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 이용율

Search Result 3,365,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Performance Analysis of Burst-format Serial Search DS-SS Acquisition System Using Digital Matched Filter (디지털 정합 필터를 이용한 버스트 형 직렬 탐색 DS-SS초기 동기 시스템의 성능 분석)

  • 이동욱;홍인기;황금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6 no.8
    • /
    • pp.701-709
    • /
    • 1991
  • In this paper, an analysis approach for the performance of serial search burst format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DS-SS] code aequision system using matched filter is persented. And an acquisition system using digital matched filter is chosen for the analysis by this approach. In this acqusition system, since chip decision should be performaned before matched filter

  • PDF

Analysis of DoS Attacks us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nection Requests of Hosts and the Traffic Transition Rate of Sowers (호스트의 연결요청과 서버의 트래픽 변화율간 관계를 이용한 DoS 공격 분석)

  • 김가을;고광선;엄영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62-864
    • /
    • 2003
  • DoS Attack (Denial-of-Service Attack)이란 공격자가 침입대상 시스템의 시스템 자원과 네트워크 자원을 악의적인 목적으로 소모시키기 위하여 대량의 패킷을 보냄으로써 정상 사용자로 하여금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공격을 의미한다. 현재 이러한 대부분의 DoS 공격은 인터넷 프로토콜 중 TCP 프로토콜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에 호스트의 연결요청이 발생하였을 경우 TCP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서버의 트래픽 변화율을 확인함으로써 DoS 공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버의 트래픽 변화율은 호스트가 요청한 연결의 발생빈도에 따라 변화하는 서버의 연결요청 처리 시간 변화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된 서버의 트래픽 변화율은 일정 시간동안의 변화율 증강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DoS 공격에 참여하는 호스트가 요청하는 연결의 발생빈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호스트의 연결요청과 서버의 트래픽 변화율간 관계를 이용하여 DoS 공격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Pollutant Load and Delivery Ratio in Upper Chungmi River Watershed (청미천 상류유역의 오염부하량 및 유달율 산정)

  • Jun, Sang Min;Kang, Moon Seong;Park, Jihoon;Song, Jung Hun;Ryu, Je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1-511
    • /
    • 2016
  • 오염부하량은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발생부하량, 수체로 배출되는 배출부하량, 수체의 특정지점까지 도달하는 유달부하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천의 수질관리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정확한 유달부하량 산정이 필요하다. 유달부하량 산정방법에는 실측에 의한 방법, 모델링을 이용한 방법, 유달율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유달율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이 수체의 특정지점에 도달하는 비율이며, 일반적으로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유역의 유달율을 알고 있을 경우 배출부하량을 이용한 유달부하량의 추정이 가능하다. 유달율을 산정하는 방법은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의 비율을 직접 계산하는 방법, 기 개발된 유역특성을 이용한 회귀식을 이용하는 방법, 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수문 수질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고, 배출부하량과의 비교를 통해 유달율을 산정하여 수질관리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청미천 상류유역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사가 밀집한 지역으로 수질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모니터링 지점은 청미천의 지류인 양가천을 따라 3개 지점, 청미천 본류에 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유량 자료는 초음파 수위계를 이용해 측정한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곡선을 이용해 구축하였으며, 수질 자료는 월1회 이상 정기 측정 및 강우시 정밀 측정을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수문 수질 자료를 이용해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통계자료를 통해 각 모니터링 지점을 말단으로 하는 유역의 오염원 현황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환경부 원단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점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달율은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로 계산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미천 유역의 수질관리대책 마련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for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Hi-Pass (자동요금징수 시스템(ETCS)의 시범사업 효과분석 (하이패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 이상건;조용성;오세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4
    • /
    • pp.59-69
    • /
    • 2001
  • 본 연구는 지속적인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고속도로의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도로공사에서 도입,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하이패스라고 하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시범운영이 실시되고 있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판교, 청계, 성남 톨게이트를 대상으로 정량적 측면과 정성적 측면에 대해 시범사업 시행 전.후의 상황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시행 전.후를 비교해 본 결과, 정량적 측면에서 각 톨게이트 별 시간대별로 다른 결과를 보이긴 하지만 이용율이 비교적 높은 오전 첨두시에는 3개 톨게이트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정수준 이상의 이용율이 있는 경우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성적 측면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는 하이패스 이용자의 84%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이용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1%가 하이패스 이용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7,000대의 단말기 과소 보급으로 아직까지는 평균 3.9%의 저조한 이용율을 보여 시범사업의 전반적인 사업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알고 있지만, 비교적 하이패스의 이용율이 높은 오전첨두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보아 2000년 12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단말기의 추가 보급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그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용자의 만족도와 비 이용자의 선호도가 매우 높은 상황에서 현재의 시범운영상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이패스를 확대.보급한다면 고속도로의 혼잡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Utilization of The UNIX Systems (UNIX 시스템의 최적 이용율 결정)

