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형태

Search Result 3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perimental Study of Vegetated Flows in the Stream-scale Natural Channel (자연형 수로 내 식생흐름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Ryu, Yong-Uk;Kim, Jihyun;Ji, Un;Kang, Joon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5
    • /
    • pp.587-594
    • /
    • 2019
  • This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 and low densities of vegetation patches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 a stream-scale outdoor experimental channel with rooted willows. Stream-scale experiments on vegetated flows were carried out for an emergent condition of vegetation. Vegetation patches were arranged by alternate bar formation and the flows in vegetated and non-vegetated sections were compared. Three-dimensional flow structure was measured by ADV (Acoustic Doppler Velocimeter)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longitudinal velocity were mainly analyzed from the measurements at various points. Flow velocities show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density of vegetation patches. The difference in flow velocity between in the vegetated and non-vegetated sections appear to large in the dense patches and the flow becomes complicated at the downstream edge of the patch. Despite the upstream flow disturbed by the first patch, the flows over the second patch show the similar pattern.

Experimental Research of Cross Section Characteristics of Open-channel flows over Submerged Vegetation (침수식생 개수로 단면특성의 실험연구)

  • Choi, Sung-Uk;Yang, W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30-934
    • /
    • 2007
  • 본 논문은 수리실험을 통해 침수식생 개수로의 단면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실험논문이다. 레이저 도플러 유속계를 이용하여 측벽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침수식생 개수로의 2차원 순간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유속자료를 이용하여, 평균유속, 레이놀즈응력, 난류강도를 살펴보았으며, 침수식생 개수로 흐름의 단면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침수식생 개수로는 기존의 일반적인 개수로흐름과는 다른 단면 흐름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최대유속 발생지점이 수로 중앙이 아닌 측벽 근처로 이동하였으며, 이차흐름의 영향으로 인하여 흐름방향 등유속선의 물결형태와 레이놀즈응력 및 난류강도의 최대값 발생위치 이동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 of New Mattress System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Vegetation Coverage of Stream bank (계안 복원을 위한 매트리스형 식생기반재 돌망태 공법의 계안사면 피복효과)

  • Choi, Hyung Tae;Jeong, Yong-Ho;Park, Jae-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2
    • /
    • pp.175-18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mattress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for protecting stream bank and rapid rehabilitation. Vegetation base materials are primarily compounded with fine soil, organic composts and peat moss as plant fibers, a water retainer and a soil improver. Peat moss can usually provide necessary natural fibers and organic materials in soil. Especially, peat moss can absorb up to 25 times its own weight in water and is therefore valued as a water retainer to prevent drying effect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which can harm the growth of vegetation in mattresses. Normally mattress systems resist the lateral earth pressures or stream power by their own weight. Therefore, filled materials must have suitable weight,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to resist the loading, as well as the effects of water and weathering. In this project, 100 to 200-mm clean, hard stones were basically specified, and about 50-mm rubbles were also used. Test application of new mattress system carried out in the stream bank of a small stream in the Gwangreung experimental forest, belonging t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in December 16th, 2006.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of vegetation coverage of test application plots (each plot size is 4 by 2 m), the coverage of all plots reached 100% in the end of May, 2007 (approximately 50 days passed after the first gemination of vegetation). The coverage of the plots using big hard stones and organic composts and the plots containing peat moss increased more rapidly. The results show that peat moss is effective to retain soil moisture and establish more sound environment for vegetation gemination.

The riparian vegetation community models according to hydrologic and soil environments - Case of Daecheongho lake reservoirs - (수문 및 토양환경을 고려한 수변식생군락 조성 모델 - 대청호 저수지를 사례로 -)

