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험조립 설계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중부전력 북풍전변전소납입 275KV 450MVA 부하시 TAP 절환변압기

  • 등본광소;고추륭사;정천도부
    • 전기의세계
    • /
    • v.28 no.2
    • /
    • pp.14-22
    • /
    • 1979
  • 전력계통의 증대에 따라 변전소용 변압기도 대용량화되어 가고 있다. 변전소용 대용량 변압기의 경우 최대문제가 되는 것은 철도운송의 경우 운송한계에 있다. 일본의 철도는 협궤이기 때문에 운송능력이 작고 275KV 변압기의 경우 조립운송할 수 있는 한계용량은 종래 300MVA라고 되어 왔지만, 최근 기술의 진보와 신뢰성 향상 시책에 따라 450MVA까지도 철도운송을 하는 것이 가능케 되었다. 이와같은 사정때문에 당사는 이번에 중부 전력.북풍전변전소에 3상 60Hz, 275/15 4/31.5KV, 450/450/135MVA 변압기를 납품하였다. 본기는 초고압 변전소용으로는 일본에서 최대급의 것으로 여러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주요점을 들면, (1) 철도에 의한 조립운송을 가능케 했다. 더우기 부하시 TAP 절환기를 본체 TANK에 조립해서 운통한다. (2) 일차 초고압 권선에는 선로단을 중앙에 배치한 HISERCAP 권선을 채용한다. (3) 당초 65Phon, 장래 55Phon의 저소음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고효율의 송유풍냉식 저소음방열관을 사용했다. (4) 기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 제조, 시험 검사 각면에 만전을 기했다. 그러나 그외에도 여러가지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 다음에 개요를 설명하고져 한다.

  • PDF

항공기 낙뢰 간접영향 인증시험 동향

  • Han, Sang-Ho;Seo, Jang-W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5 no.2
    • /
    • pp.87-97
    • /
    • 2007
  • 오늘날 항공기 설계와 제작은 다국적인 산업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항공기 서브시스템은 세계 각국에서 독립적으로 설계, 제작 및 시험한 후 한 곳으로 납품되어 조립 제작되는 데 이 때 중요한 것이 표준화이다. 항공전자장비의 낙뢰 간접영향에 대한 인증의 경우 RTCA DO-160E, Section 22 Lightning Induced Transient Susceptibility(낙뢰 유도 과도현상 적응성)로 표준화 되어 있다. 이 Section 22는 낙뢰 간접영향에 대한 항공전자장비 단위 즉, LRU (Line Replaceable Units)와 같은 부품단위의 시험 요건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 규격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이 되고 있다. 1980년대 초 상용 수송기에 디지털 "Fly by Wire" 비행 시스템과 엔진제어시스템(EEC, Electronic Engine Control)의 도입 이후, 항공기 시스템이 낙뢰 환경에서 운용시 신뢰성을 보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제어되는 각종 항공전자장비에는 다중타격(MS)과 다중파열(MB) 기법에 의한 시험 사항이 최근 추가 되었다. 실제 낙뢰 환경과 유사한 시험실 모사를 위해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며 신규 시험 규격서가 새로이 출간되고 있다.

  • PDF

The Study on Design of Circuit Card Assembly on Servo Control Unit for Automated Resupply Vehicle K56 (K56 탄약운반장갑차용 서보제어기의 회로카드조립체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Ju-Seung;Kim, Seong-Jin;Bae, Gong-Myeong;Kwon, Soon-Mo;Park, Hyean-Jo;Choi, Jun-S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102-109
    • /
    • 2019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the circuit card assembly to eliminate the communication error on a servo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automated resupply vehicle K56. K56 is a weapon system that automates the supply and loading of ammunition on the K-55A1 self-propelled artillery. As the core item responsible for ammunition movement control, the servo control unit is required to have good communication stability and reliability, but the conventional unit has recognized a problem that communication error intermittently occurs, resulting in an emergency stop phenomenon. We analyzed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servo control unit and identified the failure cause of the circuit card assembly to solve this problem. In addition, the signal interference in data/address line of the circuit card assembly was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the failure cause, and redesigned to avoid the interference, such as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communication lines and position change. Finally, the proposed cause analysis and redesign were verified through the component of servo control unit and attachment test on K56. We expected these study results to be used as reference for the design of other similar items.

