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장 비교

Search Result 2,60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한국시장과 일본시장에서 거래제도가 주가행태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 Kim, Gye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8 no.1
    • /
    • pp.207-230
    • /
    • 2002
  • 본고에서는 한국의 증권시장과 일본의 증권시장이 같은 공매시장(Auction markets)의 형태라도 거래되는 시점에 따라 다른 거래제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점도 있어 각 시점별로 양 시장의 주가행태를 가격조정모형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한국과 일본 모두 오전 시가 수익률의 분산이 종가 수익률에서의 분산보다 크고 또한 오전 시가 수익률의 분산이 다른 시점의 수익률의 분산 보다 켰다. 한국 및 일본 양 시장에서 시가수익률의 분산과 음의 시계열상관계수에서 공히 거래정지기간에 따른 노이즈 항목과 거래오류영향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한국시장에서 거래오류나 노이즈가 일본시장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두 시장에서 모두 오전개장과 오후개장을 다른 시점과 비교하면 주가의 과다반응을 추정 할 수 있으나 일본시 장의 경우는 한국시장에서 보다 미미하였다. 한국시장의 경우 오후종가가 영과 통계학적으로 크게 다르게 양의 수를 가지고 있음은 시장의 효율성에서 한국시장이 일본시장에 비해 떨어지고 시장 정보에 대하여 주가의 가격조정속도가 늦다고 추정할 수 있었고 이는 한국시장이 아직은 일본에 비해 가격제한폭이나 그밖에 거래제한 요소가 일본보다 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국시장에서는 주식수익률의 변동성은 노이즈거래가설(Noise trading hypothesis)이 더 설명력이 있다고 추정되고 일본의 경우 사적정보가설(Private information hypothesis)과 노이즈거래가설(Noise trading hypothesis) 둘 다 설명력이 있지만 전자가 더 우위일 가능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거래메커니즘 차이가 주가의 행태에 크게 다르게 미친다고는 할 수 없고 단지 주가의 정보전달 속도 및 노이즈 그리고 시장의 효율성에 따라 주가행태에 어느 정도 차이를 일으킨다고 할 수 있었다.

  • PDF

How to Ensure Adequate Capacity Reserve After the Restructuring (구조개편이후 적정 설비예비력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Lee, Keun-D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a
    • /
    • pp.392-394
    • /
    • 2002
  • 전력시장에서의 적정 설비예비력을 확보하는 문제는 구조개편의 진행과 캘리포니아 전력비상사태 이후 더욱 더 중요성을 가짐에 따라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현재 해외전력시장에서 활용중인 적정 설비예비력 확보방안들을 이론적 및 실증적인 방법에 의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전력시장에 적합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미국 PJM 전력시장 등에서 활용중인 용량의무 방식과 캘리포니아 시장에서 활용중인 시장의존방식을 중심으로 적정 설비예비력 확보방안을 간략하게 비교하고자 한다.

  • PDF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tructure of Periodic Markets in Youngdong County, Korea (영동군 정기시장의 기능 특성과 공간 구조)

  • 김학훈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93-505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기시장을 이용하는 이동 상인과 소비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정기시장의 중심지 기능과 공간 구조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충청북도 영동군 지역을 사례로 해서 8개의 정기시장을 이용하는 상인에 대한 면접 조사와 소비자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기시장의 연구는 경제-입지적 접근 방법이나 사회-문화적 접근 방법으로 행해지지만, 정기시장의 기능을 상인과 소비자의 두 측면에서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고차위 중심지에 위치한 정기시장은 규모가 커진 반면, 저차위 중심지에 위치한 정기시장은 쇠퇴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정기시장을 유지시켜 왔던 사회적 관성과 비교 우위는 농촌의 근대화 과정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정기시장을 쇠퇴시키고 있다.

  • PDF

해외 부동산 시대 열리다

  • Lee, Seung-Ik
    • 주택과사람들
    • /
    • s.195
    • /
    • pp.58-59
    • /
    • 2006
  • 부동산 시장의 글로벌라이징(Glovalizing)이 시작됐다. 국내 부동산 시장의 투자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점차 해외 시장으로 돌려지고 있다. 해외 부동산 투자가 늘어나는 이유와 국내 부동산 시장과의 비교를 통해 해외 부동산 취득이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자.

  • PDF

Trade Structure and Comparative Advantage Pattern of Busan Area against Japanese Market (부산지역의 일본시장에 대한 교역구조와 비교우위 패턴 분석)

  • Yi, Chae-Deug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2 no.3
    • /
    • pp.467-492
    • /
    • 2008
  • This paper analyzes the specific product-basis trade structure between Busan and Japan using the recent 2000-2007 trade statistical data. Several specific product-basis trade structure tests such as intra-industry trade index an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show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intra-industry trade structure between Busan and Japan. Furthermore, this paper found that Busan has high quality vertical intra-industry trade and horizontal intra-industry trade as well as low quality vertical intra-industry trade in trading with Japan. While Busan has the market comparative disadvantage in automobile-part products in Japan.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ontribution to trade balance of Busan's exports and the movement of Busan's comparative advantage patterns in Japan. The comparative advantage appears to have overall stability and convergence properties using symmetric indices.

