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면적

Search Result 54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andbar and Vegetation Development Due to the Dam Construc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댐 건설이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 Park, Bong-Jin;Bahn, Gwon-Soo;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70-47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의 면적변화, 변화지수, 변화정도와 경년변화를 분석하였다. 사주면적은 댐 건설후 16.73%가 감소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2599{\sim}-0.9921$이었다. 식생면적은 댐 건설후 12.84%가 증가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2699{\sim}12.0736$이었다. 안동, 임하, 합천의 3개 댐의 연 최소 유량과 사주와 식생의 경년 변화를 분석 하였다. 연 최소 유량변화 분석결과, 1일 최소유량은 안동댐이 203%, 임하댐이 167%, 합천댐이 677%가 증가하였으며, 1일 최대유량은 안동댐이 84%, 임하댐이 63%, 합천댐이 81%가 감소하였다. 사주와 식생의 경년변화 분석결과, 사주면적은 연평균 $42,600\;m^2$씩 감소하였으며, 식생면적은 연평균 $51,700\;m^2$ 씩 증가하여 사주면적의 감소 보다 식생면적의 증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댐이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에 미치는 영향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첨두 홍수량 감소와 저유량 증가 등의 유량변화이다.

  • PDF

A Study on the Sandbar and Vegetation Area Altera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 면적 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Bong-Jin;Jang, Chang-Lae;Lee, Sam-Hee;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1163-1172
    • /
    • 2008
  • In this study, area variation, index and degree of alteration, temporal variation of the sandbar and vegetation were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during the pre and post dam construc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Analysis result of the sandbar area was decreased 17 %. Sandbar area was 38 % of the channel areas at the pre dam, but 21 % at the post dam. Alteration indies of the sandbar were $-0.9921{\sim}2.9528$. Analysis result of the vegetation area was increased 13 %. Vegetation area was 11 % of the channel areas at the pre dam, but 24 % at the post dam. Alteration indies of the vegetation were $-0.8908{\sim}12.0736$. Temporal variation of the sandbar and vegetation were analyized at the An Dong dam, Im Ha dam, Hap Chun dam. Analysis result of the sandbar was decreased $42,600m^2$ per year, but vegetation was increased $51,700m^2$ per year. Sandbar area was decreasing more fast than vegetation area increasing.

Analysis of fish habitats suitability by vegetation density and flow changes (식생밀도와 흐름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적합도 분석)

  • Choi, Mikyoung;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3-493
    • /
    • 2022
  • 본 연구는 식생밀도와 흐름에 따른 수치모형(Nays2D)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서식처 적합도 분석 모델(PHABSIM:Phsical Habtiat Suitability Model)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하상 지형 변화가 어류 서식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금강 부용리 인근 2km를 대상으로 2차원 모형인 Nays2D를 적용하여 흐름(댐 방류량, 2년 빈도 유량, 100년 빈도 유량 등)과 식생밀도(식생미반영, 현재 밀도, 밀도 감소, 밀도 증가 등)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모의 결과값(단면 표고, 유속, 수위)을 물리적 서식처 평가 모델인 PHABSIM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피라미 서식을 위한 적정 유속과 수심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여 각 시나리오 별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단면 구조의 변화가 WUA 면적과 피라미 서식처 적합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목 밀도를 미반영한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PHABSIM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가중가용면적이 가장 높았고, 식생 밀도를 증가시킨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WU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측면에서 식생이 적어 특정 유량에 따른 하상변동의 폭이 커지면서 저수로 최저하상과 고수부 하상과의 표고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상 단면이 피라미의 서식처 측면에서 유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Analysis of Vegetation Change coming from Rainfall Variation (강우 패턴 변화가 식생 발생에 미치는 영향)

