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험토양 특성

Search Result 66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파쇄 암반대수층에서 Push-pull Tracer Test의 현장 적용사례

  • 차장환;배광옥;이강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68-271
    • /
    • 2003
  • 연구지역에 설치된 3개 관정에서 추적자시험 방법 중 단공 주입-회수시험을 실시하였다. Push-pull 추적자시험 자료 분석 결과 종분산지수는 0.086~0.657m의 값을 가지며(Pickens and Grisak, 1981), 지하수 유동속도는 9.07$\times$$10^{-4}$6.14$\times$$10^{-3}$m/min의 값을 보인다(Hall and other, 1991). 또한 계산된 종분산지수와 지하수 유속을 이용하여 종분산계수(3.77$\times$$10^{-4}$ ~ 9.53$\times$$10^{-4}$ $m^2$/min)를 산정하였다. 추적자의 거동특성이 크고 작음을 비교할 수 있게 하는 특성변수(Characteristic property)는 분산지수이므로, 분산지수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추적자의 거동특성이 달라짐에 주의해야 한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at Yongdam-Guryang study catchment (용담-구량천 유역의 유출 특성 분석)

  • Lee, Hyo Sang;Chang, Hyung Joon;Hwang, Myung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7-527
    • /
    • 2016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 등으로 인하여, 가뭄 및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등 수자원관리에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토양수분량, 강우량, 수위관측 및 증발산량 관측이 수행되고 있는 용담-구량천 유역을 대상으로, PDM 토양저류 함수 모형을 습윤(6월~9월) 및 건조(10월~5월)기로 분리 적용하여 기간에 따른 유역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습윤 및 건조기의 유출률(유량/총강우량)은 각각 0.61~0.65와 0.31~0.42으로 서로 다른 유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2014~2015년 유역의 관측 토양 수분 자료(심도 100~200mm)와 PDM 토양저류 함수를 활용한 모의 결과가 습윤기에서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R2=0.9). 이를 바탕으로 용담-구량천 유역의 토양 저류 및 유출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간을 습윤기 및 건조기로 분리하여 각각의 유역 유출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단기 홍수 사상의 분석을 통한 홍수 유출 및 토양 저류 분석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Operation of Seo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in 2009 (2009년 섬강 시험유역의 운영)

  • Choi, Heung-Sik;Youn, Moo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86-1490
    • /
    • 2010
  • 본 연구는 강원도 횡성군의 남한강 제1지류인 섬강의 횡성댐 상류 계천에 위치한 시험유역으로 남한강 상류 산지지형 시험유역으로 이유역의 운영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산간유역 수문자료의 지속적 확보이다. 2001년부터 10년 동안 시험유역이 운영되어오면서 강우관측소 3곳, 수위 관측소 3곳(농거리, 매일, 소군), 지하수 및 토양수분 측정소 5곳의 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유역의 토양 이용 현황은 삼림이 90 %, 경작지 10 %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적 $164.81km^2$, 유로연장 22.4km, 평균경사 5.97%를 지니고 있다. 고품질을 보장하고 좋은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불확실도 분석을 실시하고,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을 통하여 시계열 수위를 유량으로 환산하였다. 아울러 수문순환 성분의 분석을 위하여 토양수분 및 지하수위를 측정하여 강우-유출해석, 수문특성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웹사이트와 CD로 제공된다. 구축된 각종 자료는 수문 및 수리의 정량적 순환구조의 이해와 모델개발의 검정 및 검증 기반의 자료를 구축하여 산간유역의 폭 넓은 물 순환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지반 침하 지역에서 적정 채수량 산정을 위한 현장 시험 방안 제시

  • Seok Hui-Jun;Im Eun-Sang;Won Lee-Jeong;Kim Hyeong-Su;Lee Ga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420-424
    • /
    • 2005
  • K시 강변여과수 개발 지역에서 적정 채수량 산정 및 지표수 연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적절한 현장 시험 세부계획 수립과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일반적으로 단계양수시험을 통하여 적정 채수량 산정 후, 산정된 적정 채수량으로 장기양수 시험을 통하여 주변 수리권에 미치는 지하수위 변화와 강변여과수의 수질변화를 관찰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변동특성을 파악하는 일련의 과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K시 강변여과수 개발 지역과 같은 연약 지반에서는 단계 양수시험시의 높은 양수량에 인한 지반 침하의 우려로 인해 이에 대한 공정의 변화가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현장 시험 공정 순서를 바꾸어서 장기 양수 시험 후 단계양수시험을 수행하는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였고 이를 뒷받침 해주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단계양수시험의 단계별 적절한 양수시간을 합리적, 효율적으로 결정하여 경제적이면서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단계양수시험을 완료 가능하게 만들고, 가능한 한 더 오랜 기간동안 장기 양수 시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한된 시간내에 많은 수리지질학 및 화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Weather Characteristic and Growth of a Forest Ginseng Cultivation Site (산양삼 재배지의 기상특성 및 생육에 관한 연구)

  • Lee, Dong-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9 no.6
    • /
    • pp.863-870
    • /
    • 2010
  • We investigated geographical condition and soil characteristic of ginseng cultivation site. At all sites, crown density adjusted by 80%. and Air and soil temperature were also measured. The geographical condition vary ato all sites. and soil show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ypical forest soil of Korea. The results shows the Air temperature needs to be higher than $15^{\circ}C$ for seed budding at April When soil temperature reach at 8, leaf of foest ginseng starts to bud. A forest ginseng is influenced by forest type, planting type and budding rates. In the case of a seedling planting, an seeding emergence rate is high, but the rate is decreased rapidly after three years On the other hand, direct seeding shows lower seedling emergence rate, but survival rate is higher than seedling-planting.

