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재배기

Search Result 49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thracnose of Salvia plebeia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

  • Kwon, Jin-Hyeuk;Nam, Myeong-Hyeon;Park, Chang-Seuk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3 no.2
    • /
    • pp.119-121
    • /
    • 2007
  • Anthracnose of Salvia plebeia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was observed in the exhibition field of Hamyang-gun,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Korea. The disease mainly occurred on the leaves, petioles and stems of whole plant. The typical symptoms were water-soaked lesions on stems and petioles, rotted stems and withering then eventually died. The color of colonies of the pathogenic fungus grown on potato dextrose agar was pinkish gray. Conidia were fusiform in shape and was $8{\sim}17{\times}3{\sim}4\;{\mu}m$ in size. Appressoria were pale to dark brown in color, clavate in shape and the sizes were $8{\sim}11{\times}4{\sim}6\;{\mu}m$.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25^{\circ}C$. On the basis of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test on host plant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acutatum J. H. Simmond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anthracnose of S. plebeia caused by C. acutatum in Korea.

The Optimum Photoperiod on Floral Differentiation of French Marigold Grown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재배되는 프렌치매리골드의 화아분화를 위한 최적의 광주기 구명)

  • Nayoung Kwak;Bo Hyun Sung;K.P.S. Kumaratenna;Young-Yeol Ch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3 no.1
    • /
    • pp.71-78
    • /
    • 2024
  •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growing crops, light is closely related to the anthesi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photoperiod affecting floral differentiation in an edible flower, marigold, to efficiently cultivate the crops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photoperiods of 4, 8, 12, and 16 hours. French marigold (Tagetes patula L.) 'Durango Red' seeds were sown in polyurethane sponges, and the photoperiod treatments were applied immediately. The extent of floral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at 2-3 day intervals, defined as the visible appearance of flower buds at least 2 mm in size. The growth parameters such as shoo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height, and leaf area were measured. The optimal photoperiod was determined based on the days when the floral differentiation had occurred in 50% of the total plants. In the 4-hour treatment, proper growth and flower buds did not appear. From the 8-hour treatment, the plant grew normally, and floral differentiation occurred, however, the 8-hour treatment showed the slowest floral differentiation compared to the 12 hours treatments or more. The 12- and 16-hour treatment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oral differentiation. While the 16-hour treatment exhibited the highest results in all growth parameters,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12-hour treatment except for shoot dry weight and leaf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8 hours of photoperiod induced floral differentiation. However, more time was required for flower bud formation, and plant growth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photoperiods of 12 hours or more. Considering the energy consumption and its growth, the optimal photoperiod for marigold was 12 hours.

Annual Productivity and Adaptability of Growing Area in Shallot (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 (Shallot(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의 연도별 생산성과 지대별 적응성)

  • Cho, Yong-Cho;Lee, Jong-Tae;Park, Yoo-Gyeong;Jeong, Byoung-Ry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4 no.2
    • /
    • pp.160-167
    • /
    • 2011
  • Shallot is a foreign crop introduced from France in 1995 as a new overwintering field crop with an aim to develop as an export crop. During the introductory cultivation trials, several problems were raised such as premature growth depression in early summer, sensitivity to summer moisture, and weakened vigor of the seed bulbs following successive propag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roper cultural methods based on annual productivity and adaptability of growing area to address and suggest solutions to some of these problems. Bulb weight was 18.7 g and bulb yield per 10a was 4,113 kg in 1995. In 1996, bulb weight increased to 25.8 g, while bulbs yield per 10a deceased to 2,013 kg. This trend continued in 1997 so that bulb weight increased, and yield per 10a decreased as compared to those in 1996. However, in 1998, both bulb weight (21.1 kg) and yield per 10a (1,246 kg)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to those of the previous years. Plant growth from planting to April in the coastal area was better than in other areas. However, the plant growth thereafter until early July was better in the semi-highland area. As a result, the bulb yield in the semi-highland area was 57% more than that in the lowland areas such as the coastal area.