  • Park, Mi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1
    • /
    • pp.144-154
    • /
    • 2017
  • The riparian vegetation is one of corridor type ecosystems, an ecotone and able to improve the ecological soundness by structural and functional link. And they act as habitats, sources and sinks of species, conduits, filters and barri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vegetation model for the fluctuation areas of lake reservoirs consider of hydrologic and soil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eference ecosystem. To develop the case study, 2 sites within 10degree slope of the Daecheong Lake were selected. The riparian vegetation models were built by the results of GIS analysis, remote satellite analysis, field survey results, consider of water level, flooded frequency, soil and topographic index, land cover or land use etc. 1) study area varied from FWL to -5m of NFWL, 2) slope 10% below, 3) vegetations flooded below 100days yearly are Salix koreensis, Salix chaenomeloides, Salix gracilistyla, 4)land cover type classified wildlife grassland, abandoned paddy field, cropland according to landuse (or landcover), 5)finally model was constructed as ecological landscape forest. The model designs were suggested by 2 types in Daecheong lake reservoir. The model for the riparian vegetation corridors could be the basic and useful data to improve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propertie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lift Capacity of Anchor Pin for Fixing the Vegetation Mat (식생매트 고정용 앵커핀의 인발력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yun-Woo;Kim, Yun-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9-324
    • /
    • 2011
  • 최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두로 하천의 생태기능 향상을 위한 호안조성공법 중 하나인 식생매트호안 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하천의 경우 비교적 큰 하상계수와 소류력의 증가로 식생매트 고정용 앵커핀의 기능 저하에 따른 호안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앵커핀의 외력저항성 연구 및 설치를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앵커핀의 인발특성을 연구함으로서 외력저항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앵커핀을 관입시킨 토사에 인발장치를 연결하여 최대인발력과 인발력의 변화추이를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토사는 물다짐으로 다졌으며, 앵커핀은 식생매트 고정용으로 적용이 많은 이형철근형 앵커핀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형태가 동일한 원형철근을 이용하여 앵커핀을 제작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조건은 앵커핀의 직경(10mm, 16mm)에 따른 주면과 침수토사의 배수시간 (48hr, 96hr, 144hr) 조절을 통한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인발특성을 관측하였다. 실험결과 평균 최대인발력의 변화는 48시간 배수시 직경변화에 따라 이형철근은 12.8N, 28N, 원형철근은 10.6N, 21N으로 나타났으며, 96시간 배수시 이형철근은 18.8N, 33N, 원형철근은 12.2N, 21.6N으로 나타났고, 144시간 배수시 이형철근은 21.4N, 36.4N, 원형철근은 20.4N, 33.2N으로 나타났다. 앵커핀의 인발력은 주면의 크기에 비례하며, 표면의 형태와 함수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앵커핀의 인발 특성을 파악하고, 식생호안에 적용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Wave Attenuation with Coastal Wetland Vegetation (연안 습지식생에 의한 파랑감쇠 특성)

  • Lee, Seong-D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1
    • /
    • pp.84-93
    • /
    • 2016
  • As a transition region between ocean and land, coastal wetlands are significant ecosystems that maintain water quality, provide natural habitat for a variety of species, and slow down erosion. The energy of coastal waves and storm surges are reduced by vegetation cover, which also helps to maintain wetlands through increased sediment deposition. Wave attenuation by vegetation is a highly dynamic process and its quantification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shore protection and modeling coastal hydrodynamics. In this study, laboratory experiments were used to quantify wave attenuation as a function of vegetation type as well as wave conditions. Wav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nder regular waves for rigid model vegetation. Laboratory hydraulic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regular wave attenuation through emergent vegetation with wave steepness ak and relative water depth kh. The normalized wave attenuation was analyzed to the decay equation of Dalrymple et al.(1984) to determine the vegetation transmission coefficients, damping factor and drag coefficients. It was found that drag coefficient was better correlated to Keulegan-Carpenter number than Reynolds number and that the damping increased as wave steepness increased.

Flow Characteristics in a Real Scale Vegetation Patch using LSPIV Method (LSPIV 기법을 이용한 실규모 식생패치에서의 흐름특성)

  • Kim, Sung Jung;Kim, Hyung Suk;Ko,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9-279
    • /
    • 2019
  • 본 연구는 안동 하천실증연구센터에서 수행된 RIED 실험의 일환으로 실험수로내 식재된 버드나무 식생패치의 밀도에 따른 표면흐름의 특성을 검토하는 실험이다. 실험의 목적은 식생의 침수수위에 따른 식생주변 및 하도의 흐름특성을 검토하는 것으로 침수 수위조건은 유량공급조건의 변화를 통해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LSPIV 기법은 하도내 입자투여를 통해 영상을 이용하여 입자간 이동속도를 분석하여 흐름장을 분석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입자는 강랭이를 사용하였으며, 영상촬영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캠코더를 이용하여 수로 상부에서 흐름영상을 취득하였다. 실험수로는 저면폭 3m, 만제폭 11m 사면경사 1:2의 구조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태의 직선수로로 이루어져 있다. 식생패치는 동일수로내 상부기준 32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패치의 크기는 $4{\times}1.5m$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1은 상공에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그림으로 실험수로 및 LSPIV 분석을 위해 투하된 입자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PIV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된 식생대 및 하도영역에서의 유속장은 그림 2와 같다. 영상분석은 30초영상(900 fram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식생패치 설치지점에서는 주흐름이 발생하는 우안측에서 높은 유속이 발생하고 약간의 편향된 흐름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생후면에서는 식생으로 인한 흐름의 차단 및 스크린효과로 인해 유속의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밀도에 따른 패치 후면부에서는 높은 밀도를 갖는 첫 번째 패치에서 유속의 저감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량조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수위상승으로 인한 식생의 침수면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lope Stability Analysis of New Gabion Wall System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for Stream Bank Stability and Rehabilitation (계안 복원을 위한 식생기반재 돌망태 옹벽의 계안 안정효과 분석)