  • Im, Jong-Seo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2 no.5
    • /
    • pp.807-813
    • /
    • 1995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al utilizations of the UNIX systems. This method is developed using the definition-the optimal utilization is the maximum allowable utilization. In other words, the optimal utilization is the maximum utilization that can be allowed by users while providing tolerable response time. As the tolerable response time increases, the optimal utilization increases. Therefore, the optimal utilization is obtained at the maximal value of tolerable response time. Our analysis shows tolerable response time is achieved when the average of the trivial response time is less than 0.24 seconds for a given service objective. It also shows the optimal utilization consists of three components-%wio, and %usr. By way of example, the optimal utilizations of a machine (IBM 3081) running under the UNIX operating system are computed are compu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 PDF

Real-Time Aperiodic Tasks Scheduling Using Improved Synthetic Utilization on Multiprocessor Systems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상의 개선된 합성 이용율을 이용한 실시간 비주기 태스크 스케줄링)

  • Moon, Seok-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
    • /
    • pp.97-102
    • /
    • 2014
  • Abdelzaher et al. proposed an algorithm to determine the schedulability of aperiodic tasks on multiprocessor systems, and proved that the aperiodic tasks are schedulable if the upperbound of synthetic utiliz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0.59. But this algorithm has a drawback in that if some tasks, even though they are completed and have no more execution times, are included in the current invocation set, their execution times and deadlines are added to the synthetic utilization. This may lead to a problem in which actually schedulable tasks are decided not to be schedulable. In this paper, we recognize the above mentioned problem and propose an improved synthetic utiliz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to schedule aperiodic tasks more efficiently on multiprocessor system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 States for the Preemptive Goal Programming (우선순위 목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저수지운영율 개발 및 적용)

  • Cheong, Tae-Sung;Kang, Shin-Uk;Hwang, Man-Ha;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49-2053
    • /
    • 2007
  • KModSim은 수자원배분에 관련된 물리적, 수문학적, 제도적, 그리고 행정적인 요구들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디자인된 범용 우선순위 목적 선형최적화 모형으로써 자연유3tt입량과 기득 수리권 혹은 기득 저류권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저수권 사이의 조화운영이 가능하다. KModSim은 목적함수에 관련된 제약조건의 유연한 설정과 변경이 가능하며, 기존의 최적화 방법과 다르게 유역통합모의에 관련한 모형변수가 모형내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도록 프로그램화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내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과거운영자료를 토대로 저수지운영율을 개발하고 시스템단계(system states)를 이용하여 KModSim 네트워크에 운영율을 적용하였다. 금강유역에서 개발한 운영율을 적용하고 모의한 결과 개발된 운영율은 실제저류량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운영율 및 시스템단계 방법은 다중목적 우선순위 선형최적화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의 다양한 수자원운영모의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xtensible Web Clustering Systems in Linux (LINUX에서 확장성 있는 웹 클러스터렁 시스템의 설계)

  • 홍일구;염미령;노삼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77-879
    • /
    • 2001
  • 웹의 이용율은 매년 100%이상씩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제 활동도 웹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고속의 웹 이용율의 증가에 따른 웹서버의 성능 향상이 뒤따르지 못하면 웹서버는 과적이 된다. 이것은 웹을 통한 경제 활동에 매우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서버의 과적 상태를 대처하기 위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시스템들로 구성되며 확장성이 높은 웹 클러스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웹 클러스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을 보고 부하를 분산하는 Laye-7 switch 방식을 LINUX 시스템에 적용한다.

  • PDF

Mixed Tasks Scheduling Using Improved Synthetic Utilization on Multiprocessor Systems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에서 개선된 합성 이용율을 이용한 혼합 태스크 스케줄링)

  • Moon, Seok-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2
    • /
    • pp.351-356
    • /
    • 2015
  • Synthetic utilization on multiprocessor system is not considered periodic tasks, except scheduling methods for aperiodic tasks where one of the real-time aperiodic tasks is a scheduling method. But really aperiodic tasks scheduling method is composed of mixed task types. Aperiodic task scheduling method guarantee an analysis of the schedualibility of aperiodic task. The set of mixed tasks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scheduling method uses improved synthetic utilization that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new method shows that schedulability increases aperiodic server method.

Estimation of Optimal Reserves for Multi-purpose Reservoir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다목적댐의 적정 예비율 산정)

  • Chae, Heechan;Lee, Eunkyung;Ahn, Jaehwang;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2-302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가뭄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극심한 가뭄을 대비하기 위해 추가적인 용수확보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 2011년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용수공급 예비율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다목적댐들은 용수공급에 이용되는 이수용량 외에 비상시 활용 가능한 비상용량을 확보하고 있지만 명확한 활용방안이 없어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용수확보를 위해 비상용량을 예비량으로 활용하였으며, 낙동강수계의 다목적댐들을 대상으로 적정 예비율을 산정하여 예비율 활용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향상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저수지 모의운영을 위해 저수지 모의운영 프로그램인 HEC-ResSim을 이용하였으며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RCP 4.5 CMCC-CMS 수문 시나리오를 유입량 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1세기 초기('11-'40년), 21세기 중기('41-'70년), 21세기 후기('71-'99년)로 설정하였으며 예비율 활용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향상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신뢰도와 회복도, 취약도 등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 낙동강유역에 발생한 가뭄 시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94-'96년, '00-'01년, '14-'15년) 모형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