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종

Search Result 4,99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dentification of Salix caprea × Salix gracilistyla Using Nuclear DNA Marker (핵 DNA 마커를 이용한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 식별)

  • Han-Na Seo;Hyo-In L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6-66
    • /
    • 2022
  • 속성수로 활용되는 버드나무속 식물들은 생식기관과 영양기관의 성장 시기가 달라 형태적 특성 평가를 위해 수년간의 조사 기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우수 버드나무속 교잡종 육성의 성공 여부를 조기 판별하기 위한 식별 기술이 필요하다. DNA 마커는 식물의 생장단계와 관련 없이 탐색할 수 있으며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식물의 계통 분류 시 주로 사용되는 엽록체 DNA는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이가 비교적 크지 않은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활엽수에서 모계를 통해 유전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종간 교잡종의 식별은 각각의 부모종과 구분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연구는 엽록체 DNA가 아닌 핵 DNA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랑버들을 암나무로 갯버들을 수나무로 인공교배하여 육성된 종간 교잡종을 식별하는 핵 DNA 마커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버드나무속에서 개발된 총 35개의 nSSR (nuclear Simple Sequence Repeat) 마커를 대상으로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의 식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 간 차이를 나타내는 2개의 핵 DNA 마커를 선발하였다. 따라서 선발된 핵 DNA 마커를 활용하여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의 조기 식별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 심현보;서석민;최병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0 no.1
    • /
    • pp.25-34
    • /
    • 2002
  • The halophytes were investigated on Gyeonggi Bay from Aug. 1999 to Oct. 2001. The survey was conducted at 38 areas including natural salt marshes, dunes, abandoned salt farms and bank areas. During this study 46 species of halophytes were collected in the areas. Among the halophytes the following 7 species were found at natural salt marshes only; Triglochin maritimum L, Carex scabrifolia Steud., Salicornia herbacea L., Suaedu australis (R. Br.) Moq., S. martima Dum., S. japonica Makino, S. malacosperma Hara, on the other hand 8 species at dunes only; Glehnia littoralis Fr. Schm., Cnidium japonicum Miq., Messerschmidia sibirica L., Ixeris repens A. Gray, Corispermum stauntonii Miq., Vitex rotundifolia L. fil., Ischaemum anthephoroides Miq., Carex kobomugi Ohwi. The distributions of halophytes in each regions are as the followings : Isl. Gyodong-do 21 species, Isl. Seokmo-do 10 species, Isl. Ganghwa-do 28 species, Isl. Jangbong-do 16 species, Isl. Sin & Si-do 10 species, Isl. Daemuui-do 23 species, Isl. Deokjeok-do 23 species, Isl. Ijak-do 10 species, Isl. Yeongheung-do 29 species, Soyra 25 species, Isl. Daebu-do 15 species, Ssangsong-ri 6 species, Hogok-ri 16 species, Maehyang-ri 10 species.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to Suppress Population of Meloidogyne hapla in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더덕에 발생하는 당근뿌리혹선충의 증식억제 식물 탐색)

  • Lim, Ju-Rak;Hwang, Chang-Yeon;Kim, Dae-Hyang;Choi, Jung-Sick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5 no.3 s.144
    • /
    • pp.339-346
    • /
    • 2006
  • Total 90 species of medicinal plants were surveyed to see if they have any suppressive effects on the dinsity of M hapla at the exhibition field in the Chinan medicinal herbs experiment station. In 70 species including Achyranthes japonica, root-knot and/or egg sac of M. hapla was not found and these plants were planted in C. lanceolata field to check the degree of M. hapla infection. In 26 species including A. japonica, M. hapla infection was not observed. Simultaneously, 30 species were planted in pots to find out degree of infection by M. hapla. Dianthus chinensis, Rudbeckia bicolor, Sedum kantschaticum, Ricinus communis, Anemarrhena asphodeloides, Malva verticillate, Chelidonium majus, Sesamum indicum, Agrimonia pilosa, Geum aleppicum, Sanguisorba officinalis and Scrophularia buergeriana were free from infection. While the number of galls and density of M. hapla in soil were higher to high innoculation density, and the growth of C. lanceolata was rower.

