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관리

Search Result 94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on Vegetation Effect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of Non-Uniform Flow at Downstream of Hapcheon Dam (합천댐 직하류에서 부등류 수치모의를 통한 식생의 영향 분석)

  • Park, Su Hwan;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8-238
    • /
    • 2022
  • 합천댐의 건설 이후, 댐직하류 구간에서는 10년 동안의 방류량 감소와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로 하도식생의 활착이 발생하여 식생이 증식하고 밀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식생밀도의 증가는 흐름에 대한 항력을 증가시켜 유속을 감소시키고 수심을 증가시킨다. 이는 통수능 저하를 초래하며, 홍수 시 수위증가에 따른 홍수범람의 위험성 증가시킨다. 따라서 식생영향에 대한 심화적인 이해를 제고하여 적절한 식생관리대책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맞추어 식생대 영향에 따른 흐름의 변화를 예측모의하여 흐름과 식생대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차원 흐름모형인 Nays2D를 이용하여 합천댐 직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식생밀도의 변화에 따른 흐름의 변화를 부등류를 기반으로 모의하였다. 상류단의 경계조건은 162.99 m3/s(실운영 방류량), 995 m3/s(2년빈도 댐 조절 방류량), 2670 m3/s(100년빈도 댐 조절 방류량)로 3개의 유량으로 구분하여 모의하였다. 식생의 특성은 현장조사를 통해 밀도를 산정하여 수치모의에 적용하였다. 식생밀도는 4가지로 구분하여 모의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산정된 2021년도 식생밀도를 기준으로 식생밀도를 증감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조건은 2021년 식생현황, 식생개선, 식생존치, 전벌채로서 식생개선의 경우, 2021년 식생밀도의 0.5배로, 식생존치의 경우, 식생밀도를 2배로 적용하였다. 전벌채는 식생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식생개선이 2021년 식생현황과 식생존치보다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게 나타났다. 식생을 전벌채한 경우, 식생이 존재하는 조건보다 수심이 낮고 유속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만곡부의 외측에서는 2차류의 발달로 흐름이 집중되었다. 이를 통해 식생개선의 경우, 식생현황과 식생존치보다 홍수범람의 가능성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벌채의 경우, 만곡부 외측에서 2차류 발달에 의한 세굴을 야기하여 제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댐 직하류에 식생대 밀도변화가 흐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수치모의 사례로서 이는 추후 식생을 고려하는 하천관리방안을 수립 시, 식생관리방법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lanting Managements for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in Recreational Forest - A Case Study of Chukryongsan Recreational Forest, Gyeonggi-do -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

  • Lee, Tae-Sun;Lee, Kyong-Jae;Choi, Byuong-Un;Park, Seok-Cheo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4
    • /
    • pp.351-362
    • /
    • 2010
  • This study was supposed to offer vegetation plans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the recreational forest by researching Mt. Chukryong which is located at Oebang-li Sudong-Myon Namyangju Kyong-gi Province in Korea. In this study, artificial vegetation and natural vegetation near trails in recreational forest were researched through biodiversity analysis. From this analysis process, a typical management improvement of the biodiversity functions were examined by reviewing functions biotope condi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wild bird community condition. Typical veget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four detail parts: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forest, Not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forest,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Not managed deciduous forest. As a result of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numerical value of the deciduous forest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than that of artificial Pinus koraiensis,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managed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not managed condition. As a result of a habitat structure analysis of the wild bird community, managed Pinus koraiensis forests were inadequate structure for wild birds to habit in there because the forests had weak structure layers, but unmanaged deciduous forest and unmanaged Pinus koraiensis that had diverse layers was proper places for birds to in habit. Thus, based on the functional analysis of biodiversity, management patterns of the target area were concluded in two manners: conserving management and restoring management. Deciduous forest protection target areas included natural deciduous forest area and managed deciduous forest area, ecological restoration target area included un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area and restoring management target area includes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Numerical Simulation of Unsteady Flow in Vegetated Channel : Based on Downstream of Hapcheon Dam (식생하도에서 부정류 수치모의:합천댐 직하류를 중심으로)

