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생장

Search Result 2,53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Growth Regulators in Agriculture (농업에서의 식물생장 조절제들)

  • 이영병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 no.1
    • /
    • pp.2-8
    • /
    • 1993
  • 천연화합물과 합성화합물은 모두 합쳐서 식물생장조절제라 부르고 이들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 식물의 기간들의 생장율을 촉진하거나 억제한다. 호르몬이란 용어는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색물생장 조절제에 국한되는 것이다. 실제의 응용에 있어서 합성된 생장조절제가 사용되는 것은 이 물질이 생체내에서 안정도가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성물질은 식물 호르몬의 구조적인 유사성으로 흉내를 내거나 내생 호르몬들의 생합성, 전류, 및 대사를 조정해서 그 수준을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식물생장 조절물질들의 기능과 가능력을 이해하기 위해서 분자수준에서 식물호르몬들의 작용의 양상을 고찰한다.

  • PDF

고등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납의 영향

  • Park, J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65-467
    • /
    • 2007
  • 애기장대에 납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식물의 생장과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환경부고시 오염물질 배출기준치를 기준 농도로 하고 이보다 10배 및 50배 높은 농도의 납을 각각 처리한 애기장대의 줄기생장을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와 이보다 10배 높은 농도에서는 줄기 생장이 정상식물보다 약 18%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보다 50배 높은 농도를 처리한 식물에서는 정상식물보다 약 41% 줄기생장이 감소하였다. 3가지 농도의 납을 애기장대에 처리한 후 식물의 뿌리 생장을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를 처리한 식물의 뿌리 생장은 정상식물과 거의 유사하였으나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의 10배 이상이 되면 뿌리 생장이 전혀 되지 않았다. 3가지 농도의 납을 처리한 배지에서 애기장대의 종자 발아율을 측정한 결과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와 이보다 10배 높은 농도를 처리한 배지에서는 종자 발아율이 100%로 나타나 정상배지에서의 발아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오염물질 배출기준 농도보다 50배 높은 농도를 처리한 배지에서는 발아율이 0%로 나타나 종자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 속에 침적된 납은 애기장대의 생장과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어 줄기 및 뿌리의 생장을 감소시켰으며, 또한 종자 발아에도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카드뮴 농도에 따른 애기장대의 생장반응

  • Park, J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11-413
    • /
    • 2006
  • 애기장대에 카드뮴을 5가지 농도(1, 5, 15, 30, 50 mg/L)로 처리하였을 때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환경부고시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0.1 mg/L)의 50배 높은 카드뮴농도로 처리한 식물의 줄기 생장은 정상식물보다 어느 정도 촉진되었으나,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의 150배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는 농도에 비례하여 생장이 감소되었다. 뿌리 생장에서는 줄기 생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지만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의 50배 이상의 높은 카드뮴농도에서부터 뿌리생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잎 생장에서는 줄기 생장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어 오염물질 배출기준농도의 50배 높은 카드뮴농도까지는 엽신이 크고 표면적이 증가하여 생장이 정상식물보다 오히려 촉진되었으나 150배 이상의 높은 농도부터는 농도에 비례하여 생장이 감소되었다 카드뮴을 처리한 식물들의 생중량은 줄기와 잎 생장의 결과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Photosynthesis Efficiency Model in the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폐쇄형 식물 생산시스템내의 광합성효율 모델 개발)

  • 김기성;김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3-297
    • /
    • 2002
  •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식물은 생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장속도를 제어하거나 예측할 수 없어 수확적기를 놓치면 품질이 현저히 떨어져 상품성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식물생장기간 동안 식물에 따라 적절한 생장환경을 조성하여 생장정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최적 환경제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식물 생산시스템의 최적 환경제어를 위하여 엽록소형광분석법을 이용하여 상추를 중심으로 광합성효율 모델(photosynthesis efficiency model ; PEM)을 개발하였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optimal planting combination consid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major landscaping groundcover plants (조경용 주요 지피식물의 생장 특성을 고려한 식재조합 및 혼식 적합성 평가)

  • Han, Seung Won;Jang, Ha K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1
    • /
    • pp.197-205
    • /
    • 2020
  • With the purpose of designing companion planting of groundcover plants for ornamental uses, this study identified the y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nine species of different life forms, analyzed the coverag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lants, and suggested combinations of plants suitable for each life form.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Liriope platyphylla and Hosta capitata, as short-grained plants that can grow to more than 20 cm, tended to grow for 60 days after planting in April and maintain their shape thereafter. Their aerial parts started to wither and enter dormancy after September. Saxifraga stolonifera, Dianthus chinensis and Sedum middendorffianum tended to continuously grow until September after planting in April and their growth declined after September. Lysimachia nummularia, as a creeping plant that grows creeping on the ground, started to show a rapid growth three months after planting. Sedum sarmentosum grew slowly until August and the aerial parts started to wither from September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coverage characteristics of these nine species that grow differently after companion planting were surveyed and the growth of Sedum sarmentosum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companions. It was found that Hosta capitata can be companion planted with Sedum middendorffianum, Saxifraga stolonifera, and Lysimachia nummulari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mong different shoot growth types species propagated with their stems creeping on the ground or those that can grow vegetatively with non-rhizome parts are more suitable for companion planting with others than those of which rhizomes branch.