Screening of Vitality Indicators from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by Chlorophyll Fluorescence Analysis (엽록소형광을 이용한 아열대성 식물 4종의 활력도 지표 검색)

  • 오순자;고석찬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1b
    • /
    • pp.68-68
    • /
    • 2002
  • 아열대성 식물 4종 (문주란,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박달목서, Osmanthus insularis; 죽절초, Chloranthus glaber; 파초일엽, Asplenium antiquum)을 대상으로 자연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엽록소형광을 분석하여 이들 식물의 활력도를 검토하였다. 여름철 일변화에 있어서 양지에 자라는 문주란과 박달목서는 Fv/Fm이 새벽과 밤에는 0.80~0.83 범위의 높은 값을 보이지만, 낮시간에는 0.65~0.73으로 낮았다. 1-qN과 1-qP도 낮시간에 크게 낮아졌다. 음지에 자라는 죽절초와 파초일엽의 Fv/Fm은 높아서 0.83~0.85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일변화적 특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1-qP의 변화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1-qN이 낮시간에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죽절초와 파초일엽에서는 광억제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나 문주란과 박달목서에서는 낮시간의 고광에 의한 광억제가 나타난다. 하지만 여기에너지의 일부를 열의 형태로 방출하여 광피해를 완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겨울철에는 Fv/Fm이 모든 종에서 0.8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문주란의 Fv/Fm 값은 다른 3종 보다 더 낮았다. 그리고 모든 종에서 일변화적인 특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문주란의 1-qN은 낮시간에 다소 감소하였지만, 나머지 3종의 식물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l-qP는 문주란과 박달목서에서는 낮시간에 0.6 범위로 낮아졌다. 이는 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겨울철 저온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보인다. 한편, 여름철 문주란과 박달목서의 O-J-I-P곡선은 거의 유사하며 낮에 뚜렷하게 낮았고, 죽절초와 파초일엽에서는 일변화적 특성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리고 P $I_{NO}$ 와 SF $I_{NO}$ 가 죽절초를 제외한 3종에서 여름철 낮시간에 증가하였다. 겨울철의 O-J-I-P곡선은 모든 종에서 낮시간에 다소 낮아지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psi$o/(1-$\psi$o)가 낮시간에 다소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P $I_{NO}$ , SF $I_{NO}$ , $\psi$o/(1-$\psi$o)등의 변수는 식물의 활력도를 검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PDF

Flora of Gwanmae Island (관매도의 식물상)

  • Sun, Eun-Mi;Son, Hyun-Deok;Park, Han-Su;Im, Hyoung-Tak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1
    • /
    • pp.109-133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Gwanmae island and discussed important vascular plants found on the island. We made plant list using voucher specimens collected from Gwanmae island from 2016 to 2021 and deposited in CNU. There are 500 taxa in Gwanmae island, comprising 103 families, 307 genera, 461 species, 4 subspecies, 32 varieties and 3 forms. Eight endemic plants of Korea were found including Saussurea polylepis Nakai. There are 15 red list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ing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and Woodwardia japonica (L. f.) Sm. There are total 126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cluding 4 taxa of level V such as Juniperus procumbens (Siebold ex Endl.) Miq., 4 taxa of level IV such as Wisteria japonica Siebold & Zucc., 45 taxa of level III such as Rubus trifidus Thunb., 16 taxa of level II such as Glehnia littoralis F. Schmidt and 56 taxa of level I such as Carpesium glossophyllum Maxim. There are 32 invasive plants including Cerastium glomeratum Thuill.

Classification of Seed Exogenous Dormancy in Korean Native Plants (자생식물 종자의 외생휴면 분류)

  • Ju Sung Cho;Kyungtae Park;Sang Yeob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10
    • /
    • 2020
  • 전 지구적으로 생물다양성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따른 생물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식물 유전자원의 종 다양성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2017년에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에 대한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식물유래 BT산업 소재의 국내 자급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며, 더불어 국토의 생태복원에 적합한 식물 소재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생식물의 종자 수급기반 대책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높은 식물 종 다양성을 보이며, 이는 종자의 휴면유형 또한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물유전자원으로써의 보존 및 국가 경제적 이익을 위한 종자 활용, 산업화를 위해서는 종자의 생리적 특성에 기반 한 데이터베이스의 축적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적정 휴면타파 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식물종에서 종자 휴면의 하위 카테고리가 계속적으로 세부 분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세부 휴면유형에 의해 많은 유용 식물자원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종자의 휴면유형은 크게 외생휴면(Exogenous dormancy)과 내생휴면(Endogenous dormancy)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는 내생휴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외생휴면은 물리적 휴면(Physical dormancy), 기계적 휴면(Mechanical dormancy) 및 화학적 휴면(Chemical dormancy)으로 세부 분류되며, 기계적 휴면과 화학적 휴면은 내생휴면인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물리적 휴면 종자에서는 water-gap 복합체의 존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발아억제 호르몬에 기인하는 화학적 휴면 및 종(과)피 또는 배유에 의한 기계적 휴면은 배의 성장잠재력과 발달에 의해 타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 많은 식물 종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외생휴면 유형에 대해 내생휴면과는 명확히 다른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하므로, 다년간의 체계적 연구를 통해 미흡한 종자생리 연구 분야를 보완하고 자생식물의 종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ne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Suaeda malacosperma Hara (나문재속 한반도 미기록식물 1종)

  • Shim, Hyun-Bo;Chung, Joo-Young;Choi, Byoung-H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1 no.4
    • /
    • pp.383-387
    • /
    • 2001
  • One unrecorded species of Suaeda is found from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of Kore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of the plant are described. The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Korean species in the genus by its thin and broad leaves and the stellate shape of fruits.

