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의 분류

Search Result 1,92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Numerical Simulation the Effect of Stormwater Treatment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 Small Reservoir (초기우수처리에 따른 소규모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 수치모의)

  • Ye, Lyeong;Liu, Huan;Lee, Heung-Soo;Kim, Yu-Kyung;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64-2068
    • /
    • 2007
  • 합류식 하수도는 오수와 우수를 동시에 배제하는 하수관거 시스템으로 시공이 쉽고 건설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강우시 차집되지 않고 월류되는 유출량으로 인해 수체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관거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는 강우 초기에 유역에서 집중적으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과 하수 및 관거내 오염물질 등을 동반하여 수질 개선을 어렵게 하고 수질 악화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역에 설치된 합류식 하수관거를 분류식으로 개선하고 강우시 초기 세척에 의해 유입하는 비점오염원을 삭감하기 위한 초기우수 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M 저수지 수질개선 효과를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저수지의 수질예측은 횡방향 평균 2차원 저수지 수리 및 수질모델인 CE-QUAL-W2를 사용하였다. 저수지 유입량은 군산기상대에서 관측한 일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유출량을 산정하였고, 댐 방류량 자료는 M저수지의 2006년 일별 관측수위를 이용하여 유입량과 수위-체적 곡선으로부터 산정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05년 5월과 8월에 측정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저수지의 관측값과 모의결과는 저수지 중앙부 대표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델은 관측값을 잘 반영하였다. 모의 결과 M 저수지의 연평균 BOD농도는 합류식(1.25 mg/L)에 비해 분류식 하수 관거(0.91 mg/L)를 도입할 경우 27.2% 개선되었으며, 초기우수 처리시설(0.84 mg/L)을 추가 할 경우 32.8%까지 개선효과가 상승하였다. 기존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 연간 유출부하량은 7,713 kg/yr이었으며, 분류식으로 전환할 경우 2,256 kg/yr, 초기우수처리시설을 추가할 경우 902 kg/yr로 삭감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분류식하수관거와 초기우수처리를 모두 이행할 경우, BOD와 COD 기준이 호수 수질 기준 II등급 이내로 유지되며, T-P 농도는 0.02mg/L 이하로 유지되어 6월 이후 여름철에 저수지내 조류성장 억제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통해 M 저수지는 기존의 농업용 저수지의 목표수질뿐만 아니라, 친수공간으로써 적합한 II등급 수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Faceted Scheme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의 조합식 분류체계 분석)

  • Jung Hae-S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4
    • /
    • pp.133-153
    • /
    • 2005
  •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uggest the KDC's facet structure. KDC is using the Decimal Classification's facet structure. New suggestions are : Clearly use standard subdivisions and add instruction like 'Add to base number $\~$ notation $\~$ from table $\~$' : auxiliary tables contents are need to revise and expand to make a add table found in schedules and provide numbers to be added to designated schedules numbers are necessary.

  • PDF

오차항이 이분산성을 가지는 일원분류 모형에서 일반 F-검정의 유의수준에 관한 고찰

  • 김기환;이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65-171
    • /
    • 2000
  • 일원분류 모형에서 표준 F-검정을 하기 위해서는 오차항에 대한 등분산성을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가정은 지켜지기 힘들며, 이에 더불어 관찰치가 각 집단별로 일정하지 않고 불균형한 경우에는 F-검정의 유의수준이 지정된 값을 만족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검정력에 관한 분석은 의미가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등분산성이 지켜지지 않고, 자료가 불균형한 경우, 현실적인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검정의 유의수준 유지라는 문제가 어 떤 변화를 겪게 되는지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유의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식의 조정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 PDF

Suggesting an Analytico-Synthe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Classifying Materials by and about Shakespeare or His Works (Shakespeare 관련자료 분류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오동근;황일원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4 no.1
    • /
    • pp.217-237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eral problems in classifying materials by and related to Shakespeare in the university libraries and suggests a new analytico-synthetic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related classes on the major classification systems including DDC, LCC, CC, etc. and other studies and hompages In the area or Shakespeare study. New system consists of four facets, and Its facet formula is “generalities + form + works + language,” each of which includes Its own foci.

  • PDF

퇴적물의 분류를 위한 Landsat TM자료와 Hyperspectral reflectance 자료 적용

  • 유영철;송무영;안충현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78-18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실에서 퇴적물의 다분광반사 특성과 물성을 측정하고 이를 위성 영상에 적용하여 영상에서 나타나는 퇴적물의 분광차이의 원인을 해석하고, 위성영상에서의 퇴적물의 분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에서는 Landsat TM위성 영상과 350~2500nm 파장대역에 대한 퇴적물 시료의 분광측정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TM 영상에서 퇴적물을 분류한 후,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입도 분류를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입도와 함수비에 따른 분광특성변화를 검증하였으며, 입도와 함수비에 대한 회귀식을 구하여 이를 영상에 적용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다분광자료 측정시 퇴적물입도에 따른 분광차이는 미약하였으며 이를 TM 자료로 재구성하였을 때는 분광특성을 구분할 수 없었다. 퇴적물의 분류는 TM Band 4, 5, 7을 이용한 회귀식을 적용할 때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났으나, 영상에서 퇴적물의 분광 차이는 입도 크기가 직접적인 요인이 아니라 입도에 의한 함수비 및 유기물 함량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Vascular Plants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ed area in Gimhae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의 관속식물상)

