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점장

Search Result 40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and Field Application of Exposed Concrete (노출 콘크리트 실험 및 현장 적용)

  • 신성우;안종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3 no.4
    • /
    • pp.46-53
    • /
    • 2001
  • 노출 콘크리트는 별도의 마감없이 콘크리트 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특성상 최적의 품질을 가지는 콘크리트를 제조.시공하여야하는데 이러한 노출 콘크리트는 제조 및 시공 방안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이 각국 소속 회사의 기술 보유 차원에서 보호되고 있어 기술 도입이 어려운 점 이외에도 시멘트, 골재 등 국산 재료 사용과 시공 방안에 근거한 국내 실정에 적합한 제조 시공 기술과 이를 위한 시방서의 제작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에도 2002년 월드컵 부산, 광주(<사진 1>), 서귀포 경기장(<사진 2>)등등의 경기장 건설에 노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마감을 실시하고 있는 등 노출 콘크리트에 대한 요구 및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경부고속철도 천안역사나 제주월드컵경기장, 그리고 부산 아시안경기 주경기장에 노출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한 실험 및 현장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Behavior of Neutrally Buoyant Round Jet in Wave Environment (파랑수역으로 방류되는 비부력 원형 제트의 거동)

  • Ryu, Yong-Uk;Lee, Jong-In;Kim, You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20-212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천해역에서 수평 방향으로 방류되는 비부력 원형 난류제트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파랑이 제트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리모형실험시 대상 파랑은 진폭이 작은 규칙파를 적용하였으며, 난류제트의 순간적인 유속장은 입자화상유속계(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균유속장은 PIV기법으로 측정된 순간유속장을 위상평균하여 계산하였으며, 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며 실험을 수행하였고, 파의 진폭변화에 따른 제트의 유속분포로부터 제트의 중심선과 제트단면을 추정하였다. 제트의 중심선속도는 파의 진폭이 증가함에 따라 중심선속도의 감소 시점이 빨라졌으며, 제트의 횡단면분포의 고유특성인 자기상사성(self-similarity)이 단계적으로 사라졌다. 제트 중심선의 속도와 제트 유속 단면은 제트의 확산정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인자로서 파랑 진폭의 크기에 따른 이들 인자의 변화로부터 파랑의 분산이 난류제트의 확산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 PDF

A Establishment of Plan for water supply in the Agricultural Purpose of Bank-high Reservoir (농업용 둑높임저수지 용수공급 계획 수립)

  • Lee, Kwang-Ya;Kim, Hae-Do;Han, Kuk-Heon;Lim, Hyu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38-438
    • /
    • 2012
  • 우리나라의 용수사용의 48%를 차지하고 있는 농업용수는 저수지와 양수장 보 등을 이용하여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 중 농업용저수지는 18,000 여개에 이르고 있으며, 전국에 산재되어 하천의 중 상류부에서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역의 중상류부에 위치한 농업용저수지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사업인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사업"은 이 치수측면에서 농업지역 관개용수의 공급과 함께 하천유지용수의 공급이고, 더불어 재해측면에서 취약한 농업용저수지 보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둑높이기사업 이전의 저수지운영은 못자리용수가 들어가는 시기인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경의 모내기 기간 동안에 가장 공급량이 많게 하면서 관개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운영을 해 왔으나, 둑높임저수지의 경우는 영농기간이 종료되는 시기인 9월 중하순을 기준으로 하천유지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운영이 필요하게 되었다. 농업용저수지는 관개기 시점의 저수량이 이수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며 하천유지용수의 공급을 감안할 경우 관개기 종료 시점의 저수량 도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이 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용수목적별 공급을 위한 둑높임저수지 운영곡선을 계획하는데 있다. 운영곡선의 기본적인 의사결정기준은 영농시점인 4월의 저수지 수위와 영농 종료시점인 10월의 수위이다. 둑높임저수지의 운영은 영농이 종료되는 시점인 10월을 기준으로 저수용량을 최대한 확보해야 하며, 다음연도 관개시작일인 4월을 기준으로 농업용수 수위가 확보 될 수 있도록 저수위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관리자가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서 해당 저수지를 운영하도록 하기 위해 비관개기동안에 하천유지용수를 최대한 공급하면서도 다음 4월에 농업용수 필요수량을 충족할 수 있는 수위를 가질 수 있도록 운영곡선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하여 모의조작 할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면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바탕으로 하류하천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을 갈수기에 최대한 공급할 수 있으며 향후 예상되는 기상조건에 따른 주단위, 월단위의 용수공급계획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ing Renderer for Viewport Dependent 360 Video (사용자 시점 기반 360 영상을 위한 렌더러 구현)

