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제어

Search Result 31,22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Robust Nonlinear Predictive Control of Underwater Wall-Climbing Robot (수중벽면 주행로봇에 대한 강인한 비선형 예측제어기 설계)

  • Ghee Yong Park;Ji Sup Yoon;Young Soo Park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4 no.6
    • /
    • pp.772-77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강인한 비선형 예측제어기를 개발하여 연구용 원자로 벽면검사를 위한 수중로봇에 적용하여 보았다. 비선형 예측제어기는 먼저 적절한 함수 확장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미래 출력 값을 예측하고, 예측값과 설정치와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는 제어입력을 구하여 시스템에 인가한다. 이러한 제어기에 의한 폐회로 동특성은 목적함수가 상태변수로 이루어진 경우는 항상 안정한 특성을 보이고 목적함수가 출력변수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상대 계수가 4이하인 경우에 안정한 특성을 보인다. 이 제어기는 기존의 비선형 제어기가 적용 불가능한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의 불확실성이 큰 경우, 제어 안정도 및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독제어를 비선형 예측제어기에 포함시켰다. 이러한 제어기를 수중 벽면 주행로봇에 대한 모사실험에 적용한 결과 제어기의 강인함과 제어 성능 향상을 볼 수 있었다.

  • PDF

Remote Control of Autonomous Mobile Robot with Vision Via the Internet (인터넷을 통한 비젼기반의 자율이동 로봇 제어)

  • Park, Tae-Hyun;Kang, Geun-Taek;Lee, Won-Ch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2708-2710
    • /
    • 2000
  • 본 논문은 영상 정보를 통하여 원거리에 있는 자율주행 로봇을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를 제안하고 실제로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의 제안한 시스템은 인터넷상에서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웹서버 시스템, 웹을 통하여 제어하거나, 웹 브라우저 없이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선로를 통하여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자율이동 로봇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모든 시스템 총괄하는 제어서버 시스템, 무선 네트웍카드를 통하여 서버의 명령을 실행하고 영상 정보를 감지하여 서버 시스템에 전송하는 로봇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제어서버 시스템은 플랫폼의 이식성을 고려하여 Java 어플리케이션으로써 구현되어 질 것이며,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HTML 과 Java 애플릿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이러한 원격제어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하여 실험함으로써 원거리에 있는 자율이동 로봇의 실시간 제어를 검증하고 적용하고자 한다.

  • PDF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Industrial Control System Based Smart Contract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산업제어시스템 접근 제어 메커니즘)

  • Cho, Minjeong;Lee,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9 no.3
    • /
    • pp.579-588
    • /
    • 2019
  • Industrial control systems consist of various physical devices such as sensors, actuators. Security Infringement such as waterworks facilities Remote Access Infringement and power control systems Infection have been occured by vulnerability of Access Control. Access control to physical devices must be fulfilled with a reliable system. However, Having a single access control system inside company can not guarantee reliability. In addition, when single access control is struggled with error or infringement, access control system is totally unavailable. so system requires a additional access control method or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d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reliable and stable operation using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Proposed Mechanism using trust score to consider resources to be consumed depending on each industri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dustrial control system where avail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Unlike other blockchain-based access control system, proposed system is designed for the currently operating industrial control system.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everal control algorithms for a servo-system (포 시스템을 위한 제어알고리즘 성능비교)

  • 김상우;권욱현;이장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6.10a
    • /
    • pp.493-497
    • /
    • 1986
  • 본 논문에서는 포 서보시스템에 대한 여러가지 제어기의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사용된 제어기는 PID형제어기, LQ 추적자, LQG형 제어기, 적응제어기로 이들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하고 구현가능한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외란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A Dynamic Simulator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 Application On Nuclear Power Plant (분산제어시스템(DCS)의 원자력 발전소 적용을 위한 검증용 시뮬레이터 개발)

  • 서강완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 no.1
    • /
    • pp.135-150
    • /
    • 1994
  • 일반 산업체와 화력발전소 계측제어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을 원자력발전소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산제어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의 입증이 선결과제이다. 따라서 새로운 시스템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현하고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발전소 전범위 시뮬레이터(full Scope Simulator)를 제작 하기에 앞서 발전소 계통 중에서 소규모계통을 대상으로 부분범위 시뮬레이터(Compact Simulator)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DCS 검증용 시뮬레이터의 시스템은 발전소 제어반을 모의한 소프트 패널, 발전소 프로세스을 모이한 계통 모델링 소프트웨어, 그리고 현재 발전소의 아날로그 제어계통을 대신한 DCS 제어 계통등의 세 개의 계통으로 구성하였다. 개발 제작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 계측제어시스템에 분산제어시스템 적용을 시뮬레이션을 통햐여 구현하였으며 분산제어시스템의 적용 검증작업은 물론 적용을 위한 설계업부에도 DCS 검증용 시뮬레이터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로켓 엔진 추력제어시스템 개요