In Fluence Chemicals From Artemisis argyi on the Growth of Selected Species of Plants and Microorganisms (황해쑥에 함유된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과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길봉석;윤경원;이순엽;한동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7 no.1
    • /
    • pp.23-35
    • /
    • 1994
  • To investigate phytotoxic substances in Artemisia argyi, the donor plant,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eceptor plants such as Arundinella hirta, Echinochloa crus-galli, Rumex crispus and Lactuca sativa were examin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queous extracts of the donor plant. Germination of four receptor species was inhibited by the extracts, while seedling growth was decreased to a lesser degree than in the germintion test.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dry weight growth of Achyranthes japonica grown in pot were proportionally inhibited by the extracts. Volatile substances emitted from A, argi plant caused slight inhibition i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receptor species. Essential oil of the plant extracted by Karlsruker's apparatus inhibited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callus growth of Pinellia ternata and Oryza sativa. The GC /MS method was employed for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allelochemicals from A. argyi leaves. Sixty-one chemical substances such as a-pinene, camphene, 1. 8-cineol, etc. were identified from essential oil of A. argyi.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on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microorganism culture and tissue culture indicated that naturally occurring chemical substances from A. argyi would be responsible for the growth inhibition of plants studied.

  • PDF

애기장대에 처리한 인공 황산비와 질산비가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

  • 박종범;이석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57-258
    • /
    • 2003
  • 애기장대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여 인공산성비의 주요 성분인 황산과 질산 중 어느 성분이 식물 생장과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질산과 황산성분이 모두 첨가된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애기장대는 정상식물에 비하여 줄기와 뿌리 생장이 각각 28%, 30% 정도 감소되었고, 잎 표면에는 많은 괴사반점이 관찰되었다. 인공질산비를 처리한 식물은 정상식물에 비하여 줄기와 뿌리 생장이 각각 14%, 17% 정도 감소된 반면 인공황산비를 처리한 식물은 각각 24%, 25% 정도 감소되었다. 종자의 발아율은 인공산성비 배지에서는 80%, 인공황산비 배지에서는 88%, 인공질산비 배지에서는 93%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성분이 다른 3 종류의 인공산성비를 애기장대에 처리하였을 때 식물 생장과 종자발아율은 질산보다 황산성분에 의해서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s of Extract of Melia azedarach on Plant Growth (멀구슬나무 추출물의 추출 공정 개발 및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 Heami Sung;Wonchul Jung;Insoon Hw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73-73
    • /
    • 2020
  • 멀구슬나무 추출물이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멀구슬나무의 추출 공정 개발을 통한 추출 조건을 최적화, 항산화능, 페놀함량,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 하였으며 식물에서 생장 증식률을 평가 하였다. 추출 공정을 표준화하기 위해 물과 에탄올 비율별 추출 및 수율을 확인한 결과 25% 에탄올 추출물에서 2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항산화능 평가 결과 DPPH, ABTS 모두 25%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과 비교 시 유사 하거나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폴리페놀 함량 분석 시, 25% 에탄올 추출물에서 4.6 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산 함량 분석 시, 식물의 성장 성분인 glutamic acid와 식물의 수정을 돕는 성분인 prorine 함량이 높은 수치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멀구슬나무 25% 에탄올 추출물의 식물 생장능을 확인하기 위해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을 이용한 식물 생장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하지 않은 control 군에 비해 입면적과 높이가 증가 하였으며 새순의 수가 더 증가하여 식물 생장능을 확인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Non-contact Plant Growth Measurement System based on USN Technologies (USN 기술 기반의 비접촉 식물 생장 측정 시스템 구현)

  • Suk, Jin-Weon;Ryoo, In-T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0
    • /
    • pp.137-145
    • /
    • 2010
  • This paper is proposed non-contact plant growth measurement system using infrared sensor based on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ies. The proposed system has used noncontact sensors to reduce any potential damage when it measures the growth of the plant. In this system, plant growth parameters such as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and thickening form are measured in real-time non-contact method. The measured data are transmitted to remote server by using sensor network technologies, stored and analyzed at the server, and the analyzed data are finally provided for users. In this paper, the proposed plant growth measurement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non-contact infrared sensor based measurement methods and devices, and its performances have been verified by actual measurement experiments at the fields.

Effect of Inorganic sale, Growth Regulators, and Thiamine on the Callus Growth and Plant Regeneration from long-term Cultured Solanum and Lycopenicon Genotypes (무기염류, 생장조절물질 및 타이아민이 장기간 계대배양한 Solanum과 Lycopnicon종의 캘러스 생장과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

  • Chang Yeon YU;Byong Ho CHANG;Dong Ha CHO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1 no.2
    • /
    • pp.69-76
    • /
    • 1994
  • Callus growth and shoot regeneration of Solanum and Lycopersicon depended on genotype, growth regulators, and thiamine concentration. L. peruvianum LA 1277 and L. peruvianum LA 1373 and PI 251301 had the greatest callus growth while L hirsutum LA 1777, L.esculentum 'Diego'and 'Red Plum' had the least callus growth. Lycopersicon penvianum genotypes were superior to L. esculentur genotypes in regenerating plants. MG medium was more effective in regenerating shoots than MS medium. A low level of IAA (0.2mg/L) and high level of BA (2 mg/L) resulted in the greatest shoot regeneration. Shoot growth varied depending on thiamine concentration and genotype. Shoot proliferation of Solanum ptycathum, Solanum nigrum, and L. peruvianum PI 199380 was best on medium with 20 mg/L thiamine. Regeneration of L. peruvianum PI 251301 and PI 128652 was better on medium with 30 and 10mg/L thiamine,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