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 추출물

Search Result 1,60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s of Extract of Melia azedarach on Plant Growth (멀구슬나무 추출물의 추출 공정 개발 및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 Heami Sung;Wonchul Jung;Insoon Hw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73-73
    • /
    • 2020
  • 멀구슬나무 추출물이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멀구슬나무의 추출 공정 개발을 통한 추출 조건을 최적화, 항산화능, 페놀함량,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 하였으며 식물에서 생장 증식률을 평가 하였다. 추출 공정을 표준화하기 위해 물과 에탄올 비율별 추출 및 수율을 확인한 결과 25% 에탄올 추출물에서 2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항산화능 평가 결과 DPPH, ABTS 모두 25%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과 비교 시 유사 하거나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폴리페놀 함량 분석 시, 25% 에탄올 추출물에서 4.6 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산 함량 분석 시, 식물의 성장 성분인 glutamic acid와 식물의 수정을 돕는 성분인 prorine 함량이 높은 수치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멀구슬나무 25% 에탄올 추출물의 식물 생장능을 확인하기 위해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을 이용한 식물 생장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하지 않은 control 군에 비해 입면적과 높이가 증가 하였으며 새순의 수가 더 증가하여 식물 생장능을 확인 하였다.

  • PD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Parts of Several Ferns and Fern Allies (다양한 양치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부위별 항균활성)

  • Shin, So-Lim;Lee,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16-16
    • /
    • 2010
  • 본 연구는 13과 37종 양치식물의 엽상체(지상부)와 근경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식품의 오염 및 변질의 원인이 되는 Bacillus subtils,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Escherichia coli, 식중독 및 선회병(listeriosis)의 원인이 되는 Listeria monocytogenes, 피부 여드름의 원인이 되는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탐색하고 항균력이 우수한 천연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5mg{\cdot}mL^{-1}$의 농도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각 미생물에 대하여 50% 이상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양치식물 추출물을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추출물을 2mg/disc의 농도로 조절하여 agar diffusion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여 15mm 이상의 억제환을 나타내는 추출물을 선발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선발된 추출물을 $0.125{\sim}2.000mg{\cdot}mL^{-1}$의 농도로 조절하여 72시간 동안 각 미생육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양치식물의 추출물을 선발하였다. 연구의 결과, B. subtils의 생육억제에는 야산고비의 성엽과 쇠고비의 근경 추출물, E. coli의 생육 억제에는 설설고사리의 성엽과 나도히초미 및 더부살이고사리의 근경 추출물, L. monocytogenes의 생육억제에는 관중의 성엽과 공작고사리, 꿩고비 및 쇠고비의 추출물이 효과적이었다. 한편 대부분의 양치식물 추출물은 P. acnes의 생육억제 효과가 미비하였으나, 관중과 참지네고사리는 성엽과 근경 모두에서 P. acnes의 생육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별도의 제균처리를 하지 않은 관중과 참지네고사리의 메탄올 조추출물의 $MIC_{50}$은 성엽의 추출물에서 66.8과 $80.4{\mu}g{\cdot}mL^{-1}$, 근경의 추출물에서는 8.8과 $54.2{\mu}g{\cdot}mL^{-1}$로 나타났다.

  • PDF

약용식물 추출물의 기능성 검토

  • 박찬성;박추자;전귀향;김동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6.2-147
    • /
    • 2003
  •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식품 제조시에 첨가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4종류의 약용식물을 추출하여 각 식물의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골담초, 당귀, 목통, 초피의 나무 줄기를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동결 건조한 후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각 시료의 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은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억제 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골담초와 당귀의 에탄을 추출물은 2% 이상의 농도에서 그람양성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각 시료 물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500ppm이상의 농도에서 모두 6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의 에탄을 추출물은 목통과 초피가 300ppm에서 70% 이상의 전자공여능으로 물추출물보다 우수하였고 골담초는 물추출물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당귀는 물추출물보다 낮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추출 1,000ppm, pH 1.2에서 당귀 38%, 골담초 40%, 목통35%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초피가 50%로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에탄을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당귀와 골담초가 물추출물보다 약간 낮은 소거능을 나타낸 반면에 목통과 초피는 물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초피는 1,000ppm pH 1.2에서 66%의 우수한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다.