  • 이한주;조기주;정영석;조상연;오승협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92-92
    • /
    • 2003
  • 대형 위성 발사체를 우주로 발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추진기관시스템을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로켓의 궤적에 따른 추진제 질량과 추력을 적절하게 제어해야 한다. 정확하게 계산된 비행궤도를 따라 로켓을 최종 목표 지점까지 올리는 일은 엔진의 추력과 공연비를 동시에 조절하는 엔진제어기술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추력제어는 엔진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추진제 유량 제어를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액체로켓 엔진에 대한 엔진시스템 분석과 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연구 대상이 될 엔진시스템의 구성과 추력 및 공연비 제어시스템의 기본 제어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ART II - IGBT를 이용한 디지털 다중화 발전기 제어시스템 개발

  • 이주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274
    • /
    • pp.22-28
    • /
    • 2005
  • 최근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용량 전력제어용 반도체 소자와 제어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력전자 반도체 소자인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등을 사용한 승강압형 컨버터 방식으로 동기발전기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특이한 모델이 발전기 출력전압을 보다 속응성 있게 제어함은 물론, 신뢰성 있고 안정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함에 따라 이에 대한 기술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따라 본 고에서는 발전기 제어시스템의 개요,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개발시스템의 구성, 주요기능 그리고 발전소 현장 적용 전에 시스템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전동발전기(M-G Set)를 이용한 시스템의 모의시험 결과와 향후 발전기 제어시스템의 발전 전망 등을 9회에 걸쳐 기술한다.

  • PDF

PART I IGBT를 이용한 디지털 다중화 발전기 제어시스템 개발

  • 이주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273
    • /
    • pp.32-36
    • /
    • 2005
  • 최근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용량 전력제어용 반도체 소자와 제어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력전자 반도체 소자인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등을 사용한 승강압형 컨버터 방식으로 동기발전기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특이한 모델이 발전기 출력전압을 보다 속응성있게 제어함은 물론, 신뢰성 있고 안정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함에 따라 이에 대한 기술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발전기 제어시스템의 개요,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개발시스템의 구성, 주요기능 그리고 발전소 현장 적용 전에 시스템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전동발전기(M-G Set)를 이용한 시스템의 모의시험 결과와 향후 발전기 제어시스템의 발전 전망 등을 그회에 걸쳐 기술한다.

  • PDF

분산제어와 발전소 시스템

  • 황재호
    • 전기의세계
    • /
    • v.41 no.9
    • /
    • pp.12-22
    • /
    • 1992
  • 이제까지는 발전소 분사제어의 당위성과 적용, 운용면을 고찰하였다. 대규모시스템인 발전소 제어는 오랜전부터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발전되어 왔으며 근래에 들어 계층 구조에 의한 분산 제어방식이 디지탈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힘입어 서서히 실용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점차로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분산제어가 이렇게 발전소에 도입됨은 이러한 제어 기법이 이미 오래전부터 아라로그 제어에서 사용되어온 바이며 발전소 특성에 맞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종래의 아나로그나 시컨스 설비를 모두 철거하고 분산제어 설비로 대체하더라도 대상시스템의 기본 골격이 크게 변화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앞에서 제시한 여러 기능면에서 새로 설치되든지 아니면 개조가 가능하다. 문제는 분산제어 시스템에 들어갈 제어의 여러 기능을 어떻게 보완 발전시키느냐 하는 것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PID주종의 제어에서 탈피하여 현대제어의 알고리즘을 실용화함으로 고효율, 고신뢰의 안정한 제어를 수행케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Adaptive fuzzy sliding mode control (적응 퍼지 슬라이딩 모드 제어)

  • Yoo, Byung-Kook;Jeoung, Sa-Cheul;Ham, Woon-Chul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2 no.4
    • /
    • pp.287-29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정기와 슬라이딩 모드제어이론이 고려되었다. 비선형시스템에 대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 시에 그 시스템의 비선형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퍼지논리시스템이 사용되는 두가지의 적응처지슬라이딩 모드제어방식을 제안한다. 첫번째 방식에서는 비선형시스템, x/sup (n)/=f(x under bar, t) + b(x under bar, t)u 의 알지 못하는 함수 f를 추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퍼지논리시스템이 사용되어진다. 두번째 방식에서는 비선형시스템의 f와 b에 대한 추정기로서의 두개의 퍼지논리시스템이 각각 사용되어진다. 각각의 방식에 대하여 제어시스템의 안정도를 보장하도록 하는 적응법칙을 설계하며 퍼지추정기와 비선형함수와의 추정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각에 대한 강인한 제어법칙을 제안한다. 제안된 네 가지의 제어법칙에 대한 안정성을 증명하고 컴퓨터시뮬레이션에서 역진자시스템에 적용하여 그에 대한 타당성과 각각의 비교를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