasis from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Mediastinum: A Case Report)

  • 박소형;박지연;주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70-775
    • /
    • 2023
  • 악성 말초 신경 초종은 드문 연부조직 종양으로, 주로 몸통, 사지, 두경부에 주로 위치하며, 유방에는 드물다. 저자들은 신경섬유종증 1을 가진 27세 여자 환자에서 유방으로 전이된 악성 말초 신경 초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흉부 단층촬영에서 오른쪽 유방에 경계가 분명한 타원형의 약간 조영 증강되는 종괴가 보였다. 초음파에서 혈류와 증등도의 탄성을 가진 경계가 분명한 타원형의 비균질한 에코의 종괴로 보였다. 유방 종괴는 수술로 제거되었고, 악성 말초 신경 초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드물지만, 악성 말초 신경 초종은 신경섬유종증 1을 가진 환자에서 유방 종괴의 감별진단에 포함되어야 한다.

자발성 혈흉을 동반한 후종격동 신경섬유초종 (Spontaneous Hemothorax in a Patient with Posterior Mediastinal Neurilemmoma -A case report-)

  • 김혁;양주민;정기천;김영학;강정호;정원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19-1021
    • /
    • 2004
  • 신경종은 후종격동 종양의 흔한 형태이며 주로 증상 없이 단순흉부촬영상 우연히 발견되거나 흉통이나 요통 등의 신경압박증상이나 기관지를 압박하여 나타나는 증상 등에 의해 발현되기 쉽다. 하지만 본 증례와 같이 자발성 혈흉을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환자는 45세 남자로 갑자기 생긴 흉통 및 호흡곤란을 증상으로 타 병원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단순흉부촬영상 우측 늑막삼출이 의심되어 폐쇄성 흉관삽입술 후 혈흉으로 진단되었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후종격동 종양 소견 보여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전원 후 시행한 흉추 자기공명영상촬영상 아령모양의 신경종 의심되어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고 병리조직검사상 신경섬유초종으로 판명되었다.

말초신경에 생긴 다발성 신경초종 - 증례 보고 3예 - (Multiple Schwannomas in the Peripheral Nerve - 3 Cases Report -)

  • 강호정;이대영;윤홍기;한수봉;박찬일;양석우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5-109
    • /
    • 2005
  • 제 2형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의 임상적 특징 없이 말초에 발생한 티넬징후를 보이는 다발성신경초종(Schwannomatosis) 3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주증상은 동통이었으며 3예에서 청장년에서 발생하였다. 발생부위는 상완신경총, 슬와부 그리고 수부였다. 상기 환자 모두에서 이명과 현훈 및 시력저하소견 관찰되지 않았으며 가족력은 없었다. 3예에서 모두에서 두부 자기공명영상 촬영상 전정신경초종(Vestibular schwannoma)이 관찰되지 않았다. 병리소견상 신경초종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더 많은 증례의 수집과 연구로 다발성 신경초종의 임상양상, 임상경과 그리고 유전학적 특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하곤란을 초래한 구인두부 신경초종 1례 (A Case of Oropharyngeal Neurilemmoma with Swallowing Difficulty.)

  • 심상열;양오규;백석인;윤강묵;박순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1-11
    • /
    • 1981
  • 신경초종은 뇌 및 척수신경의 근부등 비교적 굵은 신경의 신경초로부터 발생하고 단발성이며 피막이 있는 양성 종양이다. 1908년 Verocay가 처음으로 Neurinoma라고 명명한 이래 Peripheral Fibroblastoma(Penfield, 1930) Peripheral Glioma, Neuroma 및 Schwannoma등의여러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으나 1935년 Stout에 의해 Neurilemmoma라고 명명하기에 이르렀다. 이 종양은 1955년 Conley에 의하면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발생하며 두경부에서 약 25% 이상이 나타나고 이비인후과영역에서는 청신경에 가장 많고 다음이 후두, 인두, 구강의 순으로 나타난다. 구인두의 양성 종양은 편평상피 유두종이 가장 많으며 드물게는 지방종, 섬유종, 연골종, 신경초종등이 나타날 수 있다. 구인두 신경초종은 주로 미주신경, 설하신경등 주위신경의 신경초에서 발생되며(Iliadeg and Wutson, 1967, 서서히 성장하므로 종물이 커지기 전에는 종물부 이물감, 압통외에는 특이한 증상이 없다. 저자들은 구인두 측벽에 4cm$\times$4cm$\times$5cm의 거대 종물로 연하곤란을 초래한 신경초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흉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1례 보고- (Malignant Schwannoma on the Right Chest Wall -1 Case Report-)

