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 분석

Search Result 4,2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forecasting and analysis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spatial structures of southeast reg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way -A effects on Ulsan spatiality by Kyongju station of HSR-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국토동남권 공간구조 변화과정의 분석과 전망 -경부고속전철 경주역이 울산시 공간에 미치는 영향-)

  • 김성득;최양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33-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국토동남권의 인구와 고용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향후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범위는 양산시, 울산시, 경주시, 포항시를 대상지역으로 한 총 52개 지역공간을 기초분석 단위로 하였다. 국토동남권내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를 분석 전망하기 위하여 공간구조 측정방법인 로렌쯔곡선측정식, 중심성측정식, 접근도측정식등의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간적 집중과 분산의 정도를 전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 인구와 고용구조를 조사하여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계획된 건설 공정을 바탕으로 개통 예정시점인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토동남권 공간구조를 전망하기 위하여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 변화를 예측하였다. 시나리오(1)은 경부고속철도의 서울-대구 구간을 우선적으로 건설하여 운행하고 대구-부산 구간은 경부철도의 기존선을 전철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다. 시나리오(2)는 경부고속철도를 기본계획과 같이 2006년 완공하고 국토동남권내 1개 정차역인 경주시 건천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3)은 시나리오(2)와 같은 조건하에서 국토동남권내 2개 정차역인 건천역과 울산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 (2)와 (3)의 경우는 일본 시즈오카현 노선을 경유하는 신간선 주변의 지역공간 특성이 우리나라 국토동남권과 유사함을 근거로 신간선개통전과 개통후의 지역공간 변화를 분석하여 본 연구와 비교하였다.

  • PDF

Time-Space Analysis of Road Traffic Flows in Seoul (서울시 도로교통흐름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

  • Lee, Keum-Sook;Min, Hee-Hwa;Park, So-Hye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521-539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spac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traffic flows in Seoul and the relationship with land use patterns.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road traffic data collected at 118 observation sites over Seoul City area since 1993. We examine the time-trend of the annual average traffic flows per day during the last fourteen years. Three different trends are revealed: rapid increase during the time period between 1993 and 1997, maintenance same level after sharp decrease between year 1997 and 1998, and gradual decrease after sharp decrease between year 2003 and 2004.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road traffic flows have also been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The traffic flows in the urban center have been declined gradually, while the traffic flows in the boundary area and southern CBD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s in the land-use patterns and road traffic flows, we analyze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population and industries. We developed thre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s in the land-use variables and road traffic flows.

  • PDF

A Study on Temporal Map for Spatio-temporal Analysis (시.공간분석을 위한 GIS기법의 시간 지도 구현에 관한 연구 - 안양시틀 사례로 -)

  • 오충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1-202
    • /
    • 2002
  •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geographic features and human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spatiality and temporality. The necessity to record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ability to reason in the real world has lead to a new field of research so called Integrated Spatio-Temporal 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mporal maps for Spatio-temporal analysis, which have the integration functionality for visualizing spatiality and temporality of the geographic appearances and human activities. Land information is composed of spatial, attribute and temporal data and requires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It is possible to visualize spatio-temporal variations with spatio-temporal databases and temporal map produced by integrated data models. This study constructs spatio-temporal model for temporal maps of land price variation analysis. Taking advantage of the spatio-temporal model proposed her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spatio-temporal variations with spatio-temporal database and temporal map. On a practical level, this study would be extended and utilized to various geographic features.

Space Time Data Analysis for Greenhouse Whitefly (온실가루이의 공간시계열 분석)

  • 박진모;신기일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7 no.3
    • /
    • pp.403-418
    • /
    • 2004
  • Recently space-time model in spatial data analysis is widly used. In this paper we applied this model to analysis of greenhouse whitefly. For handling time component, we used ARMA model and autoregressive error model and for outliers, we adapted Mugglestone's method. We compared space-time models and geostatistic model with MSE and MAPE.

Analysis Methodology of Industrial Integration by Spatial Unit: Based on Root Industry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 Kim, Seo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6
    • /
    • pp.256-266
    • /
    • 2020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dustrial location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spatial policies and plan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n this analysis is what analysis indicators and spatial units are used,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analysis indicators and the spatial unit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various industrial integration indicator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uggests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of industrial aggreg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lated indicators. And then,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oot industry by presenting a methodology for analyzing industrial integration by various spatial units such as individual locations, grid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grid in the spatial unit can be analyzed in more detail than the administrative uni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uch as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setting of spatial units. In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the south-eastern region of Ulsan, Busan, and Changwon, and the western region of the SMA of Incheon, Hwaseong, and Ansan were analyzed as the industrial cluster type.