  • Jang, Dongmin;Son, Jang-Woo;Jeong, JongBeom;Ryu, Eun-Seok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3 no.6
    • /
    • pp.747-759
    • /
    • 2018
  • In this paper, we implement viewport dependent tile partitioning for high quality 360 video transmission and rendering method to present a HMD (Head Mounted Display) screen for 360 video quality evaluation. As a method for high-quality video transmission based on a user's viewport, this paper introduces MCTS (Motion Constrained Tile Sets) technique for solving the motion reference problem and EIS (Extraction Information Sets) SEI including pre-configured tile information, and extractor that extracts tiles. In addition, it explains tile extraction method based on user's viewport and implementation contents of the method of expressing on an HMD. Therefore, if 360 video is transferred by the proposed implementation which only transfers video from the user viewport area, it is possible to express higher quality video with lower bandwidth while avoiding unnecessary image transmission.

A Depth-based Disocclusion Filling Method for Virtual Viewpoint Image Synthesis (가상 시점 영상 합성을 위한 깊이 기반 가려짐 영역 메움법)

  • Ahn, Il-Koo;Kim, Chang-Ic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6
    • /
    • pp.48-60
    • /
    • 2011
  • Nowadays, the 3D community is actively researching on 3D imaging and free-viewpoint video (FVV). The free-viewpoint rendering in multi-view video, virtually move through the scenes in order to create different viewpoints, has become a popular topic in 3D research that can lead to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there are restrictions of cost-effectiveness and occupying large bandwidth in video transmission.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is to generate virtual views using a single texture image and a corresponding depth image. A critical issue on generating virtual views is that the regions occluded by the foreground (FG) objects in the original views may become visible in the synthesized views. Filling this disocclusions (holes) in a visually plausible manner determines the quality of synthesis results. In this paper, a new approach for handling disocclusions using depth based inpainting algorithm in synthesized views is presented. Patch based non-parametric texture synthesis which shows excellent performance has two critical elements: determining where to fill first and determining what patch to be copied. In this work, a noise-robust filling priority using the structure tensor of Hessian matrix is proposed. Moreover, a patch matching algorithm excluding foreground region using depth map and considering epipolar line is proposed.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over the existing methods is proved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Model-based 3D Multiview Object Implementation by OpenGL (OpenGL을 이용한 모델기반 3D 다시점 영상 객체 구현)

  • Oh, Won-Sik;Kim, Dong-Wook;Kim, Hwa-Sung;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59-6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OpenGL Rendering을 이용한 모델기반 3D 다시점 영상의 객체 구현을 위한 구성과 각 모듈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한 장의 텍스쳐 이미지와 깊이 맵(Depth Map)을 가지고 다시점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먼저 깊이 정보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전처리 된 깊이 정보는 OpenGL상에서의 일정 간격의 꼭지점(Vertex) 정보로 샘플링 된다. 샘플링 된 꼭지점 정보는 깊이 정보를 z값으로 가지는 3차원 공간 좌표상의 점이다. 이 꼭지점 정보를 기반으로 텍스쳐 맵핑 (texture mapping)을 위한 폴리곤(polygon)을 구성하기 위해 딜루이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s) 알고리즘이 적용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폴리곤 위에 텍스쳐 이미지를 맵핑하여 OpenGL의 좌표 연산을 통해 시점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객체를 만들었다. 제한된 하나의 이미지와 깊이 정보만을 가지고 좀 더 넓은 범위의 시점을 가지는 다시점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새로운 꼭지점을 생성하여 폴리곤을 확장시켜 기존보다 더 넓은 시점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렌더링된 모델의 경계 영역 부분의 깊이정보 평활화를 통해 시각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Water Level Change Characteristics and Overtopping Patterns by the Wind Field Variation during Passage of the Typhoon (태풍 통과시 풍역변화에 따른 수위변동특성 및 호안 월류 패턴에 관한 기초적 연구)

