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조도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Effect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onsidering Volume of Storage Facilities and LID techniques (LID기법과 저류조 용량을 고려한 수질개선 효과 분석)

  • Kwon, Sang Hyun;Park, Young Ki;Kim, Se Min;Gwak, Gyu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44-344
    • /
    • 2016
  • 최근 도시화에 따른 투수면적의 감소인한 우수 유출량의 증가로 비점오염 및 도시 침수피해에 대한 문제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유역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불투수면적의 특성으로 인한 도시 비점오염의 축적량 증가와 함께 적은 강우에도 유출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세척효과에 의해 고농도의 비점오염원을 하천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우수 유출 및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으로 저영향개발(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에 의한 우수유출량의 저감과 수질개선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송천동 지역을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SWMM모형을 구축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LID기법 중 하나인 Bioretention과 저류조용량(900, 1050, 1200, $1350m^3$)을 고려한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송천동 지역에 대한 저류조 및 Bioretention 적용에 따른 수질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 SS는 무시설의 경우 평균 100.08mg/L에서 1) 저류조의 경우 83.40mg/L(17% 감소), 2) 식생저류지의 경우 86.27mg/L(14% 감소), 3)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연계 적용의 경우 79.43mg/L(21% 감소)로 평가되었다. BOD는 무시설의 경우 평균 15.24mg/L에서 1) 저류조의 경우 13.37mg/L(12% 감소), 2) 식생 저류지의 경우 12.29mg/L(19% 감소), 3)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연계 적용의 경우 11.81mg/L(22% 감소)로 나타났다. T - P는 무시설의 경우 평균 1.09mg/L에서 1) 저류조의 경우 0.96mg/L(12% 감소), 2) 식생저류지의 경우 0.84mg/L(22% 감소), 3)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연계 적용의 경우 0.78mg/L(28% 감소)로 수질이 개선되었다.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적용에 따른 SS의 경우, 식생저류지를 적용했을 경우보다 저류조를 적용했을 경우 수질농도가 더 많이 저감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BOD와 T - P의 경우 저류조를 적용했을 경우보다 식생저류지를 적용했을 경우 수질농도가 저감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류조와 식생저류지를 연계 적용했을 경우 각각 적용했을 경우보다 수질농도가 더 많이 저감되는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유역 내 LID기법과 저류조 위치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est study on Flow Resistance for Some Selected Vegetations (식생 조도 계수 산정을 위한 선별된 식생에 관한 실험 연구)

  • Rhee, Dong-Sop;Woo, Hyo-Seop;Kwon, Bo-Ae;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91-1294
    • /
    • 2006
  • 최근 자연형 하천에 대한 인식이 개선됨에 따라 식생은 하천 환경 개선과 하천 복원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소이다. 제방 및 호안에 사용된 식생은 하천의 심미적 가치와 환경적인 가치를 증가시키며, 다른 재료와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식생의 경우, 예를 들어 사석 갯버들 호안 등은 상당히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식생의 활용은 홍수 시 흐름 저항을 증가시켜 수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하천 설계 시 식생의 조도 계수를 정확히 평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식생 조도 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일반 개수로에서 현재 제방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국 잔디(금잔디) 및 양잔디(Perennial Ryegrass)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두 식생 모두 완전 침수(fully submerged)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유사한 유량 범위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단위 폭 당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 잔디에 대해서는 매닝 조도 계수가 0.03 부근에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잔디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단위 폭 당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0.06 부근으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잔디에 대한 실험 결과는 기존 매닝 조도 계수 연구 결과 중 '홍수터-초지(작은 풀)' 조건에 대하여 설계 제안치로 제시되는 수치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ariation of the Drag Force Acting on Vegetation Model Elements (식생 모형 요소를 이용한 항력 변화 검토)

