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 바이러스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에서 발생한 목본식물의 바이러스병 (Viral Diseases of Woody Plants in Korea)

  • 이상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04
  • 매년 새로운 식물바이러스병이 보고되고 있지만, 이들 대부분의 바이러스들은 곡류, 채소류 및 화훼류와 같은 초본식물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목본식물의 바이러스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목본식물의 바이러스는 17 종으로 11 종의 수종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와 같은 목본 식물의 바이러스병은 대부분 과수나 원예용 수목에서 발견되었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임목보다 과수나 원예용 수목이 경제성이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수의 식물바이러스가 초본 식물 뿐만 아니라 목본식물에도 피해를 준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때, 보다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된다면, 앞으로 많은 수의 목본식물 바이러스병이 밝혀질 것이다. 이 논문은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목본식물 바이러스병에 관한 총설이다.

  • PDF

마늘 잠복 바이러스의 순수분리 및 증식 (Purification and Amplification of Garlic Latent Virus)

  • 최진남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59-263
    • /
    • 1992
  • 한국 마늘에 감염되어 있는 주된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알려진 마늘 잠복 바이러스 (GMV)의 분자 구조와 병 발생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부 감염 숙주 식물인 Vicia faba에 연속적으로 감염시킴으로써 마늘 잠복 바이러스를 정제하였고, GMV에 대한 전신 감염성 숙주 식물로 생각되는 leek에서 GLV를 대량으로 증식시켰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마늘 바이러스들의 입자의 길이는 200-2000 nm의 분포를 보였으나 입자의 대부분은 600-900 nm의 범위 안에 존재하였다. 반면 순수 분리된 GLV 입자는 평균 690 nm의 길이를 보여주었고, 유연한 실 모양이었다. SDS-PAGE 분석으로 혼합 감염된 마늘 잎으로부터 분리된 마늘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은 분자량 24,500-38,000 Da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GLV 껍질 단백질의 분자량은 34,000 Da으로 나타났다.

  • PDF

배나무잎 검은점병(구: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7. 병원 바이러스의 동정 (Studies on the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Former: Abnormal Leaf Spot) Disease 7. Identification of Causal Virus)

  • 남기웅;김충회;김경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8-373
    • /
    • 1996
  • 배나무잎 검은점병에 이병된 신고와 지표식물 PS-95의 잎을 전자현미경으로 세포내 미세구조를 검경한 결과 굴곡성 사상형 유사바이러스 입자가 집단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엽육유세포질에 있는 유사바이러스 입자들의 직경은 12 nm였으나 입자들의 길이는 측정하지 못하였다. 섬유사를 함유하고 있는 소포는 일반적으로 ssRNA genome을 갖는 식물바이러스에 의해 이병된 세포에서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 이 소포들은 tonoplast에 형성되었다. 배나무잎 검정점병의 이병잎을 초본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하였으나 어떠한 병징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접목접종 전염에 의하여 전염되어 전형적인 검은점이 발병하였다. 발병된 잎에는 유사바이러스 입자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병징, 섬유사를 함유한 소포의 존재, 그리고 접목전염을 기초로하여 볼 때 배나무 검은점병을 일으키는 유사바이러스 입자는 closteroviruses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식물 RNA 바이러스의 진화와 병저항성 극복 기작 (Evolution of Plant RNA Viruses and Mechanisms in Overcoming Plant Resistance)

  • 김명휘;권선정;서장균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37-148
    • /
    • 2021
  • 식물 RNA 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작물 생산량에 큰 손실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 중 하나로, RNA 바이러스가 갖는 특징인 짧은 복제 주기, 게놈 복제 중의 높은 변이 발생률 등으로 인해 높은 유전적 다양성과 적응성을 가지며 진화해 왔다. 식물 RNA 바이러스는 유전적 다양성을 갖는 유사종 군집으로 존재하며, 환경 변화에 따른 선택압으로 새로운 적합성을 갖는 군집으로의 변천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 식물의 저항성은 일종의 선택압으로 작용하여 바이러스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기주의 저항성을 극복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식물 RNA 바이러스에 대한 진화적 관점 및 진화의 원동력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물 저항성을 극복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 기작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바이러스병에 대한 저항성 전개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2020-2022년 국내에서 새롭게 보고된 식물바이러스 및 기주 식물 (Plant Viruses and Viral Host Plants Newly Reported in South Korea in 2020-2022)

  • 김명휘;장석영;최지수;변희성;곽해련;이수헌;서장균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08-117
    • /
    • 2023
  • 첨단 바이러스 진단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생물 시료로부터 신종 바이러스를 비롯한 바이러스 동정정보가 폭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식물바이러스의 경우, 최근 3년간 약 376여 종의 신종 바이러스가 새롭게 보고되기도 하였다. 식물 바이러스병에 대한 국가별 또는 지역별 발생 정보 및 기주 범위에 대한 정보는 바이러스병의 진단, 검역 및 방제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국내에서도 식물 바이러스의 진단 및 동정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신규 발생 바이러스 및 새로운 기주에 대한 많은 보고가 이루어졌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2020년에서 2022년 사이에 국내에서 새롭게 보고된 식물바이러스 및 기주 식물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함으로써, 국내 식물바이러스병의 진단, 방제 및 검역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천궁에 감염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엽맥황화바이러스 제거를 위한 리바비린 처리 효과 (Ribavirin Treatment for Efficient Cucumber mosaic virus and cnidium vein yellowing virus Elimination in Cnidium officinale in vitro Shoots)