  • LEE GYONG-SEON;KIM HONG-JIN;YOON HAN-SAM;KANG YooN-Koo;RYU CH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11a
    • /
    • pp.127-132
    • /
    • 2004
  • 본 연구는 2003 년 9월 내습한 태풍 매미로 인해 마산 진해 용원 지역을 포함하는 가덕수도 인근 해역의 태풍 매미의 풍역변화 특성과 개방형 및 폐쇄성 해역 등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호안 월류 패턴을 고찰하고 이를 모식화하였다. 태풍 매미 통과시 진해만의 경우는 풍향이 E-ESE 인 시점이 파랑에너지가1 충분히 발달하여 입사할 조건에 해당되고 마산만의 경우는 풍향이 SE-S인 시점이며, 부산신항 인근 해역은 S-SSW의 풍향이 유세한 시점을 중심으로 태풍파랑을 산정하여야 구조물에 미치는 정확한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상 파랑의 내습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안정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태풍 통과시 천해역의 풍역변화에 따른 수위변동 및 파랑장 영향을 해석하고 입사파랑에 의한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 PDF

The Algorithm of Life Time Diagnostics end Evaluating of Exchanges Time about High Pressure Sodium Vapor Lamp Using the LabVIEW Software Package (LabVIEW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이용한 고압나트륨전등의 교환시점 및 수명진단 알고리듬)

  • Han, T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6
    • /
    • pp.1-7
    • /
    • 2004
  • It is necessary for starting voltage to him o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This starting voltage supply to high pressure sodium vapor lamp as electric discharge lamp, Electric field is producted in Electric discharge tube, So accelerative electron collide against vapour atom and second electron is generated, And rapidly the current flow to Electric discharge tube. This paper showed that the life cycle and exchanges time for all electric discharge lamp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manufactures, This paper is proposed the evaluating algorithm of exchanges time for high pressure sodium vapor lamp, used LabVIEW software package.

A Study on Viewport Quality Assessment for Tile Based Mixed Quality 360 Video (타일 기반 비균등 품질 360 영상에 관한 사용자 경험 평가 방법 연구)

  • Lee, Soonbin;Jang, Dongmin;Jeong, Jong-Beom;Ryu, Il-Woong;Le, Tuan Thanh;Ryu,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69-172
    • /
    • 2019
  • 360 영상을 이용한 실감형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높은 대역폭 요구사항으로 인해 원활히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360 영상을 타일 분할 기법을 적용한 뒤 각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독립적으로 품질을 조절하여 서비스하는 타일 기반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시점에서 타일 경계에 있는 영상 지점을 바라볼 경우 다양한 품질의 영역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사용자 경험 평가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360 영상을 비균등 품질의 타일들로 구성한 후 시선 위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시점의 영상을 렌더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품질의 영역으로 존재할 수 있는 사용자 시점의 영상의 두드러지는 영역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 경험을 크게 해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대역폭을 낮출 수 있는 360 영상 타일의 최적 구성을 찾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 PDF

Supporting Translational Camera Motions on Spherical Image-based Virtual Environment (구형 영상기반 가상환경에서의 카메라 이동 운동 지원)

  • 추창우;장경호;정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59-561
    • /
    • 1999
  • 구형 파노라믹 영상은 영상기반의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가상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형 파노라믹 영상은 카메라를 회전시켜 실세계를 촬영하고 각 영상들을 정렬(image alignment)을 거쳐 구에 사상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실세계로부터 직업 입력된 영상을 가상환경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기하학적 기반의 가상환경에 비해 현실감이 뛰어나다. 그러나 고정된 시점에서 카메라의 회전에 대해서만 가상환경의 영상이 복원 가능하므로 가상환경의 항해(navigation)에 있어서 제약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시점의 이동 운동에 따른 운동시차(motion parallax)를 제공하기 위해 구 파노라믹 영상의 특정 부분에 TIP(Tour Into the Picture)기법을 이용하여 spidery mesh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환경 저작 기술은 보다 나은 사용자 상호 작용(interaction)을 제공하는 영상기반 가상 환경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