  • Rhee, Dong-Sop;Lee, Du-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5-665
    • /
    • 2012
  • 식생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조도의 관점에서 식생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도 많이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인 식생 조도 실험은 초본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초본류 식생은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단일 개채가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따라서 단일 개체에 의한 조도 특성 보다는 식생군에 의한 조도계수 변화 특성을 알아내는 것이 보통 중요해진다. 하지만 조도의 관점에서 초본류와 달리 목본류는 삭생의 강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식생군의 군집으로서 특징보다는 개별 식생의 형상이 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목본류는 수심에 따라 흐름에 영향을 주는 생체량(biosmass)이 수심에 따라 변화하지만, 줄기(trunk)의 경우 수심에 따라 생체량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줄기의 강성 및 단면 모양이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목본류는 실험 수로에 고밀도의 수목군을 형성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개별 식생이나 소규모 군체에 대하여 항력을 측정하여 조도를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본류의 줄기 부분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원기둥이나 사각기둥과 같은 식생 모형 요소를 이용하여 식생 줄기를 구현하였고, 식생 형상 및 식생 직경 등을 달리하여 침수 조건 변화에 따른 항력 변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Roughness Coefficients Evaluation of the Korean Riparian Vegetation (국내 수변 식생의 조도계수 평가)

  • Rhee, Dong Sop;Lee, Du Han;Kim, Myoung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6B
    • /
    • pp.345-354
    • /
    • 2012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evaluating experimentally roughness coefficients of the Korean riparian vegetations based on the n-VR analysis to suggest the practical guideline for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for the channel design. Hydraul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Phragmites japonica Steud.,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under both submerged and un-submerged conditions, and the n-VR relationships are developed for each grass. Three vegetations tested i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same group showing similar roughness characteristics, though these grasses are strongly affected by vegetation stiffness. Vegetation roughness are also affected by the growth state of plants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of Phragmites communis Trin.

Accuracy Assessment of Environmental Damage Range Calculation Using Drone Sensing Data and Vegetation Index (드론센싱자료와 식생지수를 활용한 환경피해범위 산출 정확도 평가)

  • Eontaek Lim ;Yonghan Jung ;Seongsam K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2
    • /
    • pp.837-847
    • /
    • 2023
  • In this study, we explored a method for assessing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at an accident site through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Data collection involved the deployment of two different drone types, and the damaged area was determined using photogrammetry technology from the 3D point cloud data. To create a vegetation index image, we utilized spectral band data from a multi-spectral sensor to generate an orthoimage. Subsequently,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of the accident site with respect to the damaged area using a predefined threshold value. The Kappa values for the vegetation index, based on the near-infrared band and the green band, were found to be 0.79 and 0.76,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egetation index-based approach for analyzing damage areas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investigations of chemical accidents.

Monitoring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Temperate Region(III) (난온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II))

  • Kang, Hyun-Mi;Kang, Ji-Woo;Kim, Ji-Hae;Sung, Chan-Yong;Park, Seok-G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1
    • /
    • pp.87-101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16 permanent plots (experimental and control) installed in Wando Arboretum in 1996 to monitor the long-term change proces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Especi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f trial treatment (selection cutting and plant introduction), introduced as a restoration technique in 1996, on vegetation development. In communities dominated by Quercus acuta in the canopy (permanent plots 1 through 3), this species's mean important percentage (MIP) decreased,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as introduced from outside increased, likely to change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future. The expans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group was also confirmed in Q. acuta-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permanent plots 5 and 7) and Pinus densifloraforests (permanent plots 9 and 10). In the experimental plots where thinning was carried out, the zoochory (the dispersal of seeds by birds), Cinnamomum yabunikkei, Neolitsea sericea, Machilus thunbergii, etc., and the expansion of the influence of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ere remarkable, so it is considered to have effectively promoted the vegetation development in warm temperate forests. Although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ere planted in the experimental plot to change vegetation structure, it seems the effect on the change was weak due to the small amount of planting. Compared to other vegetation types, the change in the vegetative structure of the pine forest to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clear due to the decline of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세계의 식생에서 본 일본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51
    • /
    • pp.37-41
    • /
    • 1991
  • 이글은 최근 일본조일신문의 조일상을 받은 "세계의 식생으로부터 본 일본.녹(푸른숲) 회복의 처방안"의 필자 궁협 소씨의 글인데 일본인들은 마음속 깊은곳에 조엽수림문화의 모태인 숲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점은 우리와 비슷하다 할수 있다. 앞으로의 사회는 이공학자보다 생태학자를 우대하고 그들이 새시대에 대처하는 구도아래 도시계획.지역계획이 세워져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어 작년 우리나라의 무분별한 녹지파괴의 현실을 개탄하는 우리들에겐 심금을 울리는 글이라 하겠다.