  • Kim, Won;Kim, Jongphil;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22
    • /
    • 2016
  • 우리나라 하천에서 식생의 변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들어 하천내에서 식생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댐 등 하천구조물로 인한 유황변화에 의해 봄철 발아기 유량 및 수위 저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식생의 유입된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에서 증명되고 논의된 바 있다. 그러나 댐과 같은 구조물이 없는 자연하천이나 소하천의 경우에도 식생 유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은 전국적인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일본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하천에서 식생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식생의 발생, 발달, 번무 등에 대한 원인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산지지역의 산림 변화로 인한 유사유출 저감, 농업으로 인한 영양염류 증대, 하천정비로 인한 고수부지 확대 등이 주요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식생 발생 메카니즘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식생의 발생과 진행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 여러 하천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지역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식생의 원인을 단정적으로 결론내리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내 식생 유입 현황을 분석하고 발생 원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하천에서 식생 발생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확인되었다. 과거와 달리 하천의 특정지점에서 식생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하천의 규모나 지역 등에 관계없이 전국적으로 식생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식생면적 분석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생 면적이 최근 들어 더 증가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연도별 변화가 식생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봄철(4월, 5월, 6월)의 연도별 강우량 변화가 식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의 강우가 줄어듦에 따라 식생 발생이 더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봄철의 가뭄과 여름철 홍수 미발생이 이어지는 경우 식생이 더 활발하게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구조물에 의한 하천유황 변화가 식생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듯이 강우 발생 양상의 변화로 인한 유황 변화가 식생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한 일본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식생조사 결과와 강우 패턴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같이 일본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추정해 볼 때 강우 패터의 변화가 식생의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봄철 강우의 감소가 주요원인중 하나로 추정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Vegetation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undra-Taiga Boundary Using MODIS LAI Data (MODIS LAI 데이터를 이용한 툰드라-타이가 경계의 식생 공간분포분석)

  • Lee, Min-Ji;Han, Kyung-S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5
    • /
    • pp.27-36
    • /
    • 2010
  • This study observed distribution of vegetation to confirm change of tundra-taiga boundary. Tundra-taiga boundary is used to observe the transfer of vegetation pattern because it is very sensitive to human activity, natural disturbances and climate change. The circumpolar tundra-taiga boundary could observe reaction about some change. Reaction and confirmation about climate change were definite than other place. This study used Leaf Area Index(LAI) 8-Day data in August from 2000 to 2009 that acquire from Terra satellit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sensor and used K$\"{o}$ppen Climate Map, Global Land Cover 2000 for reference data.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in low density vegetated areas and inter-annual / zonal analysis for using the long period data of LAI. Change of LAI was confirmed by analysis based on boundary value of LAI in study area. Development of vegetation could be confirmed by area of grown vegetation($730,325km^2$) than area of reduced vegetation ($22,372km^2$) in tundra climate. Also, area was increased with the latitude $64^{\circ}$ N~$66^{\circ}$ N as the center and around the latitude $62^{\circ}$ N through area analysis by latitude. Vegetation of tundra-taiga boundary was general increase from 2000 to 2009. While area of reduced vegetation was a little, area of vegetation growth and developmen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behavior of alternate bars considering vegetation growth and removal (식생의 성장과 소멸을 고려한 교호사주의 거동 수치모의)

  • 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9-5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하도식생의 성장과 소멸 고려한 교호사주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식생의 성장과 소멸은 식생의 밀도에 영향을 준다. 식생이 성장하면 식생밀도가 증가하고 식생이 소멸하면 식생의 밀도 감소한다. 식생이 성장하면서, 교호사주의 이동은 정지되고, 식생대에서 퇴적이 발생하며, 사주의 파고가 증가하였다. 식생의 성장률이 증가하면서 식생대에서 유사는 퇴적되어 사주의 면적은 증가하였으며, 식생이 성장과 사주의 변화과정은 일치하였다. 첨두유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사주의 변화와 식생성장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첨두유출 시간이 짧아서 첨두홍수가 일찍 도달하는 조건에서 사주의 파장은 상대적으로 작고, 하상고의 변화가 작은 특성을 보여주었다. 첨두유출 시간이 길어서 첨두홍수가 늦게 도달하는 조건에서 사주의 파장은 길고, 유사의 퇴적 면적이 증가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 LID's pollutant load reduction (식생형 LID 시설별 오염물질 유출저감효율 비교분석)