  • Yun-do, Hwang;Sang-jun, H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6 no.1
    • /
    • pp.92-11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ed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rized as 339 taxa including 81 familices, 221 genera, 315 species, 9 subspecies and 12 varieties and 2 forms.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Hydrocharis dubia and so on.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were 32 taxa including 17 taxa of grade I, 7 taxa of grade II, 4 taxa of grade III, 2 taxa of grade IV and 2 taxa of grade V.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6 Rumex crispus, Oenothera biennis, Veronica arvensi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ere 11 taxa including Humulus scanden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Lactuca seriola, Symphyotrichum pilosum and so on. The hydrophytes were 29 taxa including 16 taxa of emergent plants, 3 taxa of submerged plants, 4 taxon of free-floating plant 6 taxa of floation-leaved plants.

An Efficient Visualization Method for Interactive Volume Rendering (대화식 볼륨 렌더링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가시화 방법)

  • Kim,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8 no.1
    • /
    • pp.1-11
    • /
    • 2002
  • In order to widely use volume rendering technology in practical fields, a user should be able to control the classification parameter interactively and extract a meaningful information easily from the 3D data as fast as it can be. Previous work on an accelerating volume rendering reconstructs an isotropic volume from an anisotropic one and classifies in pre-processing time and then renders the classified volume rapidly in run time. But, this traditional step may result in long pre-processing time and no real-time feedback.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classification and rendering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set the opacity transfer function interactively at rendering time on a personal computer without special-purpose hardware.

  • PD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Ridge of the Northernmost Baekdudaegan Mountains(Hyangrobong~Guryongryeong) (최북단 백두대간(향로봉~구룡령) 능선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Oh, Hyunkyung;You, Juha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4
    • /
    • pp.347-3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Baekdudaegan Mountains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from Hyangrobong area to Guryongryeong a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in the whole survey areas were summarized as 633 taxa including 95 families, 321 genera, 549 species, 4 subspecies, 70 varieties, and 10 forms. There were 285 taxa in Hyangrobong area, 256 taxa in Masanbong area, 318 taxa in Mt. Seoraksan area, 281 taxa in Mt. Jeombongsan area, 173 taxa in Bukamryeong and Ohsaekcheon valley area, 197 taxa in Soenadeuri area, 203 taxa in Yeongarigol area, and 168 taxa in Guryongryeong area. The endangered species were 2 taxa including Leontice microrrhyncha and Smilacina bicolor. The rare plants were 39 taxa including Pinus pumila, Halenia corniculata,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nd so forth. In IUCN Red List categories, there were 2 taxa of CR, 7 taxa of EN, 10 taxa of VU, 18 taxa of LC, and 2 taxa of D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3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Anemone koraiensis, Lespedeza maritima, Cirsium setidens, Saussurea seoulensis, Carex okamotoi, and so forth. The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48 taxa including 17 taxa of endemic plants, 1 taxon of southern plant, and 30 taxa of northern plant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2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Cerastium glomeratum, Papaverrhoeas, Bidensfrondosa, Lolium perenne,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Compais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Approaches (기준증발산 산정방법 비교)

  • Rim,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87-99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과거 제안된 5가지의 기준증발산식으로부터 산정된 증발산량과 pan 증발량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an 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21개 기상관측지점에서 과거 제안된 5가지의 기준증발산식들을 비교하고 그 유사성을 알아보았다. 비교 검토된 기준증발산식은 4가지 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방법 중에서 각기 대표적인 기준증발산량 산정식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적용된 기준증발산식은 에너지와 공기동력항의 조합법에 근거한 Penman 식, 단일근원법에 근거한 FAO Penman-Monteith(FAO P-M) 식, 복사자료를 이용한 방법인 Makkink 식과 Priestley-Taylor 식, 그리고 기온자료에 근거한 방법인 Hargreaves 식 등이다. 연구지역 선정을 위하여 기상관측지점이 있는 지역의 지리 및 지형조건을 고려하였다. 사용된 기상자료는 1970년부터 5년 간격으로 8개년의 일별 기상자료를 사용하였다. 적용결과는 수치 및 시계열 도시방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기준증발산식과 pan 증발량과는 0.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pan 증발량과 비교하여 회귀식의 경사가 1.0보다 크거나 작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전국 21개 연구지역 중에서 12개 지역에서 대기온도자료에 기초한 Hargreaves 식이 FAO P-M 식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대구지역을 제외하고 해안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에 내륙에 위치한 8개 지역에서 복사량자료에 기초한 Priestley-Taylor 식이 FAO P-M 식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