  • PDF

In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äl) (벼멸구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활성과 기피효과)

  • Kim, Yeon-Kook;Lee, Jong-Jin;Choi, Man-You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7 no.1
    • /
    • pp.65-74
    • /
    • 2008
  • Methanol extracts of 35 plant species in 20 families were tested for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against Nilaparvata lugens female adult by topical application and spray methods. The in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of variousplant species and parts were different. The methanol extracts from stem of Garcinia xanthochymus, Senecio scandens and Phytolacca americana, seedcoat of Ginkgo biloba, and leaf+stem of Ailanthus altissima and Catalpa ovata showed potent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N. lugens. Specially, the G. biloba extract exhibited higher than 90% mortality against N. lugens at a concentration of 4,000 ppm. Repellent effects of plant extracts obtained from whole plant of Daucus carota, fruit of Semecarpus anacardium, leaf+stem of C. ovata and Wisteria sinensis were active, and potent. Also, the plant extracts that are potent in insecticidal activity not necessarily have high repellent activity showing no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the two activities.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on Vegetable Plant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

  • Choi, I-Jin;Kwon, Hyuk-Hyun;Lee, Han-Ho;Son, Hyoung-Gi;Hong, Sang-Kil;Kang, Jong-Woon;Park, Yu-So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6 no.1
    • /
    • pp.19-25
    • /
    • 2013
  • This study focused on the usefulness of plant extracts for a city organic farm. Insecticidal activity of 8 plant species, plants crude extracts by ethanol and water, against third instar larvae (susceptible strain) of Plutella xylostella was evaluated in this study. Ethanol(25%) extracts of plant materials had better insecticidal activity than water extracts at the room temperature. Insecticid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by leaf disc spray method. Five plant extracts (Capsicum annuum, Chelidoniun majus, Leonurus sibiricus, Coptis japonica, Mentha piperascens) showed over 50% insecticidal activity to P. xylostella at the concentration of $1500mg{\cdot}L^{-1}$. Extract of C. annuum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 activity (83.3%) against P. xylostella. Phytotoxicity was not observed on Raphanus sativus and Brassica campestris with spray applicati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two plants were not affected. Extract of C. japonica revealed 73.3% control efficacy against P. xylostella of R. sativus and showed 70% control efficacy against those of B. campestris, respectively, in plastic house.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various insects was observed in C. japonica extract as 87.4% for R. sativus and 74.3% for B. campestris in the fiel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xtracts of C. annuum, C. japonica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 activity, and could be used as city farm insecticides for organic farming.

열대식물 (파푸아 뉴기니아산)의 항암작용연구

  • 장일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19-19
    • /
    • 1992
  •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추세에 있는 악성종양은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 질환의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암의 화학적 치료법은 40여종의 암치료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그 효과면에서 한계점에 도달하고 있어 식물추출물, 해양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물 성분에서 강력하고 부작용이 적은 항암제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파푸아뉴기니아산 열대식물 13과 23종의 항암작용을 검색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는데, 실험동물은 ICR계의 암컷생쥐를 이용하였으며 Sarcoma 180 동물복수암세포에 대한 열대 식물 엑스 투여에 의한 수명 연장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항암작용의 지표로 삼았다. 항암작용의 지표는 ILS(Increased Life Span)를 사용하였으며 ILS가 20%이상인 것을 항암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의 결과 Apocynaceae에 속하는 Plumiera rubra의 줄기껍질 및 잎 추출물 Leguminosae과의 Pterocarpus indicus의 잎 추출물과, 같은 과의 Derris trifoliata, Moraceae과의 Artocarpus altilis의 뿌리 및 줄기 껍질, 잎 추출물과 Sterculiaceae과의 Kleinhovia hospita의 잎 추출물, Verbenaceae과의 Vitex trifolia의 5과 5종 8시료가 의의있는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물자원 활용

