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성농약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7초

미국의 농산물중 잔류농약 규제와 상반된 법규조항 - 무시할 수 있는 위험 기준과 델라네이 역설(Delaney Paradox)

  • 이해근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12권6호통권105호
    • /
    • pp.31-39
    • /
    • 1991
  • 소득의 증가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그 어느때 보다 고조되고 있다. 농산물(식품)중에 잔류하는 미량의 농약성분, 특히 발암위해성과 관련이 있는 농약성분의 잔류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관련법규(연방살충$\cdot$살균$\cdot$살서제법과 연방식품$\cdot$의약품$\cdot$화장품법)의 내용과 해석 차이로 US/EPA가 농약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법률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현재도 관련법규나 제도를 계속 보완$\cdot$개정하려는 법안이 국회에 계류되어 심의중에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내용은 US/EPA가 세계농약공업연맹(GIFAP)에 서신으로 보낸 ''델라네이 역설''(Delaney Paradox addressed by US EPA : GIFAP Bulletin Vol. 15(1). 1989)에 관한 것이다.

  • PDF

식물생장조정제 효과있게 쓰려면

  • 이효승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11권6호통권99호
    • /
    • pp.41-48
    • /
    • 1990
  • 생장조정제 사용에 앞서 작물재배과정에서 꼭 알아둘 점이 있다면 (1) 생장조정제는 재배환경에 민감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온도, 습도, 광등을 고려하여 정상생육 환경이 되도록 재배환경을 잘 맞춰줘야 약제발현 효과가 있으며 (2) 토양환경면에서 세포생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분화발육 할 수 있을 때 약제 발현성을 높이기 때문에 비배관리면에 특히 유념해야 한다는 것이다.

  • PDF

전북농기원, 한약재 천문동 재배기술 개발 - 농가 소득증대 수입대체효과 기대

  • 한국생약협회
    • 한국생약보
    • /
    • 255호
    • /
    • pp.5-5
    • /
    • 2003
  • 생약자원개발사업 진행 - 황분말대신 '유안' 사용 비용 덜들고 품질 향상 - 삼백초 5cm간격으로 밀식 상품성있는 잎 더욱 늘어나 - 한약재 이용 천연염색 교육 - 둥굴레 신품종 '건강백세' 개발(2005년 농가보급 계획) - 자생식물로 천연농약개발(강원도농업기술원) - 안성 죽산일대 '지황' 주산지로부상 - 자원식물학회 학술발표회

  • PDF

국내 잔류농약 residue definition과 관련된 식이노출의 과소평가 (Underestimation of Dietary Exposure to Pesticide Residues in Relation to Residue Definition in South Korea)

  • 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52-458
    • /
    • 2020
  • 본 연구는 식물성 식품에 대한 잔류농약의 국내와 코덱스의 residue definition 비교를 통해 국내에서 식이노출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있는 농약성분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식이노출 과소평가가 위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농약성분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와 코덱스의 residue definition 정보로부터 식이노출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있는 44종의 농약성분이 파악되었다. 이들 성분 중 농약성분의 ADI값, 국내 MRL 정보 및 대사물질의 독성학적 정보에 근거하여 다음의 24종 농약성분이 식이노출 과소평가가 위해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cibensolar-S-methyl, chlorfenapyr, chlorothalonil, cyantraniliprole, cyclaniliprole, cyflumetofen, dithiocarbamates, fenamidone, fenpyroximate, fluazifop-P-butyl, fluopicolide, flupyradifuron, fluxapyroxad, glyphosate, hexythiazox, isoprothiolane, isopyrazam, myclobutanil, penthiopyrad, propiconazole, spinetoram, spiromesifen, spirotetramat, trifloxystrobin. 더 나아가 chlorfenapyr, chlorothalonil, dithiocarbamates, fenamidone은 대사물질의 독성이 더 커서 특히 우선적으로 검토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식품 중 잔류농약에 대한 국내 위해성 평가방법의 개선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