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험결과 분석

Search Result 8,399,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The Suggestion of Testing Method for Analysis of Tensile Strength of Multi-Directional GFRP Plate (다방향 GFRP 플레이트의 인장강도 분석을 위한 시험 방법 제안에 관한 연구)

  • Sim, Jong-Sung;Kwon, Hyuck-Woo;Lee, Hyoung-Ho;Kim, Hyun-Joo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3 no.6
    • /
    • pp.799-808
    • /
    • 2011
  • In this study, a standardized test method to analyze tensile properties of multi-directional GFRP plate was proposed. Presently, tensile strength test of FRP composite reinforced with isotropic and orthotropic fiber is standardized according to ISO standard. Also, even though many studies were performed on test method to analyze the dynamic properties, the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for multi-directional GFRP plate were not clearly identified. Currently, the domestic test method in accordance with ASTM, which is applicable to unidirectional FRP plate, gave tensile test results greater than actual properties. Thus, in this study, GFRP tensile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method found to be commonly applicable to all standar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ferences. Then, anchorage length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proposed tension test method to evaluate validity of the method. Finally, optimal anchorage length was estimated from the numerical analysis to propose the standardized tensile strength method for GFRP multi-directional composite evalua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Bacterial Commun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 er) in Different Forest Phy siognomy (임상별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

  • Kiyoon Kim;Hyun-Jun Kim;Yurry Um;Dae-Hui Jeong;Jeong-Hoon Huh;Kwon-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1-61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임상 중에서 침엽수림과 침활혼효림으로 구성된 산양삼 시험포지를 선정하고, 임상별 토양의 토양세균군집을 분석하여 산양삼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산양삼 시험포지는 침염수림으로 구성된 충주 산양삼 종자공급단지와 침활혼효림으로 구성된 함양 산양삼 종자공급단지를 선정하여 각각 조성하였다. 토양세균군집 분석은 pyrosequencing analysis (Illumina platform)를 이용하였고, 토양세균군집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별 시험포지의 토양세균은 두 시험포지 모두 Acidobacteria가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주좌표 분석을 통해 임상별 산양삼 시험포지에서 우점하는 토양세균 군집을 확인한 결과, 먼저 토양세균 군집은 임상별 시험포지에 따라 군집화를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결과, 토양세균 군집의 상대적 빈도수는 수종 비율에 따라 상이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_class, Phycisphaerae는 침엽수의 비율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Nitrospirae, Chlamydiae, Planctomycetia, Acidobacteria_6는 활엽수의 비율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별 산양삼 시험포지의 토양세균 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Nitrospirae, Chlorobi, Planctomycetia, Acidobacteria_6가 산양삼의 생육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림환경에서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구명할 수 있다면 향후 산양삼의 최적 재배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ile Integrity Test Examples for Displacement in-situ Concrete Piles (소구경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건전도 시험사례)

  • 이명환;홍헌성;김성회;전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23-430
    • /
    • 1999
  • PIT collector를 이용한 저변형률 건전도시험(low strain pile integrity test)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파장의 특성을 분석하여 말뚝의 길이와 형상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PIT시험(Pile Integrity Test)은 장말뚝인 경우와 지반저항이 큰 경우 선단부의 위치가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아 해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적용할 수 있는 대상말뚝에도 종류에 따라 제한된다. 그러나 이밖의 경우 간편성과 말뚝의 대략적인 단면형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유리하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도 PIT시험의 적용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난 3~4년 동안 주로 대형 교량건설 현장의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하여 적용되어 왔다. 최근 국내에서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이 아닌 소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하여 PIT시험을 실시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현장 조건상 말뚝길이가 길지 않은 경우 시험분석결과 말뚝의 선단부가 분명하게 확인되었고 말뚝 중간부 및 하부의 necking 또는 bulging, 선단부의 단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형상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건전도시험의 효과적인 분석방안, 시간(양생)효과 등을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ydrological cycle analysis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using observation data (관측자료를 이용한 설마천 시험유역의 물순환 해석)