원격측정명령처리기 성능검증모델 개발

  • Kim, Joong-Pyo;Koo, Cheol-Hea;Choi, Jae-Dong;Chae, Jong-Won;Kim, Jung-Hoon;Koo, Ja-Chu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 no.1
    • /
    • pp.86-94
    • /
    • 2005
  • This paper shows the results of design, analysis, manufacturing and test performed to develop the CTU(Command Telemetry Unit) EQM(Engineering Qualification Model). According to the key requirement specifications, the logics and circuits of each board are designed. In order to validate designs, some worst case, part stress, reliability, FMECA, radiation environment and launch environment analyses are performed. After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all boards, all functions of CTU EQM are verified through the functional test, environmental test and ETB test.

  • PDF

맥동관형 크라이오 펌프 국산 시제품 성능예측과 평가

  • In, Sang-Ryeol;Tak, Yeong-Jun;Gang, S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94-94
    • /
    • 2012
  • 맥동관형 크라이오펌프 개발 2단계를 맞아 우성진공(유)을 중심으로 상용화 시제품 제작이 진행되고 있다. 최종 크라이오 펌프 개발품은 흡기구 직경(내경) 16.5 (14) 인치에 질소 배기속도 3,600 L/s를 목표로 하고 있다. 상용품 완성 전에 거쳐야 할 필수적인 시험과정으로 시제품의 공정대응성 현장평가를 위해 KAIST 나노팹에 개발품을 투입하는 프로그램이 계획되어 있어서 공정장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10인치 크라이오 펌프 제작이 추가로 진행되고 있다. 개발품의 성능확인은 우선 몬테카를로 계산을 통해 배기속도를 예측하고 구조설계를 최적화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공 조립된 크라이오펌프 시제품의 성능을 표준화된 장치에서 표준화된 절차를 통해 평가하여 설계 목표값과 비교했다. 한편 개발품의 성능 수준을 상대적으로 규정하기 위해 기존 상용품들을 같은 방식을 따라 평가하여 성능을 서로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10인치 모델로는 국산 Genesis HPM200, CTI-8 수직형 및 수평형 GM 크라이오 펌프를 성능 시험했으며 16.5인치 개발품의 유사모델로 CTI-12 GM 크라이오 펌프를 시험해서 비교했다.

  • PDF

BSR 가상 평가 프로세스

  • Jeon, In-Gi;Choe, Jae-Min
    • Journal of the KSME
    • /
    • v.52 no.1
    • /
    • pp.50-54
    • /
    • 2012
  • 감성품질로서의 BSR(Buzz, Squeak, Rattle)은 시스템의 공진특성으로 인해 부품 간의 간극에서 발생하는 간섭현상이며, 재료의 열화 특성과 조립공차의 영향으로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신뢰성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BSR 문제는 제품의 개발 과정 중 완료 단계에 발견되고 있으며 설계 사양 변경이 제한적이고 고비용의 시험에 의해 해결되어 왔다. 따라서 초기 설계 단계에서 BSR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재료의 열화와 결합부 이완을 고려한 CAE를 통한 BSR 가상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 PDF

