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다양성

Search Result 1,68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Study on Identifying Key Biodiversity Areas(KBAs) based on the Flora of Demilitarized Zone(DMZ) and Transboundary in Korea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을 기반으로 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설정방안 연구)

  • Kim, Sang-Jun;Park, Seon-Joo;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4-24
    • /
    • 2019
  • DMZ 및 접경지역은 지난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의 보고이며,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로서 한반도생태계보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러한 DMZ 및 접경지역에 대하여 국내적 중요성 인식 제고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가치인식을 위해 IUCN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을 검토하고 이의 기준을 적용하여 DMZ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제적 가치정도 판단 및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보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첫째, DMZ 일대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자생식물의 분포지역을 파악하여 DMZ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은 18과 139속 367종 1아종 44변종 10품종 422분류군으로, 총 138과 613속 1,517종 8아종 217변종 58품종으로 총 1,80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의 동부지역에서 가장 많은 1,482분류군, 중부지역은 1,225분류군, 서부지역은 1,080분류군으로 가장 적은수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둘째, DMZ 및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한 DMZ 및 접경지역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개느삼, 금강초롱, 모데미풀 3종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후보종으로 선정하였다. 후보종별로 분포예측 결과 전체 면적 $5,270.5km^2$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지정기준을 통하여 선정된 DMZ 및 접경지역에 서식하는 주요 식물에 대한 국제적 가치를 판단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관리방안으로 투명하고 체계화된 국제적 기준으로 해당 지역 내의 생물종 다양성을 지속가능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 및 관리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에 적합한 종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국내적으로 중요한 지역적 멸종위기종에 대한 적용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식물다양성이 중요한 지역의 보호를 위한 우선순위 및 구체적 접근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DMZ 및 접경지역의 지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국내 환경에 부합하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을 통하여 꾸준히 재평가하여 후속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

Industrization of Natural Plant Resources (자원식물의 산업화)

  • Lee,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8-8
    • /
    • 2010
  • 자원식물을 소재로 이용하는 생물산업은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기간산업이며, 미래형 고부가가치산업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55만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천연 강우림 등의 미개척지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어 더욱 많은 종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식물들 중에는 작물로의 개발이 가능하거나, 개발할 필요성이 높은 식물들이 많이 있다. 자원식물들은 예로부터 식용, 약용, 관상용, 유지용, 기호용, 밀원용, 섬유용, 향신료용, 향료용, 당료용, 호료용, 염색용, 수지용, 탄닌용 등으로 구분되어 이용되어 왔다. 자원식물은 종에 따라 꽃,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등 부위별로 다양하게 산업적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건강 기능성 상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자원식물 등 천연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활용가치를 분석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주 5일제 실시 및 여가활용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농촌 경관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 경관산업은 국민의 여가선용 및 복지향상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광산업으로써 지역 이미지 강화를 통한 지역 홍보,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경관산업에 사용된 생물소재를 이용한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농촌 경관산업은 자연과 농촌을 활용한 자연 친화형 관광단지를 조성하여 친환경, 고부가가치형 종합산업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경관산업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소재로써 자원식물의 역할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 지역에 자생하는 고유의 자원식물을 활용하면 지역 특화 경관산업 및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친환경 건강 기능성 상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친환경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과 농촌 경관산업을 활용한 생물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우수한 자원식물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고, 각 자원식물별로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구축하여 다양한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rowth Modeling of Plant based on Message method in virtual Environment (메시지 방식을 이용한 가상환경에서의 식물의 성장 모델링)

  • 권정우;김병주;김태한;최운돈;박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621-623
    • /
    • 2003
  • 식물의 성장을 모델링 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시스템들은 식물의 성장에 대한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보다 식물의 모습을 얼마만큼 실제와 비숫하게 렌더링 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자라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한 환경적인 요소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식물의 성장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방식을 통해 환경적인 요소를 식물에게 전달하고 식물을 composite object로 구분하여 각각의 object들이 하는 역할과 relation을 기반으로 하여 식물이 다양한 환경에서도 논리성과 사실성을 가질 수 있는 모델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Phytoestrogen Extraction for Relaxation of Female Menopause Symptoms from Natural Products (천연물로부터 여성갱년기 증상완화를 위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초음파 추출특성)

  • Lee, Seung Bum;Park, So Yeon;Jeon, Gil Song;Hong, In Kw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7 no.2
    • /
    • pp.217-220
    • /
    • 2016
  • Phytoestrogens are one of quasi-estrogens which are not generated within the endocrine system, but consumed by intaking phytoestrogenic plants. Phytoestrogens, also called as "dietary estrogens", are various botanic chemical compound groups naturally occurring nonsteroidal plant compounds of spontaneous generation. Due to their structural similarities to estrogone, they may provide desirable health benefits for reducing the menopausal symptoms. In this paper, various phytoestrogens were extracted from sophora root, pomegranate and kudzu by ultrasonic extrac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amount of extracted phytoestrogens at various ultrasonic power strengths and extraction times were compared, which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study of biology and chemistry related to natural products.