  • Gil, Kyungik;Kim, S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9-209
    • /
    • 2020
  •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1990년대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국내의 도시면적은 696,239㎢ 증가했다. 도시지역에서의 불투수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25% ~ 80%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도시면적이 증가하면 이는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로인한 지표유출로 오염물질의 유입이 늘어나게 되면, 수질오염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가한다. 비점오염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ID(Low Impact Develpment)시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7년간의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LID 시설별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비교분석하였다. 용인 삼계리에 위치한 식생수로 오염지표들의 유입, 유출EMC를 토대로 제거 효율에 대한 평가를 해보면 TSS는 46%, BOD는 48%, COD는 56%. TN은 42% 그리고 TP는 58%가 나왔다. 용인 해곡동에 위치한 식생여과대의 경우 TSS는 83%, BOD는 45%, COD는 43%, TN은 39%, 그리고 TP는 62%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전주에 위치한 식생체류지의 경우 TSS는 100%, BOD는 75%, TOC는 62%, TN은 67% 그리고 TP는 83%가 나왔다.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효율성 평가를 해보면 먼저 식생수로의 경우 TP 저감 효율이 58%로 가장 높았으며 TN 저감 효율이 42%로 가장 낮았다. 식생여과대의 경우 TSS 저감 효율이 83%로 가장 높았으며 TN 저감 효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식생체류지의 경우 TSS 저감 효율이 100%에 가까운 양질의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TOC의 경우 67%로 제일 낮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판단을 해보면 식생체류지가 전반적으로 좋은 지표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상황에 양호한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식생 LID시설은 자연친화적이며 강우유출과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장치형 LID시설에 비해 넓은 부지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설치 지역의 특성에 맞게 LID 시설을 시공하는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향후 식생형 LID시설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ccuracy Assessment of Environmental Damage Range Calculation Using Drone Sensing Data and Vegetation Index (드론센싱자료와 식생지수를 활용한 환경피해범위 산출 정확도 평가)

  • Eontaek Lim ;Yonghan Jung ;Seongsam K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2
    • /
    • pp.837-847
    • /
    • 2023
  • In this study, we explored a method for assessing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at an accident site through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Data collection involved the deployment of two different drone types, and the damaged area was determined using photogrammetry technology from the 3D point cloud data. To create a vegetation index image, we utilized spectral band data from a multi-spectral sensor to generate an orthoimage. Subsequently,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of the accident site with respect to the damaged area using a predefined threshold value. The Kappa values for the vegetation index, based on the near-infrared band and the green band, were found to be 0.79 and 0.76,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egetation index-based approach for analyzing damage areas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investigations of chemical accidents.

Analysis of the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in middle size rivers in Korea (중규모 하천에서의 식생 증가 현황에 대한 분석)

  • Kim, Won;Kim, Sin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spc2
    • /
    • pp.875-885
    • /
    • 2019
  • The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middle size rivers in Korea had been analyzed in this study. Seom River with dam, Cheongmi River without dam, and Naesung River with no operating dam in the upstream was investigated for the 1 km to identify the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through the aerial photograph analysis. As a results, we found that the rate of vegetation area is 54.7% in Seom River, 77.5% in Cheongmi River, and 49.7% in Naesung River. The vegetation area had been increased in 3 rivers, and the expansion rate since 2010 is very high nearly up to 2 times (17 times in Naesung River). Sandbar and open-water area, however, have been decreased in the same rate with the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vegetation increase trend is clear in rivers regardless of location and dam existence. Further researches are necessary to find out the causes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s because the increase of vegetation will change the physical system as well as biological system of river.

Discharge Computation from Float Measurement in Vegetated Stream (부자 측정 시 식생을 고려한 유량산정에 관한 연구)

  • Lee, Tae Hee;Jung, Sung 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2
    • /
    • pp.307-316
    • /
    • 2019
  • Development of vegetation in stream channel increases resistance to flow, resulting in increase in river stage upon flood and affecting change in stage-discharge relationship. Vegetation revealed in stream by water level reaching a peak and then declined upon flood is mostly found as prone. Taking an account of flow distribution with the number of vegetation, prone vegetation layer might be at height where discharge rate is zero (0) (Stephan and Guthnecht, 2002).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hat flow rate is overestimated when applying the height of river bed to flow area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vegetation layer in flow rate by float measurement. In this study, reliable flow measurement in stream with vegetation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height of vegetation layer after flood and excluding the vegetation layer-projected area from the flow area. The result showed the minimum 4.34 % to maximum 10.82 % of flow deviation depending on the scale of discharge. Accordingly, reliable velocity-area methods would be determined if vegetation layer-projected area in stream is considered in flow rate estimation using the flow area during the fl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