  • Yu, Eun-Mi;O, Dong-Sun;Han, Gap-H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10-10
    • /
    • 2018
  • 미생물 및 식물 등이 가지고 있는 많은 천연물질은 항균, 항암, 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의 원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생물을 통한 발효는 거대분자를 낮은 분자량의 물질로 분해하여 인체의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 자체적으로 합성하는 다양한 대사산물과 발효과정에서 기존 물질에 다양한 잔기를 가감함으로서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의 추출물을 바탕으로 발효를 진행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활성 등을 발효 전 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제품 개발을 추진하였다. 구절초 잎과 전초의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구절초 전초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절초 잎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는 비타민C보다 3.93%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구절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발효하지 않은 시료보다 발효한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더욱이, 항비만 활성과 추출물의 혈중콜레스테롤 저감 활성도 발효추출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 발효 추출물이 구절초 추출물에 비하여 기능성 활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성음료 등 다양한 제품으로의 응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Scr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탐색)

  • Kim, Dae-Ik;Lee, Sung-Hyeon;Hur, Eun-Young;Cho, Soo-Muk;Park, Hong-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3
    • /
    • pp.427-432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on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an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methanolic extracts of plants were tested for AChE inhibitory activity using Ellman's colorimetric method in 96-welled microplates and antioxidant activity as the scavenging effect of 1, 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DPPH). The results showed that AChE activities were inhibited (about 20-30%) in whole plant extract of Daucus carota var. sativa, Hypericum erectum and Fragaria yezoensis. AChE activities were inhibited (about 32-34%) in stems extract of Gingko biloba and leaves extract of Rhododendrondron yedoensa var. poukhanense. Fruit extra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inhibited (about 18%) AChE activity. And the DPPH scavenging effects as antioxidant activity were similar to L-ascorbic acid in whole plant extract of Fragaria yezoensis and fruits extract of Comus officinalis.

Defense Response of Cucumber Plants Treated with Neobacillus sp. JC05 Extract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어 반응 검정)

  • Kim, Yu-Ri;Jang, Hwajin;Sang, Mee Kyung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30 no.3
    • /
    • pp.393-407
    • /
    • 2022
  • The effect of Neobacillus sp. JC05 extract on the defense response in cucumber plants against root-knot nematode (RKN)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drench treatment of JC05-extract in cucumber plants, formation of egg mass per plants and disease sever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plants; the malondialdehyde contents also decreased in JC05-extract treated plants. When eggs of Meloidogyne incognita were inoculated, cucumber plants treated with JC05-extract elevated pathogenesis-related gene expression such as chitinase and lipoxygenase, these are well known as inducing resistance in plants, in addition, peroxidase among antioxidant enzymes was significantly activated. Moreover, the JC05-extract enhanced FDAse activity in soils grown cucumber plants inoculated by eggs of M. incognita.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JC05-extract could involve in activation of defense-related mechanisms of cucumber plants and result in decrease of disease occurrence caused by M. incognita.

The effect of extracts of industrial plant resource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Raphanus sativus L. (주요 特用資源植物 抽出物이 무 發芽 및 초기 生長抑制에 미치는 영향)

  • 이현모;임정대;김명조;유창연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2
    • /
    • pp.108-115
    • /
    • 2001
  • For determining the effect of extracts exudated from ten industrial plant resources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shoot and root of radish the allelopathic compounds screened. Germination rate and seedling growth of radish differed depending on plant species and extract concentration. Lower levels of 1% extracts exudated from industrial plant resources promoted the rate of germination of radish while higher levels of 10% extract inhibited the rate of germination. Germination rate, shoot growth and root growth of radish in higher concentration of extract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plant species exudated and extract concentraton of industrial plant resources. Higher concentration of extracts from Xanthium strutnarium L. Angellica gigas Nakai, and Solanum nigrum L. were completely inhibited the germination while those from Cichorium intybus L., and Polygonatum officinale Allioni were not inhibited. Extracts exudated from Xanthium strutnarium L, Angellica gigas Nakai, and Solanum nigrum L. showed the strong inhibition of shoot and root growth of radish while those from Cichorium intybus L., and Polygonatum officinale Allioni did not show the bioactivity in shoot and root growth of radis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