Effect of Planting Distance on the Growth and Yield of Brussels Sprouts in the Highland Area (방울다다기양배추 고랭지 재배시 재식거리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Um, Nam Yong;Kim, Ki Sun;Lee, Jae Hee;Jun, Shin Jae;Lee, Won Gung;Kim, Gung 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3-53
    • /
    • 2019
  • 방울다다기양배추는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낮은 작물이지만 최근 식생활 및 소비 패턴이 변화하면서 편의성, 차별성 등이 중요시면서 미니 과일, 미니채소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외국의 도입 채소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2013년 방울다다기양배추 수입량이 36톤이었던 것이 2015년에는 14.3배가 증가한 515톤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방울다다기양배추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과 미니채소에 대한 관심으로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같이 증가추세에 있는 방울다다기양배추의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국내 재배면적 확대가 필요하나 저온성 작물인 방울다다기양배추는 고온기 남부지역에서는 재배가 어려워 제주지역의 겨울재배 작형으로 제한되어 재배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겨울재배 작형과 연계하여 강원도 고랭지의 서늘한 여름 기후를 이용하여 단경기인 9~11월에 생산할 수 있는 여름재배 작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2018년~2019년 태백 철암의 노지(표고 750 m)에서 시험품종은 "브릴리언트"를 이용하여 3월 하순 파종하여 50일 육묘하여 5월 10일 포장에 정식하였다. 흑색멀칭한 시험포장에 $80{\times}30cm$부터 $80{\times}60cm$까지 10 cm 간격으로 차이를 두고 정식하였으며 정식 전 N-P-K = 20-15-20 kg/10 a를 시비하였고 시험포장은 수확까지 병해충 방제 등 주기적으로 관리하면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재식거리별 생육상황을 비교한 결과 초장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고 경경은 재식거리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엽장 및 엽폭은 처리간의 경향이 없었으며 엽수는 재식거리가 커질수록 증가하였고 $80{\times}30cm$ 처리시 80매내외였던 것이 $80{\times}50cm$ 이상일 경우 100매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재식거리별 구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구경은 처리간 큰 차이는 없었으나 재식거리가 커질수록 구경이 다소 증가하였으며 구중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방울다다기양배추의 구의 엽수는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고 경도 및 당도도 큰 차이가 없었다. 처리별 수량은 $80{\times}40cm$$80{\times}50cm$ 처리에서 수량이 다소 증가하였고 상품화율은 $80{\times}50{\sim}60cm$ 처리에서 80%이상으로 높았다. 따라서 방울다다기양배추의 여름 고랭지 재배시 재식거리는 $80{\times}50cm$ 처리시 생육 및 엽수 증가에 따른 구의 형성이 증가하여 수량성이 높아지고 상품화율도 증가하였다.

  • PDF

'전북운봉지방 목도열병, 신변이균아니다' - 지난해 냉해로 내냉품종재배 - 재래균에 의해 황숙기 피해 발생 -운봉지역의 목도열발생실태와 대책(1)

  • 구영서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2 no.11
    • /
    • pp.49-54
    • /
    • 1981
  • 벼 통일계 신품종이 지난 1971년부터 우리나라에 재배돼면서부터 이들 신품종은 녹색혁명의 총아로 각광을 받게됐으며 더욱이 이들 신품종은 도열병에 대한 내병성이 강한것으로 알려져 증산의 꿈은 조기에 실현될듯 했다. 그러나 1976년 전북진안에서 1977년에는 임실에서 도열병변이균이 발견되더니 급기야 1978년에는 전국적으로 만연, 통일계품종이 이병화 품종으로 전락됐다. 올해는 전북 운봉에서 황숙기에 목도열병이 발생, 일부 지방 및 중앙지에 새로운 도열병이 발생됐음을 보도했다. 그러나 현지 농촌진흥원의 조사결과로는 새로운 변이균이 아니고 재래균으로 판명되고 있어 일단 안심은 돼나 이 지역이 위치$\cdot$기후적으로 새로운 도열병변이균이 발생될 가능성이 많은 지역이라 올해에 문제됐던 운봉지역 목도열병의 발생실태와 대책을 2회에 걸쳐 알아본다.

  • PDF

Development of smart hydroponic grower and app using LED (artificial light) (LED(인공광)를 활용한 스마트 수경재배기 및 앱(App) 개발)

  • Han, Hyun-Gwan;Kim, Dae-Kyung;Park, Hong-Gyu;Baek,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19-622
    • /
    • 2017
  • LED기반의 스마트 수경 재배기 개발하여 언제 어디서나 식물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면서 더 깔끔하고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고,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Changes of General Components and Aromatic Constituents in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he Native and Cultivated Area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의 조성변화)

  • 이승필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9 no.3
    • /
    • pp.230-238
    • /
    • 1996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aromatic constituent composi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species grown in the native(Mt. lrwol, Youngyang, Kyungpuk Province) and the cultivated(Andong, Kyungpuk Province) areas from 1994 to 199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ir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at the native area were lower to $2{\sim}3^{\circ}C$, and to $2^{\circ}C$ than the cultivated area. Organic matter contents of plant grown at the native area higher than that of plants at the cultivated area by 4.8%.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plant grown at native area than the plant grown in wild area but in case of crude saponin, plants grown at wild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native area. For inorganic element contents. K content is much higher than in the domesticated area as compared with wild area above ten over. And other elements such as Cu, Mn, Na and Mg were not remarkably different in contents.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rgine was highest compared with other free amino acids, and Arginine content was higher in dometicated area.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 of wild species grown at the cultivated showed 0.005%, but domesticated species was 0.004%. But both species at the native area were the same by 0.004%. Although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the two areas and species varied, total aromatic constituent was 21 kinds. Most aromatic constituents were aliphatic alcohols such as 1-hexanol, eis-3-hexanol, and trans-2-hexanol occupied by approximately 90% over. But three constituets as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and 2-methoxy-4-vinyl phenol(MVP) were detected only in domesticated species.