  • Ahn, Min Jin;Kang, Tae Un;Jang, Chang-Lae;Park, Kyo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3-243
    • /
    • 2022
  • 댐은 일반적으로 하천관리에 있어서 인간에게 용수를 공급하고 홍수를 조절하는 등의 발전을 목적으로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하류하천은 댐 건설에 의해 흐름에 대한 연속성이 차단되어 첨두 홍수량과 유사량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첨두 홍수량의 감소로 퇴적된 유사는 이동하지 못해 고착화가 진행되고 식생이 침입하여 번성하게 된다. 하천에 식생이 발달하게 되면, 안정성이 증가하고 생태계 서식처를 형성하며 하천경관을 개선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조도의 증가와 통수능의 감소로 인한 유속감소와 수위상승을 발생시켜 홍수범람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식생대의 밀도에 따른 흐름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하천관리방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흐름모형을 활용하여 황강 합천조정지댐 직하류 구간의 수목군을 고려한 부정류 계산을 통해 하도의 수위 및 유속을 예측모의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모의결과를 분석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은 과거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홍수가 발생하였던 2020년 합천조정지댐 방류량 중 첨두발생 기간의 유량을 입력하였으며, 하도의 식생밀도를 산정하고 입력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시 식생밀도는 총 4가지 Case(식생현황, 전체벌채, 식생개선, 식생존치)로 나누어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직하류 만곡부 유입구간에서 외측으로 흐름이 집중되어 수심과 유속이 증가하였으며, 만곡부 외측의 식생대로 인해 식생대에서는 유속이 감소하고 수심이 증가하며, 식생대 주변 하류의 내측으로 흐름이 집중되어 수심과 유속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합천조정지댐의 실운영방류량과 황강의 실제식생밀도를 반영하여 수치모의를 하였기 때문에 흐름과 식생관리에 따른 실무적 대책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과 결과들은 합리적인 하천관리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Release from Management of Urban Vegetation (도시식생의 관리에 의한 에너지소비 및 탄소방출)

  • 조현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2
    • /
    • pp.101-108
    • /
    • 1999
  • 이산화탄소는 기후변화를 야기시키는 주요 온실가스이다. 본 연구는 춘천시, 강릉시, 서울시 강남구 및 중랑구를 대상으로 토지이용유형별 식생관리에 기인한 에너지소비 및 탄소방출을 잔디깎기, 전정, 관수, 시비, 살충제시용 등의 식생관리실태를 면담설문 및 일부 실측을 통해 파악하였다. 동일 토지이용유형 내 식생관리강도는 대체로 도시간 및 구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목관리에 의한 연간 총탄소방출량은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단위피도면적당 36.0~209.7g/m2로서 교통용지에서 가장 많았다. 잔디관리에 의한 연간 총탄소방출량은 단위잔디면적당 7.4~69.3g/m2로서 공원에서 가장 많았다. 이들 총탄소방출량 중 수목의 경우 전정이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96.8~99.7%를, 잔디의 경우 잔디깎기가 91.9~100%를 각각 차지하였다. 도시식생의 연간 순탄소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가로수의 전정과 공원 내 잔디깎기에 의한 탄소방출을 최소화할 식재계획 및 관리가 요구된다.

  • PDF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 Kim, Ha-Sou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5-1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that forms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located in Jodo-myeon, Jindo-gun, Jeollanamdo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Korea from December 2005 to April 2007 and to suggeste the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of coastal windbreak areas. P. thunbergii community, a coastal windbreak forest of Gwanmaedo, was classified into disturbance, growth,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according to major companions species and vegetation types. P. thunbergii community of disturbance and growth vegetation needs active management through tree thinning, mowing, weeding out, use of rest space, and felling sick pine trees. P. thunbergii community of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needs active preservation of a coastal windbreak to restore natural vegetation by making a windbreak walk and a forest buffer zone and inducing vegetation success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ctual state of distribution by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astal windbreak areas such as management of beaches and surrounding area of idle lands, restoration of back wetlands, inhibition of foreign plants, maintenance of diversity of species and habitats, and prevention of aging and spread of damage from insects.