Detecting Space-Time Clusters in Linear Point Data (선형 점자료에 있어서의 시.공 복합 군집의 탐색)

  • 홍상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325-33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시.공 복합적인 선형 점 자료를 대상으로 시간과 공간을 함께 고려했을 때 자료 내에 군집(cluster)-시.공 복합 군집(space-time cluster)-이 존재하는 가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실제 교통사고지점의 분포자료를 분석하여 군집의 유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첫째, Knox의 분할표 방법과 Mantel의 역수 변환을 이용한 일반화된 회귀분석방법 모두 임계 거리 및 임계 시간 간격의 선택이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임의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임계 거리 및 임계 시간 간격(혹은 부가 상수)에 대해 반복 실험한 결과, 일부 임계값의 조합에서 시간과 공간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셋째, 시.공 복합 군집의 파악에 가장 적합한 임계 거리와 임계 시간 간격은 공간적으로는 7000m, 시간적으로는 14일 혹은 21일이다. 마지막으로, 통계 분석과정에서 자료에 존재하는 중복 기록 사고들의 존재가 밝혀짐으로써 시.공 복합군집 검증이 탐험적 자료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의 도구로서 가지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patiotemporal Movement Density and Stopping Characteristics of Urban Walking Tourists by Season - Focused on Tourists of Bukchon Hanok Village in the Spring and Summer - (도심 도보관광자의 계절별 시·공간 이동밀도 및 멈춤 특성 - 북촌한옥마을의 봄·여름 관광자들을 대상으로 -)

  • Yun, Hee Jeong;Kang, Dong Jin;Shin, Sang 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4
    • /
    • pp.1-1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urban walking tourists' spatiotemporal movement densities and the stopping characteristics by season. With the Bukchon Hanok Village in Seoul, as the study site, a GPS-based smartphone application collected spatiotemporal data, and GIS and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urban walking tourists' spatiotemporal activities in the spring and summer. The results show that the moving and staying variables of urban walking tourists differ significantly by season. In addition, spatiotemporal movement densities and stopping characteristics using ArcGIS's tools show clear spatial and temporal concentrations along the main access roads and commercial areas of the study site in the spring and summer. Policy-makers and developers of urban walking tours should use these spatiotemporal concentrations of walking tourists to define policies that would control the capacities of urban walking areas and distribute tourists spatially and temporally.

A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Time Series Change of PM10 in Seoul City (서울시 PM10 공간분포 분석과 시계열 변화)

  • Jeong, J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61-69
    • /
    • 2014
  • In this study spatial analysis of PM10 was performed to Particulate Materials(PM) less than $10{\mu}m$ in diameter in Seoul city. Because PM10 are responsible for the increasing mortality rate of lu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spatial distribution of PM10 are special interest in air pollution of Seoul. In this study, spatial analysis of Particulate Materials were monitored by monthly averaged PM10 concentration of 2010, 2011. The monthly spatial patterns of PM10 showed the west area of Seoul(Youngdungpo) higher PM10 concentration than northern part of Seoul in early spring and winter seasons. In the comparison of PM10 concentration distribution patterns in 2010 and 2011, the PM10 concentration of 2011 at Gangnam and Songpa-gu were more increased than yearly averaged patterns of 2010.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PM10 in Seoul city showed the high concentration PM10 of several areas with Youngdungpo-gu, Gangnam-gu and Cheongnyangni.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PM10 management strategy for these area.

The Spatial Issue of K490 using MODIS Data (MODIS 자료에 의한 K490 공간 특성)

  • Jeong, Jong-Chu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51-154
    • /
    • 2009
  • MODIS Aqua에 의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관측은 엽록소의 변동을 관측하여 해양환경변화를 관측하는데 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황해는 Case II 해역으로 해양의 엽록소 관측에 오차가 크기 때문에 동해와 남해, 동중국해역을 관측한 연구가 발표되어 왔다. 특히 적조와 같은 이상변동을 관측하는데 해색자료의 활용은 매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K490(Diffuse attenuation coefficient for downwelling irradiance at 490nm)은 OCTS, SeaWiFS, MODIS, MERIS 등의 해색자료에 의해 많은 자료가 생산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변동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관측된 MODIS 자료를 처리하여 K490에 의한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K490에 의한 월 변화(monthly)와 통계처리 결과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의 주요 분석인자인 해양의 일차생산력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K490의 공간 특성을 제시하였다. 한반도 주변 해역의 K490에 의한 시-공간적 특성은 육상의 주요 하천에서 기인하는 부유사와 서남해역의 재부유 물질에 의한 영향이 시-공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uron-Clinton Metropark System in the United States (미국 Huron-Clinton 대도시 공원체계외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현중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4
    • /
    • pp.12-28
    • /
    • 1992
  • 본 연구는 미국의 Huron-Clinton 대구시의 공원체계의 공간적 특 성의 구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분석한다. 첫째 13개의 지역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Huron-Clinton 대구시 공원체계 의 전체의 구성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공원체계의 입지의 지역공간 적, 생태적 인자를 분석한다. 둘째, 공원체계를 구성하는 각 공원의 개별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각 공원내의 시설의 유형, 크기, 다양성을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대상지역의 인구의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인구의 특성과 공 원체계의 공간적 특성을 상호대조 함으로써 그 지역의 인구와 공원체계간 의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25인 조경전문가를 통해 평가함으로써 향 후 대도시 공원체계의 계획과 개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의 설정과 구성의 합리적 지표를 설정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