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장지위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Regulation of Market-Dominating Enterprises in Media Industries (미디어산업에서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분석 -시장획정 및 시장지배력 판단과 남용행위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 Oh, Jeong-H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44
    • /
    • pp.180-222
    • /
    • 2008
  • This study briefly examines the regulation of market-dominating enterprises in terms of market definition, judgement about market dominance, judgement about abuse of market-dominant position, and types of abuse of market-dominant position. This study explores Korea Fair Trade Commission's judgemental cases regarding the prohibition of abuse of market-dominant positions under 'Korea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focuses on 21 cases related with Korean media industry. Based on this cas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rives major issues, problems, and possible alternatives in the regulation of market-dominating enterprises in media markets. And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about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competition policy of Korean media industry.

  • PDF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에 대한 OECD 논의동향 및 시사점

  • Lee, Seok-Jun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127
    • /
    • pp.20-28
    • /
    • 2006
  • 지난 6월 6일부터 9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OECD 경쟁정책위원회에서는 단독기업의 행위인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지위 남용에 대한 round table 회의가 열렸다. 라운드 테이블(round table) 회의는 6월 7일 8일 두 차례에 걸쳐 개최되었는데, 7일에는 시장지배력의 정의 및 입증에 대해서, 그리고 8일에는 시장지배력의 남용행위에 대한 제재수단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을 담당하고 있는 필자는 동 회의에 참석하여 우리의 경험을 애기하고 다른 나라의 경험을 들을 수 있는 유익한 기회를 가졌었다. 여기서는 당시에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보고자 한다.

  • PDF

The Changes of Welfare and Labor Market Status of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cy Support Program in Korea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 지위와 노동시장 지위 변동)

  • Baek, Hakyoung;Cho, Sunge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3 no.1
    • /
    • pp.143-178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welfare and labor market status of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cy Support Program in Korea thorough of analysis follow-up data which were collected about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participants of the program in Gyeonggi province in 2005. As the results, many of participants exited from the program within five years, and hardly anyone depends on the welfare or the program, also there is very little the revolving door phenomenon. Whatever, the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the changes of welfare and labor market status of them. Also, self-sufficiency communities, the small enterprises are started by more two participants and aim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m and contribution to social economy have played important role for their persistent work and economic self-reliance. The people exited from the program, however, hardly succeed in exit from the welfare and their economic conditions still are not good. Therefore, we have to arrange the program for the participants' self-sufficiency, and we rather have to effort to secure their economic well-being than emphasize the immediately employment or establishment a business.

The Effects of the Allocation and Accounting Methods of GHG Allowances on Firms' Financial Positions (배출권 할당 및 회계처리 방식이 기업의 시장 지위에 미치는 영향)

  • Oh, Hyungna;Hong, Inkee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4 no.3
    • /
    • pp.489-522
    • /
    • 2015
  • According to Law on Allocation and Trading of GHG Allowances of 2013 in Korea as well as the 2014 National Master Plan for Korean Emissions Trading System,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minimize the change in the market positions of the affected firm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that principle might become ineffective by the ways of distributing allowances and applying different accounting methods using a Cournot duopoly model. Although the way of allocating allowances freely to firms combined with accounting them for having no values would minimize their market positions, it would not the most cost-effective way of GHG reduction since it does not provide financial market with accurate informations.

시장지배적지위 남용금지제도의 시행에 대한 검토

  • 김득현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93
    • /
    • pp.2-15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금지제도는 그 시행기간에 비추어 보면 아직도 초보적 단계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완성된 제도로서 규제제도를 이해하기보다는 개선되어가는 제도로서 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규제제도의 시행 실적을 검토하고 그 오류들을 지적함으로써 향후의 개선방향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 개선방향은 기본적으로 효율적인 규제제도를 시행하기 위하여 되도록 일관된 법체계를 제정$\cdot$시행하자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경제행위에 대한 규제자체가 사회적 비용인 이상(즉 무료의 규제는 없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율적인 규제제도의 정비 및 시행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임은 더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 PDF

기업집단(企業集團)의 현황(現況)과 특징(特徵) : 비중(比重)·시장지위(市場地位)·다변화(多邊化)·소유구조(所有構造)

  • Lee, Jae-H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3_4
    • /
    • pp.183-238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집단이 갖는 현황과 특징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았으며, 기업집단을 둘러싼 논쟁 중 중요한 쟁점인 기업집단의 생산구조 및 다변화가 기업집단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30대기업집단이 광공업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동안 변화가 있었지만 최근 들어 조금 높아지고 있으며, 상위기업집단과 하위기업집단간의 격차도 확대되고 있어 경제력집중 문제가 소수의 상위기업집단의 문제로 압축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30대기업집단 가운데서도 상위집단은 산업규모가 크고 성장속도가 빠른 산업에 중점적으로 진출해 있는 반면, 중 하위집단은 산업규모는 크지만, 성장이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는 부문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0대기업집단은 다양한 산업 시장에 진출해 있어 다변화가 크게 진전되어 있으며, 개별 상품시장에서도 높은 시장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규모가 큰 시장일수록 기업집단의 참여가 많으며,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는 참여 기업집단이 독점적 위치를, 규모가 큰 시장에서는 시장을 분점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기업 및 기업집단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장비율, 노동의 질 등 생산측면의 요인이며, 시장력 및 시장구조, 다변화 등이 기업집단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기업집단의 규모와 기업집단의 성과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고 있지 않지만, 개별기업 수준에서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대형화는 촉진시키되 기업집단 계열기업간의 연결관계를 단절하고자 하는 현재의 경제력집중 대책방향이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기업공개는 기업집단의 소유분산에 기여하는 동시에, 기업의 규모확대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기업공개의 촉진이 경제력집중 대책의 유용한 수단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PDF

공기업 민영화와 경쟁정책

  • 주순식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83
    • /
    • pp.11-17
    • /
    • 2002
  • 민영화 이후의 경쟁정책에 있어서 공기업 민영화의 궁극적인 목표가 시장기능의 활성화를 통한 효율성 제고에 있음을 깊이 인식하여 민영화 과정에서 관련시장을 경쟁적인 시장구조로 전환하고 시장원리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데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공기업이 독점적 지위를 그대로 유지한 채 민영화한다면 이는 공적 독점으로부터 사적 독점으로의 단순한 전환을 의미할 뿐이며, 공적 규제의 악화로 사적 독점의 폐해가 보다 심각해질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 PDF

The Labor Market for College Professors in Korea (교수시장의 수급구조와 교수의 경제적 지위)

  • Ryoo, Jaewoo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4 no.2
    • /
    • pp.1-27
    • /
    • 2011
  • This paper analyzes the demand and supply structure of the market for college professors, and then characterizes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atus of them for the last three decades. On the supply side, the number of Korean recipients of doctorate degrees from the U.S. institutions, relative to the number of newly hired professors, has declined dramatically since early 1990s. The relative remuneration of professors, which i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number of students per professor', has also declined steadily. These suggest that the decline in the relative wage of professors has been a driving force for the decline in the relative size of new PhD's in the 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