토양세척공법을 적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사례

  • Sin Jeong-Yeop;Gong Jun;Kim Geon-U;Jeon Gi-Sik;Hwang J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45-48
    • /
    • 2006
  • 혼합유류(등,경유)로 오염된 대상부지의 토양특성을 파악하여 세척공법의 적용성을 판단하고, 적용성시험을 통하여 장치별 설계인자를 도출하였다. 시험결과 본 세척대상토양의 경우 계면활성제와 같은 첨가제를 주입하지 않고 물리적인 탈착공정만을 거쳐도 90%이상의 오염물질이 토양입자표면으로부터 탈착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반영하여 장치를 제작, 설치하였다. 세척대상 오염토량은 총 $12,225m^3$, 사업수행기간은 약 6개월, 세척장치에 주입된 세척토양의 평균오염농도는 약 3,152ppm 이었으며 세척 완료된 토양의 평균농도는 약 150ppm으로 약 97%의 제거효율을 보여 복원목표인 800ppm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세척토양의 입도분포를 정확히 파악하고 분리시킬 토양입자 크기를 결정하여 현장 적용한 결과 세척공법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집슬러지를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발생되는 세척폐수 또한 세척수 처리시스템을 거쳐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통하여 세척공법이 다른 Ex-situ 공법과 비교하였을 경우 현장의 적용성, 경제성, 복원기간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성공적인 세척공법의 적용사례라 할 수 있다.

  • PDF

Changes of Soil Properties and Evaluation of Plan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ompost Used with Phyllite (Phyllite를 이용한 퇴비 시용에 따른 토양 특성 변화 및 작물에 대한 효용성 평가)

  • Park, Young-Hee;Chang, Ki-Woon;Hong, Jei-Gu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0 no.2
    • /
    • pp.92-99
    • /
    • 200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oil properties and evaluation of plan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ompost used with phyllite. At this experiment, the plant cultivation test(lettuce and radish plant) was carried out to know abou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post, humus degradarion and stabilization degree, and some effects among rhe treatments were best at 20Mg/ha in PSPC 10(Phyllite, Saw dust, Pig manure Compost) plots and ar 10Mg/ha in PSPC 20 treatments, respectively. The EC value was high in the compost. Therefore the EC was appeared more than 2ds/m at the applied 40Mg/ha with compost. And in case of lettuce, Avail.-$P_2O_5$ and EC were more increased than in the radish plots, highly. In contrast, in case of radish, Toral-N, Total-C, and EC contents were decreased after plant cultivation. That is, it could know that radish was fond of absorprion of nitrogen. Also, BD valu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phyllite addition ratio, however water holding capacity(WHC) was increased. The plant test had not been darnag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mpost used with phyllite in soil and there had not been worse on changing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nsequently, phyllite composts have been thought on agricultural utilized possibility.

  • PDF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Endocrine Disruptor-suspected Pesticides in Upland Soil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의 밭토양 중 용탈 특성)

  • Noh, Hyun Ho;Lee, Jae Yun;Lee, Kwang Hun;Park, Hyo Kyoung;Kyung, Kee Sung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7 no.3
    • /
    • pp.168-177
    • /
    • 201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leaching potential of thirteen endocrine disruptor-suspected pesticides in upland soils using soil columns (5 cm I.D. ${\times}$ 35 cm H.) packed with soil A (sandy loam) and soil B (loam). When 12.6 mL of water, average precipitation in Cheongju area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August, 2001-2010, was percolated through soil column packed with soil A every day for 21 days, no pesticides were detected from leachate, with the exception of metribuzin which was detected with negligible. Also, when 2 L of water was percolated consecutively five times through soil columns packed with soil A and B, irrespective of soil types, cypermethrin, endosulfan, fenvalerate, parathion and trifluralin, which were very low water solubilities and high soil $K_{oc}s$, were not detected from leachate and were distributed mostly in the depth of 0-5 cm, representing that water solubility and soil $K_{oc}$ are major contributing factors to their leaching behavior. Despite high average leaching rates in carbaryl and methomyl, actual possibilities of ground water contamination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by them would be very low, considering that the negligible amount of pesticide was percolated through a lysimeter with an undisturbed soil core simulating the field conditions, while most of pesticide was percolated through a soil column with the disturbed soil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