  • Kim, Dong-Phil;Jung, Sung-Won;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76-780
    • /
    • 20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설마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고자 기초자료로 강우량, 유출량, 지하수이용량,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유역 저류량 등의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2004년의 연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역의 물순환 구조는 자연계의 유입과 유출이 지배적이며, 이들의 수문성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문성분들의 관측 및 해석이 필요하며, 각 수문성분들의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인 합의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보함이 매우 중요하다. 신뢰도와 정확성에 근거한 관측자료를 이용한 물순환 해석결과는 수문성분들의 총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모형(model)의 중요 입력자료이며, 모형의 분석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설마천 시험유역에 기 설치된 수문모니터링 자료로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수문관측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구체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원자력용 316LN 스테인레스강의 탄화물 석출 거동

  • 오용준;류우석;윤지현;홍준화;국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689-694
    • /
    • 1995
  • 원자력용 316LN 스테인레스강의 입계탄화물 석출거동에 미치는 질소 및 Ti, B의 미량원소 영향을 시차열분석기(DSC)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이들 결과와 예민화 특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Ti과 B의 첨가는 316LN 강의 탄화물 석출온도를 높이며, 탄화물 석출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 값은 미첨가강에 비해 높았다. TEM/EDX 분석결과, 예민화된 316 LN 강은 M$_{23}$C$_{6}$ 탄화물이 입계에 석출되며 입계에서 Cr 고같층이 관찰되었다. 반면 Ti 및 B 첨가강은 7$50^{\circ}C$, 20시간 열처리 조건에서도 거의 입계석출물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일부 소량 존재하는 입계 석출물은 EDX 분석결과 Mo-rich 상인 Laves 상으로 분석되었다. DSC와 TEM 분석 결과는 Oxalic 시험 및 Modified Strauss 시험에 의한 입계 부시시험결과와 잘 일치하였고, Ti 및 B의 첨가는 Cr의 확산을 저지시켜 입계탄화물의 석출 및 성장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며, 316LN 강의 예민화 특성을 양호하게 하였다.

  • PDF

Fundamental Study for Compaction Methods by Mechanical Tests (역학적 시험에 의한 다짐방법의 적합성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Seo, Joo-Won;Choi, Jun-Seong;Kim, Jong-Min;Roh, Han-Seong;Kim, Soo-Il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5 no.4 s.18
    • /
    • pp.23-35
    • /
    • 2003
  • In this study, compaction evaluating program based on ASTM critria is developed bu analyzing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And the laboratory tests such as compaction test, triaxial test and resonance column test of subgrade soils are performed to develop compaction management methodology at seven test sites. Especially, to figure out chararteristic with changing compactive efforts, the test was carried out at five levels of compactive efforts at each soil sample. Database was set up from the test results. With the methodology using mechanical property - the elastic modulus, the gap between road design and management and road construction management is narrowed. The regression equation of G/$G_{max}$ is proposed at each strain level of subgrade soils according to AASHTO criter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damental properties of soil mass and degree of compaction is derived as well. The development of compaction management and field compaction management method is proposed by the elastic modulus based on mechanical tests.

  • PDF

Quantifying Uncertainty in Cadmium Analytical Measurements (카드뮴 분석에서의 측정불확도 추정)

  • Kang, Kil-Jin;Sun, Nam-Kyu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40 no.1
    • /
    • pp.27-35
    • /
    • 2007
  • 측정불확도란 시험결과에 대하여 측정량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들의 분산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로써 ILAC(국제시험소인정협력체) 등의 국제기구와의 측정결과에 대한상호인정 및 신뢰성 확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국제표준(ISO/IEC 17025)에 맞는 시험분석 결과의 도출을 위해서는 먼저 소급성을 유지하고 그에 따른 불확도를 산출하여야 한다. 소급성은 실험의 모든 과정에 불확도를 가지고 끊기지 않는 비교연결을 통한 국제(국가)표준과 연관시키는 시스템으로, sampling에서 측정결과의 도출까지 소급성을 유지하는 것만이 측정결과의 신뢰성(정확 및 정밀)을 유지하는 최상의 시스템이다.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s(GUM)에 의한 불확도 계산 절차는 측정량(measurand)의 함수 표현, 입력량의 표준불확도(standard uncertainty)의 계산(표준편차, 평균의 표준편차), 합성표준불확도(combined uncertainty)의 계산, 확장불확도(expanded uncertainty)의 계산을 통한 통계적 추정을 하는 것이다. 오렌지 쥬스 중 카드뮴을 분석함에 있어서, 실험실에 대해서는 국제표준화(ISO17025) 시스템을 도입하고 분석시약 및 기기에 대하여 소급성을 유지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정불확도를 산출하였다.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Observation Data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of the 2010 (2010년 설마천 시험유역의 관측자료를 이용한 물수지 분석)