  • 황의두;황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51-1053
    • /
    • 1997
  • 악성신경초종은 Schwan cell 또는 신경초 세포(nerve sheath cell)에서 발생하는 아주 드문 종양으로 빈번히 신경섬유종증(Von Rechlinghausen's disease)과 연관되어 있다. 환자는 64세 남자로 우측 가슴에 내원 2개월전부터 있던 무통성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신경섬유종 증과의 동반은 없었다 전산화 단층촬영상 종물의 크기는 6 $\times$ 6 cm였으며, 11번 늑골과 횡경막을 침범하였 고 우신을 앞쪽으로 밀고 있었다. 본 교실에서는 흉벽에 발생한 악성신경초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후두의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of the Larynx)

  • 김종선;윤태현;노관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5-9
    • /
    • 1979
  • 후두에 발생한 신경성종양은 극히 드물 질환이며 신경초종 혹은 신경섬유종이 나타난다. 현재까지 약 100례 이하의 신경성종양의 보고가 있으며 이들중 신경섬유종양과 동반된 예는 20례에 불과하다. 주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발성장애와 언어장애등이 있으며 어느 연령에나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2례의 후두의 신경섬유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1은 선천성후두신경섬유종으로 2개월된 남아는 생후즉시로 부터 심한 호흡곤란과 발성장애가 있었으며, 증례 2는 28세의 여자에서 다발성신경섬유종증(von Recklinghausen's disease)에 동반하여 후두에 신경섬유종이 발생한 예이다. 본 논문에서 자자들은 증례보고와 함께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 PDF

사지 및 체간에 발생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의 발생 분포 (Distribution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Occurred in Extremities and Trunk)

  • 김태승;서경원;김태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3
    • /
    • 1999
  • 1984년 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에서 경험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총 230례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결절종(26.5%)이 가장 많았고, 혈관종(19.6%), 지방종(17.0%), 슬와낭종(13.0%), 신경초종(7.0%)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그리고, 임파관종(3.9%), 섬유종증(3.0%), 사구종(3.0%), 신경 섬유종(2.2%), 평활근종(0.9%),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0.9%), 점액종(0.9%), 외상성 신경종(0.9%), 황색종(0.4%), 활액막성 연골종증(0.4%), 골화성 근염(0.4%)이 발생하였다. 2. 종양의 분포 연령은 비교적 전 연령층에 걸쳐 고르게 발생하였다. 이 중 혈관종과 임파관종은 20세 이전에 호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성별 분포는 남자 98례, 여자 132례로 여자에게 약 1.3배 많았으나, 슬와낭종과 신경초종은 남자에게 호발하였다. 4. 15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혈관종, 결절종, 임파관종, 지방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6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결절종, 지방종, 슬와낭종, 혈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 발생 부위는 하지(60.0%)에 호발하였고, 상지(35.2%), 체간(4.8%)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6. 크기가 1cm 미만인 종양은 결절종, 사구종, 혈관종, 임파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5cm인 종양은 결절종, 혈관종, 슬와낭종, 지방종, 신경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cm 이상인 종양은 지방종, 혈관종, 임파관종, 결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7. 모든 환자는 절제술로 치료받았고, 국소 재발은 22례(9.6%)에서 나타났으며 혈관종이 12례로 가장 많았다. 재발율은 외상성 신경종,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 신경 섬유종, 섬유종증, 혈관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상완신경총에서 발생한 신경원성 종양 - 1예 보고 - (Neurogenic Tumor of the Brachial Plexus -A case report -)

  • 김덕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84-87
    • /
    • 2004
  • 상완신경총에 생기는 신경원성 종양은 드문 질환이다. 최근에 저자는 상완신경총에 발생한 한 예의 신경초종을 치험하였다. 환자는 34세 남자로 좌측 쇄골상부에 서서히 자라는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 쇄골하동맥의 후상방부에 고립성 종괴를 발견하였다. 수술 시 상완신경총 직하부에 피막으로 잘 감싸진 종괴를 발견하였으며, 신경 섬유를 가능한한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 피막을 열고 종양을 적출하였다. 수술 후 신경학적인 결함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