  • 안찬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50
    • /
    • 2020
  • 본 연구는 천궁에 감염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와 천궁엽맥황화바이러스(CnVYV)의 제거를 위해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 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천궁 기내식물체의 생장점을 절취 후 항바이러스제 농도를 달리한 배지에서 생육을 유도한 후 RT-PCR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 검출율을 조사하였다. 리바비린을 40 mg l-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바이러스 검출 종 수는 1.1종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동일조건에서 CMV와 CnVYV-2의 검출율은 무처리구 대비 각각 1/5과 1/2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리바비린 처리에 따른 CnVYV-1의 검출율은 감소하지 않았다. 리바바린 처리 농도에 따른 생존율은 처리구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40 mg l-1 리바비린 처리구에서 신초 발생 수와 신초 길이는 무처리구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리바비린 처리를 통해 CMV와 CnVYV-2가 미검출된 23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추가적인 바이러스 검정 단계를 거쳐 무병묘 생산에 활용될 것이다.

  • PDF

해양 바이러스에 대한 엽록소 a와 박테리아 abundance의 상관관계

  • 최은석;김소정;오로라;신경순;장만;이택견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61-71
    • /
    • 2002
  • 광양만내 해양바이러스양은 2.0$\times$$10^{8}$ particles/ml로 매우 풍부했다. 각 계절별 바이러스의 밀도는 여름에 최대 9.0$\times$$10^{8}$ particles/ml에서 겨울에는 최소값인 0.7$\times$$10^{8}$ particles/ml을 기록했다. 광양만 내의 바이러스,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공간적 분포는 open ocean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8, 38, 42, 46, 51에서 보다 closed estuarine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 5, 10 ,12, 16, 20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closed estuarine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2, 26, 32, 34는 높은 바이러스 밀도를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open ocean system에 비해서 낮은 박테리아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몇몇 정점의 수심 깊이에서는 박테리아의 밀도가 바이러스의 밀도를 100배정도 초과했다. 해양 바이러스와 그들의 host system의 계절별 밀도는 역동적으로 번화했으며, 그들의 계절별 변화는 밀집한 상호연관성을 가졌다. 여름에 바이러스와 박레리아의 밀도는 증가된 반면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a 농도는 평균값을 유지하였다. 겨울에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밀도가 급속하게 줄어들었고, 마찬가지로 엽록소-a 농도 역시 감소하다가, 곧 다시 증가했다. 바이러스의 밀도는 2001년 8월에 최고점에 도달했으며, 박테리아의 밀도는 2001년 8월과 2002년 6월에 최고값을 가졌다. 반면에 엽록소-a의 농도는 2002년 4월에 최대치에 도달했다. 전체 host와 바이러스 밀도로 볼 때, 그들의 pool은 바이러스에 의한 mortality에 의해서 steady-state 상태로 유지되고, 바이러스의 밀도 또한 steady-state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시도는 우리 나라 광양만 내에 존재하는 해양 바이러스의 생태적 분포 연구를 다루는 첫 번째 실험으로 사료된다.

  • PDF

포도부채잎바이러스

  • 한국농약공업협회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5권1호
    • /
    • pp.73-75
    • /
    • 1984
  • 이 바이러스의 병징중 대표적인 것은 잎이 부채모양이나 부채를 반으로 접은 모양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병징때문에 Grape fanleaf virus로 부르게 된 것으로 추측되며 이를 근거로 포도 부채잎바이러스로 이름을 붙였다. 이 바이러스는 우리나라 식물검역법규상 경계 병원균으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아직 우리나라에 분포되어 있지 않은 주요 병원균으로 수입시 선충부착 여부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병징의 발현 여부를 철저히 검사하여 국내 침입을 방지 하여야 한다.

  • PDF

식물 바이러스 증식에 관여하는 기주 요인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Host Factors for the Replication of Plant RNA Viruses)

  • 박미리;김국형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98-105
    • /
    • 2005
  • 기주 식물체 내에서 식물바이러스의 증식과 이동 여부는 바이러스 게놈과 기주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바이러스는 기주 내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고 이동하기 위해서는 기주의 요소들을 이용해야 하며, 이러한 기주 요소들은 바이러스의 기주내 침입(entry),바이러스 유전자의 발현, 그리고 바이러스 입자형성(virion assembly) 등 모든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관여를 하거나, 또는 기주 단백질 발현과 저항성을 조절하여 바이러스 증식에 간접적으로 관여를 한다. 기주 요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바이러스 증식에 관여함으로써, 기주 특이성 및 바이러스의 병 발생에 관여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 땅콩 줄무늬 바이러스병 발생

  • 유기열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6권5호
    • /
    • pp.47-49
    • /
    • 1985
  • 땅콩 줄무늬 바이러스(peanut stripe virus, PSV)는 땅콩의 가장 피해가 큰 병 중 하나이며, 기타 중요한 두과(대두, cowpeas, arrowhead, crimson clovers)작물에도 피해를 입힌다. 최근에 이 바이러스는 중공에서 수입한 땅콩종자 유전자원(germ plasm)에 감염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미국의 식물병리학자들이 세밀한 조사시험연구를 한 결과 미국에도 이미 이 바이러스가 발생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 결과 미국 동식물검역국(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은 최근에 중공으로부터 종자용을 포함한 땅콩(Arachis species)수입을 금지하기에 이르는 등 식물검역상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