  • PDF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C4 Plant List and Distribution in South Korea:A Review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C4 식물 목록과 분포 변화:고찰)

  • Kim, Myung-Hyun;Han, Min-Su;Kang, Kee-Kyung;Na, Young-Eun;Bang, Hea-S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3 no.3
    • /
    • pp.123-139
    • /
    • 2011
  • It is expected that identification and lists of $C_4$ plants in specific regions are useful not only for the ecological researches that are related to vegetation phenology and succession but also as an index of climate change. In this review, $C_4$ plants growing in South Korea were listed and their life form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influences that climatic change and the $C_4$ plants exerted on plant ecosystem. Photosynthetic pathway types ($C_3$ and $C_4$) for the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were determined by reviewing the scientific literatures published between 1971 and 2010. Of the total 4476 species in 1123 genera and 197 families, 206 species (4.6%) in 84 genera (7.5%) and 21 families (10.7%) were identified as $C_4$ plants (including $C_3$-$C_4$ intermediate plants). Among the identified $C_4$ species, 53 species (25.7%) in 26 genera and 15 families were classified as Dicotyledoneae, while 153 species (74.3%) in 58 genera and 6 families were classified as Monocotyledoneae. The majority of the $C_4$ species belong to four families: Chenopodiaceae (15 species), Amaranthaceae (13 species), Gramineae (102 speceis) and Cyperaceae (45 species). With respect to life form composition of 206 $C_4$ species, Th-$R_5$-$D_4$-t was most dominant: 95 species (46.1%) were included in Th, 123 species (59.7%) in $R_5$, 179 species (86.9%) in $D_4$, and 122 species (59.2%) in 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_4$ plants. Such a result will have considerable impacts on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C_3$ and $C_4$ plants, the distribution of $C_4$ plants, plant phenology, and plant diversity.

Establishingment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utilizing system (천연물식물자원의 활용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CHOI, SANG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19-19
    • /
    • 2019
  • 전 세계 고등 식물자원은 약 350,000종, 한반도 식물자원은 약 4.500~5,000종 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2018년 8월부터 국내에도 나고야의정서 발효되어 국내 산학연 연구자들의 해외생물자원 활용을 통한 연구개발에 장벽이 높아졌습니다. 저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는 지난 2001 ~ 2010년 동안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운영하여 국내 유용식물자원을 확보하여 추출물 또는 건조시료 형태로 연구자들에게 분양을 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생물소재센터에서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해외 36개 국가와 국제공동연구협약을 체결 하여 ABS 규정에 따라 약 35,000종의 식물자원을 확보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4개 국가(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코스타리카)에 거점센터를 구축하고 박사급 연구자를 파견하여 열대식물 자원전문가로 양성해오고 있습니다. 4개 거점센터에서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산업화 지원을 위하여 야생종의 대량재배 시스템 구축 및 원료 표준화 작업을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산학연 연구자들에게 누적 3,000,000점(1점 : 20mg)이상의 해외추출물을 분야하여 식물자원을 활용한 연구개발을 지원해 오고 있습니다.

  • PDF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Ja-Ung (Gyeong-gi-do, Pa-ju-si) Adjacent to the DMZ (DMZ 일원 자웅산(경기도 파주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 Young-Min Choi;Jong-Won Lee;Jin-Heon Song;Kyung-Ryul Byun;Jaesang Chung;Hee-Young G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3-33
    • /
    • 2021
  • 자웅산(264.3m)은 DMZ 접경지역인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에 위치하며, 백두대간 줄기 중 한북정맥을 따라 동쪽으로는 노고산(401m), 서쪽으로는 명학산(220m)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1회씩 총 3회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고 화상자료와 증거표본을 확보하였다. 본 조사로부터 자웅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2과 208속 267종 9아종 22변종 4품종으로 총 30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10과 18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6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2과 226분류군, 단자엽식물이 8과 5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등 3과 3분류군의 특산식물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로는 가시도꼬마리(Xanthium italicum Moretti),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F.H.Wigg.), 애기망초(Conyza parva Cronquist) 등 7과 23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303분류군의 7.6%를 차지하였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이 미나리냉이(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IV등급이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등 2분류군, III등급이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 꽃쥐손이(Geranium platyanthum Duthie),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Trautv. ex Maxim.) Maxim.) 등 7분류군이 확인되어 III등급 이상의 특정종은 10분류군으로 파악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