  • Choi, Hyung Tae;Jeong, Yong-Ho;Park, Jae-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1
    • /
    • pp.130-137
    • /
    • 2012
  • This study has conducted to develop new gabion wall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for stream bank stability and rapid rehabilitation. Vegetation base materials are primarily compounded with fine soil, organic composts and peat moss as plant fibers, a water retainer and a soil improver. Normally gabion wall systems resist the lateral earth pressures or stream power by their own weight. Therefore, fill material must have suitable weight,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to resist the loading, as well as the effects of water and weathering. In this project, 100 to 200-mm clean, hard stones are basically specified, and about 50-mm rubbles are also used. Test application of new gabion wall system carried out in the stream bank of a small stream in the Gwangreung experimental forest, belonging t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in December 16th, 200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draulic stability of new gabion wall system, gabion wall system has highest threshold shear stress when the gabion wall covered by vegetation. New gabion wall system is highly resistant to sliding and overturning because safety coefficients exceed 1.5. As a result of term of slope stability analysis of new gabion wall system by Bishop and Fellenius methods, stability of stream bank was highly increa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gabion wall. Therefore, new gabion wall system is effective to stabilize unstable stream bank.

Study on Slope Reinforcement Effect of Eco-Mat mounting Anchor Pin (식생매트 고정용 앵커핀의 비탈면 보강효과 연구)

  • Kim, Kyoung-Tae;Kim, Yun-Hwan;Kim, Hyun-Woo;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89-1093
    • /
    • 2010
  • 최근 하천의 자연성 및 생태기능의 향상을 위해 매트류 호안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이 적용된 호안은 강수 및 하천수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인해 앵커핀과 비탈면 간의 마찰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마찰력의 저하는 앵커핀의 고정능력을 저하시켜 매트가 들뜨는 현상을 발생시키고, 이로 말미암아 비탈면에 식재된 식생의 고사는 물론 비탈면의 슬라이딩 현상의 발생에 의해 비탈면 붕괴에 까지 이르게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호안매트와 함게 시공하는 앵커핀의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트류 호안제품을 비탈면에 고정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앵커핀에 대한 인발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발실험에 사용된 앵커핀은 실제 하천호안에 적용되고 있는 상용제품으로 형태가 다른 4가지 type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앵커핀의 관입깊이(170mm, 250mm) 별로 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인발장치는 인발부에 로드셀을 장착하여 앵커핀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인발시 발생하는 계측 값을 컴퓨터를 통해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4가지 형태의 앵커핀에 대한 관입깊이별 형태별 인발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비탈면 및 매트의 고정효과가 우수한 앵커핀의 형태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관입깊이별 최대 인발력은 두 변위(170mm, 250mm) 모두 Type 4가 337N, 594N 으로 가장 큰 인발력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변위에 의한 인발력의 증가는 Type 2가 138%로 가장 큰 폭의 증가 값을 보였다. 또한 토양과 앵커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하부가 돌출된 형태로 제작된 Type 2와 Type 4가 상대적으로 실험 후반부에서 최대 인발력이 발생하고 인발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인발저항은 앵커핀 하부의 돌출면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transport with catchment scales and vegetation types (유역 규모 및 식생에 따른 영양물질 이동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82-9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대규모 유역인 충주댐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보정과 검증을 수행한 후, 이를 적용하여 대상유역에서의 유역 규모 및 식생에 따른 유사 및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에 대해서 검토함으로써,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유사 및 오염부하량 발생의 공간적인 특성과 대상유역의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모형 보정 및 검증 결과, 유출에 대해서는 모형효율지수 0.6 이상의 비교적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사와 인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정성적 경향만 파악할 수 있었다. 반면 질소에 대해서는 정성적인 모의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정량적인 모의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결과를 이용하여 각 하도구간별 배수면적 크기별로 비유사량을 검토한 결과 일정한 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식생 형태별 단위면적당 침식량 및 오염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식생별 침식 영향 및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개략적인 평가를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