Environmental Change of Vegetation in the Gamcheon River (감천의 식생 환경 변화)

  • Jeong, Seokil;Choi, Hyun Gu;Kwon, E Jae;Kim, Ji Won;Kim, Ji Hoon;Lee, Jun 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5-495
    • /
    • 2022
  • 충적하천에 댐이 건설되면 하류 하천의 식생환경에 변화를 주게 된다. 이입, 활착 및 성장과정을 거치는 제외지 식생은 하천의 유량이 증가하면 소류력과 세굴로 인해 쓸려 내려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홍수기를 거치면 식생 활착 및 성장 이전의 사주 모습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댐의 홍수조절 기능은 홍수기에도 하류 하천에 식생을 정착시킬 만큼 큰 소류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결국 식생의 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댐은 상류로부터 공급되었던 세립토를 차단시켜 하류 하천의 하상 표면을 조립화 시키게 되는데, 이는 하상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식생의 안정적인 성장을 돕게 된다. 하천에 식생이 자리잡게 되면 홍수 시 흐름에 대한 저항력의 증가로 수위가 높아질 수 있고 제방에 자리 잡은 식생의 이탈은 제방의 붕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식생 사주의 발달이 지속되면 이동사주에서 정지사주로 변화되어 기존의 충적하천 자체가 사라지게 될 수도 있고, 하류 하천의 수리 및 유사 거동 특성도 변화시켜, 기존과 다른 하천 경관 및 수생태계 출현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이러한 하천 제외지 사주의 식생 활착이 가속화되어 왔으며, 특히 내성천, 황강 등 댐이 건설된 낙동강 지류 하천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관련된 많은 조사·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변화 원인으로 홍수조절, 유사공급 변화 및 기후변화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댐이 건설되지 않은 하천(비조절 하천)에 대한 조사와 같은 비교군 지역의 정량적 분석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정확한 제외지 식생 증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이에 비조절 하천이라 판단되는 감천을 대상으로 식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유사 및 기후변화 등과의 관계를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감천은 상류에 김천부항댐이 건설되었으나, 댐의 영향범위가 전체 유역면적의 약 6%로 비조절 하천에 가깝고 사주가 발달된 충적하천이므로, 하천 본류에 댐이 건설된 다른 지역과의 비교군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대상 지점은 상, 중, 하류의 사주가 발달된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미지 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사주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식생역으로 전환된 모래 사주의 면적은 봄~초여름 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초여름까지 가뭄이 지속될 때, 식생역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식생 활착 이전에 큰 유량 발생 시 식생이 쓸려 내려가고 유사가 그 자리를 대체하여 다시 사주가 발달하는 과정을 보여 주어, 감천의 사주 식생역의 증가 추세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댐이 본류에 건설된 조절 하천과의 비교를 통해 사주의 식생역 증가에 대한 댐 건설의 영향을 파악할 것이다.

  • PDF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mellia japonica Forest at Hakdong, Kojedo, Hallyo-Haesang National Park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식물군집구조 특성 및 식생관리 계획)

  • 한봉호;조현서;송광섭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4
    • /
    • pp.345-36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mellia Japonica forest at Hakdong, Kojedo, Hallyo-Haesang National Park. Forty-six plots(l00$\m^2$/plot) were established in Camellia japonica forest and surveyed. By DCA ordination technique and mean importance value analysis,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y types, which were Camellia japonica community, Camellia japonica-Eurya japonica community, Camellia japonica-Neolitsea sericea community, Chumaecyparis obtusa-Camellia japonica community. It was supposed that Camellia japonica-Neolitsea sericeu community succeeded to Neolitsea sericea community. The others would not be replaced by another woody species. The vegetation management for successional controls in long-term basis were suggested; for the short-term basis, the species of Chamaecyparis obtusa, Neolitsea sericea and Eurya japonica should be removed. The species of Quercus serrata, Prunus sargentii, Meliosma myriantha, Machilus thunbergii and Litsea japonica. must be controlled under the long-term management of vegetation.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riparian vegetation and flow in river (하천내 식생 발생과 흐름 관계 분석)