  • Kim, Dong-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1-315
    • /
    • 2011
  • 산지하천 유역의 물순환 과정은 도시하천 유역보다는 매우 단순한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아무리 단순한 물순환 과정을 묘사한다 할지라도 물순환 요소별 정량적인 관측과 측정, 즉 수문자료의 부재, 수문자료가 있다 하더라도 일부분(홍수기 중심 및 단기간 자료)에 불과 하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16년간 운영해 온 설마천 시험유역은 장기간의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축적하고 있으므로, 정량적인 물순환 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여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물순환 구조는 자연계의 유입과 유출이 지배적이며, 이들의 수문성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문성분들의 관측 및 해석이 필요하며, 각 수문성분들의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인 합의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보함이 매우 중요하다. 신뢰도와 정확성에 근거한 관측자료를 이용한 물수지 분석결과는 수문성분들의 총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모형(model)의 중요한 입력자료이며, 모형의 분석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모형의 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산지 소하천 유역의 물순환 관계를 규명하는 기반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신뢰할 만한 관측자료에는 강우, 하천수위, 지하수위, 기상 등이 있으며,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량, 유출량, 지하수 함양량,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현지조사 자료로는 지하수이용량이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산지하천 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각 수문요소의 물 이동간의 정량적인 값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운영되고 산지하천 유역에 적합한 물순환 해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된다면 정량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termination of fluorine in Krill oils by combustion-ion chromatography (연소-이온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크릴오일 중 불소 시험법)

  • Jung, Jaehak;Kim, Soobin;Chu, Euisung;Joung, Joungmo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6
    • /
    • pp.262-273
    • /
    • 2020
  • A fluorine content analysis method for krill oils, which is a representative oil formulation in foods, was developed in compliance with the Korea Food and Drug Ministry's "Guidelines for Validation of Testing Methods Related to Food". Using this method for krill oils, the presence of impurities was evaluated via combustion-ion chromatography (C-IC). A review of published technical data on fluorine in krill oils showed that while the traditional wet potentiometric method was typically used, it was not reliable. Moreover, there was no food testing/analysis laboratory in Korea to perform a fluorine test analysis on such an oil matrix. Therefore, we identified halogen (fluorine) tests, developed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developed a test method suitable for krill oils by selecting a C-IC method that is sufficiently applicable to the oil matrix.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il matrix, the optimal test method was establish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by reviewing the concerns related to loss and interference in the preparation and introduction of samples. The fluorine content test was carried out on 11 krill oil products that were purchased online. Most products (with the exception of only one) were found to contain less than the reporting limit obtained by the test method. Furthermore, after additional testing, a high fluorine content of approximately 2,000 ~ 3,000 mg/kg was detected on the krill surface, although the concentr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krill. A comparison with samples from two ISO/IEC 17025 testing laboratorie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btained by ANOVA among the three laboratories. A testing guide for fluorine content analysis was completed.

TVC Actuation Tests and Analyses for Real-Sized Kick Motor Assembly of KSLV-I (KSLV-I 실물형 킥모터조합체 TVC 구동특성시험 및 분석)

  • Sun, Byung-Chan;Park, Yong-Kyu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1
    • /
    • pp.146-156
    • /
    • 2007
  • In this paper, the TVC actuation test and analysis results for a flexible seal kick motor nozzle are presented. A real-sized test model of KSLV-I kick motor system is applied to water pressurizing TVC tests which investigate the property changes in TVC nozzle expansion and TVC actuation performance against chamber pressure changes. The equipments which are required for TVC actuation tests are briefly explained. The TVC actuation tests are firstly accomplished in static mode, which reveals TVC error characteristics including thrust misalignment, control accuracy, and TVC stroke increase, etc. The properties in frequency domain is given via dynamic tests. These resul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TVC control performance of KSLV-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