  • PDF

Suggestion of a simple vegetation parameter aggregation method applicable to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 가능한 식생 매개변수의 공간 스케일 확장 기법의 제시)

  • Lee, Kh;Kang, Bs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0-64
    • /
    • 2005
  • 강우-유출 모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표면의 성질을 나타내는 보조 자료로서 식생피복자료, 토양분포, DEM 등이 주어지는데, 이러한 인자들이 흐름을 지배하게 되므로 중요하다. 그러므로 강우-유출 모형에서는 지표에서의 식생을 적절하게 나타내 줄 필요가 있는데, 최근의 원격 탐사 기술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식생 정보는 2차원 디지털 지도로 작성되어 수치모형에서는 이 디지털지도로부터 조도계수의 값을 전환하는 다단계 방법을 이용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강우-유출 모형의 격자 간격이 식생 피복을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지도의 격자 간격과 항상 일치하는 것이 아니고 디지털 지도의 격자 간격이 일반적으로 더 세밀하므로 강우-유출 모형에서 디지털 지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방법의 스케일 확장 (up-scaling)이 필요하며, 이 연구에서는 질량 보존의 법칙을 사용하여 이론적 기반에 근거한 하나의 전략적인 방법이 제시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강우-유출 모형의 수행 시 이질성을 보이는 지표면에서 식생과 관련된 매개변수를 통합/확장 처리하는 하나의 기법을 대기모형에서 이미 제시된 방법을 모사하여 제시함으로써 이질성을 보이는 지표면의 처리할 때 방향을 설정해 주고자함이다.

  • PDF

Trapping Efficiency of Vegetative Filter Strip: Effect of Type and Height (식생대 특성에 따른 유출토사 저감 효율 : 식생의 종류와 높이)

  • Chang, Moonjeong;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6-206
    • /
    • 2019
  • 이 연구는 유출토사량의 저감을 위해 설치되는 식생대의 특성에 따른 효율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검토하는 식생대의 특성으로는 식생의 종류와 식생대의 높이가 포함된다. 식생대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VFSMOD-W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식생대가 적용되는 대상지역은 금강의 지류인 금마천이다. 금마천 유역은 나지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식생대의 설치에 따른 변화를 잘 살펴볼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해당 지역에서의 강우량은 시간당 최대강우량이다. 식생대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보정되는 매개변수는 조고이며 VFSMOD-W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식생의 종류를 입력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에서는 식생대의 간격, 규모 등을 고려할 수 있므려 총 36개 종류의 식생대가 검토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점은 식생대의 설치간격이 좁아질 때 보다 많은 양의 토사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천으로 유출되는 유역토사의 저감을 식생대를 좁게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다. 식생대의 조도계수 역시 토사저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0.012, Bermuda Grass의 경우 0.41로 조도계수를 설정하고 수치실험을 시행한 결과 조도계수의 증가가 유출 토사량 감소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이 확인된다. 식생대의 최대 높이가 주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서 1 cm에서부터 100 cm까지의 식생대 높이를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식생대의 특성 및 설치방식을 고정된 조건으로 두고 식생대의 높이에 따른 영향만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식생대의 최대높이는 유출 토사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출 토사량 저감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식생의 높이보다는 식생의 종류와 조고 등에 보다 집중하여 식생대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PDF

Stability Evaluation of Flood Stage with Vegetation River Restoration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홍수위 안정성 검토)

  • Kim, Byeong-Chan;Song, Joong-Geun;Kim, Min-Jeong;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48-2052
    • /
    • 2009
  • 최근 우리나라는 선진 외국과 같이 하천자연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은 단순한 치수 및 이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 그대로의 환경적 잠재기능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하천복원은 하도내 식생, 여울과 소, 기타 국부적인 자연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하천단면 축소, 하천식생에 의한 흐름과 조도 변화 및 하상의 변동으로 인하여 홍수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역기능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자료가 부족한 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생태공학적 접근을 고려한 식생 설치를 상정하여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홍수위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HEC-RAS를 이용하여 수리학적 요소들을 산출하고, 도출된 값들을 연직 2차원 수리해석에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구간의 식생 전 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식생전 후의 수위차는 $0.00^{\sim}1.25m$로 계산되어 식생으로 인해 최고 1.25m의 수위 상승 효과가 발생하였다. 가용할 자료가 부족한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수리안정성 검토시 위 두 방법을 연계 이용한다면 하천복원 전후의 수리특성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