이동형 인공위성레이저추적용 광학계 개발

  • Na, Ja-Gyeong;Kim, Gwang-Dong;Jang, Jeong-Gyun;Jang, Bi-Ho;Han, In-U;Han, Jeong-Yeol;Park, Gwi-Jong;Park, Chan;Nam, Uk-Won;Im, Hyeong-Cheol;Park, Eun-Seo;Yu, Seong-Yeol;Seo, Yun-Gyeong;Mun, Il-Gwon;Gang, Yong-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64.2-164.2
    • /
    • 2012
  • 인공위성레이저추적(SLR, Satellite Laser Ranging) 시스템은 인공위성까지 레이저를 발사하여 되돌아오는 시간간격을 측정함으로서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현존하는 인공위성 궤도결정 시스템으로는 가장 정밀하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추적 및 감시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2008년부터 40cm급 이동형 인공위성레이저추적 시스템을 개발을 시작하였고, 현재 개발을 완료하여 시험운영 중에 있다. 시스템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부품을 포함한 광기계 구조물에 대한 구조해석과, 실험실 프로토타입 구성 등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각 서브시스템별 조립 및 평가는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한 광학계 조립 및 평가 시설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이동형 레이저 추적 시스템의 광학부는 추적마운트에 장착되었고, 현장 시험관측을 통해 수신광학계 및 광신호유도계의 정렬 및 제어항목 교정 등을 실시하였으며, 성공적으로 시험 영상 관측을 완료하였다. 이 발표에서는 이동형 레이저 추적 시스템 광학계의 개발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 PDF

A Study on Accelerated Life Testing Model and Design (헬기용 와이퍼 조립체의 가속모델 및 가속수명시험 설계 연구)

  • Kim, Daeyu;Hur, Jangwook;Jeon, Bu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6
    • /
    • pp.894-903
    • /
    • 2018
  • In the case of helicopters, the development of parts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and the complexity is rapidly increasing. Particularly, the surge of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systems is recognized as a problem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helicopter. Due to these problem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liability evaluation in the face of the problem of confirming and certifying the reliability of parts in the development stage.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the failure mechanism of the wiper system was carried out, and the priority and importance of each failure mode were checked by using the results, and major stress factors were derived and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 model was selected. Also, the accelerated lifetime test tim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ife test time, acceleration status and acceleration level of the steady state by using the selected acceleration model and characteristic value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Large Triaxial Testing System for Dynamic Properties of Granular Materials (조립재료 동적물성 산정을 위한 대형삼축압축시험장비 구축 및 검증)

  • Lee, Sung-Jin;Kim, Yun-Ki;Choo, Yun-Wook;Lee, Sei-Hyun;Kang,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12
    • /
    • pp.5-17
    • /
    • 2010
  • Coarse granular material is used as important fill material in most of large embankments such as railway, road, dam and so on. Therefore, the accurate design parameters of the coarse granular material are necessarily required in design and construction. The behavior of the coarse granular material was not well understood because of the lack of large testing equipment capable of coarse granular material. A large triaxial testing system w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pable of large specimens of 500 mm, 300 mm and 150 mm in diameter. In the new large triaxial testing system, the load cell is installed inside the triaxial cell and axial displacement is measured locally on a specimen in order to improve control and measurement in small strain level. Urethane specimens of 300 mm and 50 mm in diameter were prepared. The large triaxial tests were performed on the 300 mm diameter urethane specimens while RC/TS and impact echo tests on the 50 mm diameter urethane specimens to verify this testing system. In this verification test results, we could ascertain the reasonable test results of the KRRI large triaxial testing system.

하나로 표준형 계장 캡슐의 열적성능 평가

  • 주기남;박종만;맹완영;강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415-420
    • /
    • 1997
  • 하나로 재료 조사시험용 표준형 계장캡슐 개발의 일환으로 캡슐 mock-up (96M-01K)을 제작하여 노외에서 승온 성능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하나로내 장입시의 거동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표준형 계장캡슐의 설계/제작기술, 열적조절성능, 그리고 열설계용 컴퓨터 code (GENGTC) 둥을 평가할 수 있었다. 캡슐의 진공 및 micro-heater system은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였으며, 캡슐의 공기중 승은거동은 계산치와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이는 가공/조립상의 내부 gap 변화, 캡슐표면에서의 온도측정상의 오류, 그리고 상하부로의 열손실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실험을 통하여 표준형 계장캡슐의 하나로내 건전성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향후 하나로 장입시의 승온 및 하강절차 등을 설정할 수 있었다. 현재 본 실험 결과들을 토대로 하나로 조사시험공의 (CT, IR1, IR2) 핵적특성 평가용 표준형 계장캡슐을 (97M-01K) 설계ㆍ제작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