  • PDF

Yield and Fruit Quality of Hardy Kiwifruit (Actinidia arguta) as Affected by the Length of Fruit Bearing Mother Branches in T-Trellis Cultivation (T덕형을 활용한 다래 재배에서 결과모지 전정 길이에 따른 수확량 및 열매 특성 분석)

  • Jiae Seo;Hanna Shin;Moon Sup Kim;Young Ki Kim;Jeong Ho S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58-58
    • /
    • 2020
  •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재배되고 있는 다래(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의 재배유형이 T덕형과 평덕형으로 나누어지고, 덕 형태 및 품종에 따라 다래의 생육 양상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모지 길이를 15cm 길이의 단일한 형태로 전정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T덕형을 활용한 다래 재배에서 품종별로 수확량을 증대하면서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한 결과모지 길이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새한', '대성' '칠보' 및 '오텀센스' 등 4품종을 대상으로 하여 결과모지 길이가 15, 30 및 50cm가 되도록 전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한 후 수확기인 9월에 수확량 및 열매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품종과 가지수, 결과지의 수와 미결실지 수, 열매 무게, 총 수확량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정 길이에 따라서는 총 착과 수, 열매 무게 및 총 수확량에서 차이가 있었다. 모든 품종에서 결과모지 길이가 길어질수록 총 수확량은 증가하였으며, 총 수확량은 품종에 따라 2~7배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모지 전정은 '새한', '대성' 및 '오텀센스'는 50cm 전정에서 칠보는 30cm 전정에서 생산량 및 품질특성이 우수하였다.

  • PDF

Occurrenc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loidogyne incognita in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마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발생 실태 및 수직 분포)

  • Kwon, Giyoon;Kang, Heonil;Seo, Jongmin;Yun, Eulsoo;Park, Namsook;Choi, Insoo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5 no.3
    • /
    • pp.124-130
    • /
    • 2019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estation and distribution of plant-parasitic nematodes on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in Andong, Korea.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was the most prevalent nematode species which is found from 43 yam fields (81.1%) with high population densities (average of 450 juveniles/$300cm^3$). Other nematodes,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spp.) and pin nematode (Paratylenchus spp.) were less problematic. Density of juveniles (J2) of M. incognita was $10\;J2/300cm^3$ by August, then increased to 274 in September and 624 in October. The highest J2 density was found at the soil depth between 40 and 50 cm ($1,840\;J2/300cm^3$). M. incognita was able to infest yam tuber down to a depth of 70 cm and developed galls outside and brown spots inside. The highest number of females were found at 40-50 cm (79 females/10 cm piece) tuber from the top.

Comparative Agricultural Traits of Chickpea Germplasm from Tropical and Subtropical Area

  • Yu-Mi Choi;Hyemyeong Yoon;Sukyeung Lee;Myoung-Jae Shin;Myung-Chul Lee;Joungyun Yi;On sook Hur;Na young Ro;Kebede Taye Dest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2-52
    • /
    • 2020
  • 병아리콩은 두류 중 콩, 땅콩, 강낭콩, 완두 다음으로 중요한 작물로 chickpea, garbanzo bean 이라고도 불리며, 원산지는 터키 동남부와 시리아로 알려져 있다. 병아리콩은 전세계 50개국 이상에서 재배되며, 인도에서 전세계 생산량의 66%가 재배되고 있다. 병아리콩은 Desi (microsperma)와 Kabuli (macrosperma)의 두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Desi형은 꽃색이 분홍색, 종피가 두껍고 종피색이 유색이 특징, Kabuli형은 백색꽃에, 백색이나 미색 종피 양머리 종자형태를 보인다. Desi 형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Kabuli 형은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남미와 유럽 등지에서 주로 재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 미얀마, 우즈벡, 조지아, 불가리아, 우크라이나 등 6개국에서 수집한 자원의 농업형질을 평가하고 비교하여 활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꽃색의 분포는 분홍색이 백색보다 2배 많았으며 조지아, 인도와 미얀마 수집 자원은 80% 이상이 분홍색,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백색이 최소 75%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소엽의 크기는 종자의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인도와 미얀마, 불가리아에서는 소립종, 조지아, 우크라이나에서는 중립종의 비율이 높았다. 개화기는 6월 상중순에 집중되었으며 인도와 미얀마 수집자원의 개화기가 6월 상순 이전으로 빠르고 우크라이나 자원이 6월 하순과 7월 상순으로 늦은 경향을 보였다. 올해는 6월 중순부터 지속된 강우로 개화 후 정상적인 결실이 어려웠으나 6월 하순부터 성숙하기 시작하였고, 인도와 미얀마 수집자원은 주로 7월 상순에 나머지 수집 국가들은 7월 하순 이후에 성숙하였다. 올해의 기상이변으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하여 차년도에 재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나 올해의 양적, 질적 형질의 경향치를 이용하여 수집국간의 농업형질을 비교하고, 식품소재의 다양화 다변화 추세에 맞추어 도입작물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