  • Kim, Won;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7-57
    • /
    • 2020
  • 최근들어 우리나라 하천에는 많은 식생이 발생하고 있다. 과거 댐에 의한 유황 조절효과로 댐 하류에 식생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사례는 많았지만 최근 발생하는 식생은 댐의 유무에 직접 관련되지 않고 있다. 또한 하천의 규모나 위치 등과도 관계없이 거의 모든 하천에서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같은 식생은 하천의 통수능을 줄여서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하천의 육역화를 일으켜서 하천의 모습을 상실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일본 등의 경우에도 하천에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는 식생으로 인해 하천관리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 하천내 식생 발생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황의 변화, 하천 지형의 변화, 영양물질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식생의 현황과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더불어 식생의 지속적인 제거를 위해서 기계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 수문학적 방법 등의 개발과 적용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 식생의 현황을 파악하고 하천내 지형조건과 식생 발생의 연결 고리를 분석하였다. 최근 10년 이내 많은 중소하천에서 하천내 많은 면적을 식생이 차지하게 되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는 유황의 변화이다. 최근들어 대규모의 홍수발생 빈도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식생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홍수 발생 감소로 봄이나 여름철에 하천내 흐름이 발생하여 씨앗이나 어린 식생이 쓸려 내려갈 기회가 감소되었다. 두 번째는 과거 조성된 복단면 형상으로 인해 고수부지의 경우 흐름이 발생할 기회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고수부지가 육역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 두가지 요인이 중첩되면서 하천내 식생의 증가는 급속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단면 지형의 연도별 변화, 수위의 변화, 식생의 변화를 연계하여 식생의 발생 원인을 물리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 과도한 식생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하천 단면의 관리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기후변화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황의 변화가 과거와는 다르게 발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하천내 식생의 발생 현황 및 제거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 PDF

Actual Veget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engma Urban Natural Park in Incheon (인천 백마도시자연공원 현존식생 유형과 특성)

  • Cho Woo;Kim Jong-Yeop;Hong Suk-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4
    • /
    • pp.358-36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veget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in Baengma Urban Natural Park, Incheon to accumulate basic data for the forest vegetation management. The actual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39 types. Area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was the widest($34.0\%$) in the afforested vegetation types, while Quercus monglica forest occupied the widest area($12.1\%$) in the natural vegetation types. The map of actual vegetation characteristics was drawn on the basis of stratum structure, plant development tendency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actual vegetation types. We reclassified it into 16 types and proposed the management plan.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Busan (부산광역시 동백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 연구)

  • Kim, Kyungwon;Lee, Kyong-Jae;Choi, Jin Woo;Yeum, Jung Hun;Ahn, In S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2
    • /
    • pp.205-2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method as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which is the district monument. The study area was $20,000m^2$ around the peak area in management as the nature sabbatical area. Vegetation structure type was classified with the criteria of topography, vegetation,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plan was derived from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s. Vegetation structure types were Management-Camellia japonica, Non-management-Eurya japonica, Non-management-Rugged area-Eurya japonica. As the result of vegetation structure, Pinus thunbergii dominated in canopy layer and Camellia japonica and Eurya japonica dominated in Type I and in Type II and III, respectively. Especially, Machilus thunbergii as the climax species in the warm temperate forest were distributed centering shrubs, and as the result of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reast height, middle size of Celtis sinensis and Machilus thunbergii were distributed in type I, II. Machilus thunbergii were distributed in range of 4 to 44 individuals through the all types. Mean age of canopy layer was 66 year-old and sub-canopy layer was 22.9 year-old. Shanon's species diversity was analysed from 0.5472 to 0.8646. As the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 of Dongbaek island, managed Camellia japonica forest was suggested to maintain the regular management and non-managed Eurya japonica forest was required to remove the Eurya japonica and plant the Camellia japonica. In case of non managed Eurya japonica forest in rugged area, vegetation succession was required to laurel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