Floristic Study of Vascular Plants in Yeonhwasan Mt. (Taebaek-si, Gangwon-do, Korea) (연화산(강원도 태백시)의 관속식물상)

  • Hyeon Jin Jeong;Ju Eun Jang;Aleksey L. Kim;Se Ryeong Lee;Young-Soo Kim;Ji Eun Kim;Jung Sim Lee;Kang Hyup Lee;Eun Su Kang;Sang-Kuk Han;Hee-Young Gil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6 no.4
    • /
    • pp.314-340
    • /
    • 2023
  • Vascular plants of Yeonhwasan Mt., located in Taebaek-si, Gangwon-do, were investigate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ourteen times between April and September of 2022. A total of 505 taxa were found consisting of 87 families, 282 genera, 441 species, 15 subspecies, 41 varieties, and 8 forma. Among them, the endemic plants of Korea were 22 taxa. The number of threatened and near threatened Red List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National Arboretum was four, comprising each one of critically endangered (CN), endangered (EN), vulnerable (VU), and near threatened (NT) species. The number of floristic target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102, including one taxon of level V, 9 taxa of level IV, and 34 taxa of level III. Invasive alien plants were 34 taxa, and three taxa were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The urbanization index of investigated site was 12.8%, and the naturalization index was 6.7%. To wisely manage Yeonhwasan, measures for preserving biodiversity and preventing invasive plants are needed.

Industrialization of Jeju Plant Resources (제주 자원식물의 산업소재화)

  • Ju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4
    • /
    • 201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해 화장품을 비롯한 향장품산업,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등에 대한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질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자원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국민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국제경쟁력 강화나 윤택한 삶의 추구에도 절대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따라 제주의 특산 또는 우수 자원식물을 활용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4,500여 종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작성되어 있으며 제주의 생물자원 중 관속식물은 해발 1,950m 한라산의 영향으로 2,200여 종이 분포한다고 최근 기록되고 있다. 이 중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식물자원들도 약 800여 종이 분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자원은 대한약전, 생약규격집, 중약본초, 중약대사전 등 문헌에 근거한 자원으로 공정서에 수록된 약용식물 약 500여 종 중 제주 분포 약용식물도 217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제주의 약용식물 자원은 다양한 한의약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약으로 활용되는 약용식물도 170여 종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자원전쟁이 시작되어 자원식물을 포함한 생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어 각 지역마다 자생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연구소인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도 제주에 분포하는 자원식물들에 대한 주권 확립을 위한 생태사진 900여 종, 표본 1,400여 종, 유전자 정보 800여 종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추출물 2,000점을 확보하여 산업소재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저자는 여기에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하여 화장품 원료등재, 건강기능식품개별인증 소재 및 천연의약품 소재 등 산업소재화 연구를 수행했었던 생물종다양성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유사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으로의 정보를 제공하여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화 분야에 작은 도움이나마 제공하고자 한다.

  • PDF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Poaceae), a New Invasive Alien Plant in Korea (미기록 침입외래식물: 좀들묵새(벼과))