The Study of Comparison Model, when Korean and German Insurance Company go into foreign Market - a case of german Legal Expenses Insurance Company - (한국 및 독일 보험회사의 해외 진출 모델 비교 연구 -독일 법률비용보험회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Shin, Dong-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928-932
    • /
    • 2010
  • 본 논문은 한국 및 독일 보험회사의 해외 진출 모델을 비교 연구한다. 특히, 독일 법률비용보험회사의 한국 진출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보험회사의 해외진출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방법론으로서 한국 및 독일 보험회사의 해외 진출사례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각 보험회사의 해외진출 담당자와 면담, 이메일(e-mail), 전화상담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기존의 연구결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험회사 해외진출의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고객지향 현지화전략, 수익지향전략, 신규특화시장 개척전략, 성장시장 진출전략 4개 요인으로 구분한다. 국내 보험회사는 해외 성장시장 진출 측면에서 긍정적인 반면에 수익지향, 현지화전략과 해외 신규 특화시장 개척 부분에서 아직 개선될 부분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일 보험회사는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철저한 현지화전략, 특화시장 개척, 성장시장에 진출의 3개 부분에서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험회사 해외진출의 이론적 배경 4개 요인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독일 보험회사의 사례와 같이 한국 보험회사가 해외에 진출할 경우에 보다 철저한 현지화 전략과 특화시장 개척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독일 법률비용보험회사 1개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진출 초기라서 아직 경영실적이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일정시점이 지난 후에 국내 보험시장에서 독일 법률비용보험회사의 발전추이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분석하고 법률보험시장에서 도덕적 위태 방지 연구, 소비자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 연구를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 PDF

국내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price behavior에 관한 연구

  • 권기덕;최선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630-63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실물 시장과 새롭게 나타난 인터넷 시장에서의 시장 작동 원리에 어떠한 차이점이 존재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에 대한 기존의 낙관적 연구들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처럼 과연 인터넷에서 효율적인 가격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국내 쇼핑몰에서의 Price Behavior 를 기존 실물 마켓의 경우와 비교, 고찰함으로써 밝혀보았다. 즉,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을 물리적 상거래 업체와 인터넷 상거래 소매업체로 분류하였고 연구 초점이 되는 상품으로 현재 물리적 시장과 인터넷 시장 양쪽에서 거래가 진행되고 있는 음반과 노트북을 선정하여 물리적 업체와 인터넷 업체간의 가격 수준과 price dispersion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인터넷에서 소비자들이 쇼핑몰을 선택할 때 가격을 주요 변수로 고려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쇼핑몰 방문자수와 가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인터넷시장에서는 아직까지 효율적 가격설정하에 운영되고 있지 않았으며 가격 요소 이외의 동인에 의해 시장이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에 잘못된 가정과 거품이 존재함을 밝혀내었다.

  • PDF

A Study on the Synchronizing Relations among the Return Rate on Housing Markets and Stock Market (주택시장 및 주식시장의 수익률 동조화현상에 관한 연구 - 지역별, 주택형태별, 기간별 분석을 중심으로 -)

  • Kang, Wo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25-126
    • /
    • 2013
  • 본 연구는 부동산 시장을 지역별(서울 강남, 강북지역) 및 주택형태별(아파트, 단독주택, 연립주택)로 분류하여 주식시장 및 각 형태별 주택시장의 수익률 동조화현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각 자산 간의 수익률을 1998년도 외환위기와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비교하여 기간 간의 수익률 및 수익률 변동성 차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구분된 시기별로 각 자산의 수익률은 첫째, 주택시장은 주식시장과는 동조현상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지역별 및 주택형태별 시장은 서로 동조현상이 있으나 그 정도는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arket Power and Retail Price in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시장지배력 수준과 요금인하 간의 관계분석: 이동통신서비스시장의 국제비교)

  • Choi, Saesol;Han, Sung-So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8 no.3
    • /
    • pp.231-248
    • /
    • 2014
  •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structure and social welfare outcomes has received considerable critical attention in the field of competition policy research.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udy in greater depth the impact of market power on social welfare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which is highly likely to form a monopolistic market structure. This is because, when market powers are concentrated on few upper carriers, there are negative effects on social welfare due to an excess of profit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the level of market power) and social welfare outcomes (the retail rate cut)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both the market structure and competition status of the Korean market have had significant gaps in global trends. It also points out that the monopolistic market structure (when the leading provider has more than 50% of the market share) has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consumer welfare (the retail price cut).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rection of competition policy should focus on not only improving market concentration(HHI), but also on mitigating the monopoly of power of a dominant operator.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고객의 점포 선택요인 비교분석

  • Ji, Se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353-371
    • /
    • 2007
  • 이 연구는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고객들이 점포를 선택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고, 고객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여 재래시장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점포선택요인과 고객만족 결정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를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이용 고객에게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재래시장 이용고객은 가격저렴성이, 대형마트 고객은 상품다양성이 가장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재래시장의 고객만족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쇼핑편리성, 상품, 접근편리성, 판매원 그리고 서비스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마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