  • Kim, Young-Soo;Jang, Ju Eun;Kim, Ji Eun;Jeong, Hyeon Jin;Kang, Eun Su;Gil, Hee-Young;Son, Dong Ch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5
    • /
    • pp.607-613
    • /
    • 2022
  •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a newly identified invasive alien species, was found in Gangcheon-ri, Yeoju-si, Gyeonggi-do, South Korea. It is native to North America and has been reported to be an invasive alien plant in Japan, Australia, and Ukraine. Vulpia octoflora is a weed that grows mainly in dry sandy or rocky soil and is frequently found along the roadside in open areas or in artificially disturbed sites. This species is similar to the recently confirmed alert alien species, V. bromoides (L.) Gray, but is readily distinguishable due to more florets per spikelet and a short awn of the lemma. A detailed species descripti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n identification key for all species of Vulpia that occur in Korea are provided.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Useful Plant Resources in Myanmar (미얀마 유용식물자원 수집 및 전시 활용)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7-47
    • /
    • 2019
  • 미얀마 Indo-Burma 지역은 13,500종의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다. 북부 산악지역에서 남부의 망그로브 지역에 이르는 다양한 특성의 생태계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풍부한 생물 다양성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인 간섭, 개발, 모노크림 재배와 같은 지속적인 삼림 벌채로 위협 받고 있다. Dprovidedc와 Krupnick (2018년)은 123과 472종의 미얀마 약용식물을 학명, 영명, 미얀마 식물명 그리고 미얀마 현지에서 쓰이고 있는 약용식물의 활용 및 보존 상태를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이 중 약 13%가 보존 상태에 대한 평가를 받았으며 IUCN의 멸종 위기 종 목록(IUCN2017)에 등재되었다. 비록, 전국에 다양한 식물 및 생물 다양성이 분포되어 있지만, 미얀마는 여전히 지속 가능한 관리와 사용을 위한 인적자원과 시설이 부족하다. 국립수목원(KNA)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NREC)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 FRI)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a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KNA)는 약용으로 가치가 있는 미얀마 식물 생체를 수집, 현지외 보전 중이며 이중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를 국립수목원(KNA)에 있는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이 기증은 미얀마에서 식물생체를 국외로 반출한 첫 번째 사례이며 국립수목원(KNA)은 2008년 독일에서 열대식물을 기증받은 사례 다음으로 두 번째로 외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량 식물 도입 사례이다. 도입한 식물 중 Santalum album L. 과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 은 IUCN Red List of Threated Spiences (IUCN2017)에 취약(Vulnerable, VU), 관심필요(Least Concern, LC)로 분류되어 있다. 국립수목원 (KNA)는 2019년 6월 17일 개최된 "2019 아태지역 산림주간 및 28차 아태지역 산림위원회"에 참가하여 미얀마 도입식물 전시회를 개최 하였고, 국내 최초로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의 Leaf Cycle을 타임랩스 촬영하여 국립수목원 웹진(10월 호) 과 YouTube에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는 2,700여종의 미얀마, 라오스 등 무한한 가치를 지닌 열대식물의 수집 보전으로 기초 응용 연구기반을 구축하여 국민들에게 열대식물의 중요성과 잠재적인 자원가치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Study of Lepidopteran Caterpillar Diversity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온대 낙엽수림에 서식하는 나비목 애벌레 다양성에 관한 연구)

  • Choi, Sei-Woong;Kim, Nang-Hee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3 no.3
    • /
    • pp.261-270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of lepidopteran larvae and their food plants in a 0.1 ha plot at Mt. Jiri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plant species in the plot were identified, and the lepidopteran larvae that fed on each plant in the plot were collected. Thus, we collected 141 plants of 16 species that belonged to 14 families and 159 lepidopteran larvae of 70 species that belonged to 11 families. Oak (Quercus serrata) was found to be the most favored plant species. Among the 11 lepidopteran families, the species richness and evenness of two families, Geometridae and Noctuidae, were the highest.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could assume the interaction between food plants and caterpillars in a temperate forest. Furthermore, we could estimate the species diversity of lepidopteran caterpillars in this temperate forest.

Floristic diversity assessment and vegetation analysis of Upper Siang district of eastern Himalaya in North East India (인도 북동부의 동히말라야 상부 Siang 지역의 식물다양성 및 식생 조사)

  • Choudhary, Ritesh Kumar;Srivastava, Ramesh Chandra;Das, Arup Kumar;Lee, Jung-Gu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3
    • /
    • pp.222-246
    • /
    • 2012
  • Present paper is an outcome of a four-year floristic survey work carried out in Upper Siang district of eastern Himalayan region in India which is also recognized as one of the 39 known 'Biodiversity Hot-Spots' of the world. We present here with a vegetation analysis of this area along with a checklist of 1,003 taxa belonging to 110 families, 529 genera, 994 species, 1 subspecies and 8 varieties of the angiosperms. Besides, one new species, 3 new records to India and 82 endemic species were also recorded. The diversity of herbs and shrubs were found higher than the tree species. Orchidaceae was found the most dominant family followed by Poaceae and Fabaceae. Many threatened plants have also been reported from the area. However, rapid urbanization and Jhum cultivation are imposing direct threat to the natural vegetation. We suggest some conservation measures that could help protecting this na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