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구성모듈

Search Result 1,85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Modular Fuzzy Inference Systems for Nonlinear System Control (비선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모듈화 피지추론 시스템)

  • 권오신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5
    • /
    • pp.395-399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modular fuzzy inference systems(MFIS) with adaptive capability to extract fuzzy inference modules from observation data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The proposed MFIS is based on the structural similarity to Tagaki-Sugeno fuzzy models and a modular neural architecture. The learning of MFIS is done by assigning new fuzzy inference modules and by updating the parameters of existing modules. The fuzzy inference modules consist of local model network and fuzzy gating network. The parameters of the MFIS are updated by the standard LMS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the MFIS is illustrated with adaptive control of a nonlinear dynamic system.

  • PDF

Implementation of the Multi-Channel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the Telephone Speech (전화음성인식을 위한 멀티채널 음성인식 시스템 구현)

  • Yi Siong-Hun;Suh Youngjoo;Kang Dong-Gy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79-182
    • /
    • 2000
  • 본 논문은 전화음성 서비스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멀티채널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현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구현한 시스템은 전화망 인터페이스 모듈, 음성입력 모듈, 음성인식 모듈, 및 서비스 제어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전화망 인터페이스 모듈은 전화망을 이용한 교환기와의 호 처리 및 이벤트 처리를 담당하며, 전화망 접속카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음성입력 및 인식 모들은 호 접속이 이루어진 채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단어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멀티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음성인식 모델은 문맥 종속형 CHMM 모델이며, 각각의 HMM 모델은 3-state, skip path 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인식 모듈내의 함수들은 모두 re-entrant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멀티 채별이 가능하며, 각각의 채널은 모두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에서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멀티채널 전화음성인식 시스템은 Dialogic보드를 이용하여 Windows NT에서 동작하도록 구현하였다. 실험결과, 구현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상용서비스가 가능한 인식율을 보였으며 원활한 멀티채널 지원이 가능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omponent modules and linkage methods for flood and inundation simula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s (농촌유역 홍수·침수 모의 요소별 모듈 및 연계 기술 개발)

  • Kim, Jihye;Lee, Sunghack;Cho, Jaepil;Jun, Sang-Min;Kwak, Ji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29-329
    • /
    • 2021
  • 우리나라의 농촌유역은 일반적으로 상류의 농업용저수지와 하류의 배수장을 통해 홍수조절이 이루어지며, 각 농업수리구조물의 운영이 유역의 홍수 및 침수 발생에 큰 영향을 끼친다. 농촌유역의 홍수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농업수리구조물의 통합적 운영이 필요하나 현실에서 이를 시험 운영하기 위해서는 시간적·경제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농촌유역 내 농업수리구조물을 연계한 통합 해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구조물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홍수 위험을 예측하고 효율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수리구조물을 연계한 홍수·침수 모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농촌유역에서 홍수·침수 모의를 위한 요소별 모듈을 구성하고, 각 모듈의 연계 기술을 개발하였다. 홍수·침수 해석 모듈은 농업용저수지 상류 유역에서부터 하류 하천 및 농경지까지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강우 분석 모듈, 강우-유출 모듈, 저수지 운영 모듈, 하천 수위 모듈, 농경지 배수 모듈의 5가지로 구성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통해 기초자료를 저장하고 모듈 간의 입출력 과정을 처리하였다. 강우 분석, 강우-유출, 농경지 배수 모듈은 python 코드를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모형 (FARD, HEC-HMS, GATE2018)들과 비교한 결과 거의 동일한 모의 결과를 나타냈다. 저수지 운영 모듈과 하천 수위 모듈은 각각 미 공병단의 HEC-5, HEC-RAS 모형을 CLI (Command Line Interface) 방식으로 외부 구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전체 모듈 간의 연계에는 python 라이브러리인 Dask를 적용하여 대량의 데이터에 대한 병렬 처리 구조를 갖춤으로써 다양한 기상자료와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반복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홍수·침수 모의 요소별 모듈과 연계 기술을 기반으로, 농업수리구조물의 연계 운영을 통합적으로 모의함으로써 홍수 대비를 위한 효율적인 구조물 운영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rmoelectric Generation System for Industrial Waste Heat Recovery (산업 폐열회술를 위한 열전발전시스템 개발 연구)

  • ;;;;;D.M.Rowe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1
    • /
    • pp.19-2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폐열회수를 위한 열전발전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자체 고안한 열전발전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상용화된 열전모듈을 적용하여 다양한 온도범위에서 열전모듈의 출력성능을 시험하였다. 시스템에 적용된 실험용 열전소자로는 49개의 열전쌍으로 구성된 미국 A 사의 모듈과 127개의 열전쌍으로 구성된 국내 B 사에서 제조한 모듈을 사용하였으며, 열전모듈 한 개에 대하여 , 그리고 5개의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온도차 ($\Delta$T)를 변화시키면서 이때의 출력변화를 측정하였고, 또한15$0^{\circ}C$로 고정된 온도차에서 부하저항을 변화시키면서 출력성능을 실험하여 발전출력에 미치는 시스템인자들을 조사하고 이를 적용한 발전시스템의 최적조건을 도출하고자하였다.

  • PDF

IGBT explosion test (IGBT 폭파시험)

  • Jeong, Jong-Kyou;Seo, Dong-Woo;Jung, Ho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50-351
    • /
    • 2019
  •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은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한 시스템이다.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해서는 전력변환기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는 단위 서브모듈이 직렬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기구적으로 하나의 밸브 구조물에 6개의 서브모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특징 중에 하나는 예비모듈이 구성되어 가용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모듈의 IGBT 폭파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가 주변 서브모듈에 도달해 절연파괴를 발생시키는지 확인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Watermarking Processor Using FPGA (FPGA를 이용한 WaterMarking Processor의 구현)

  • Kim Ki Young;Oh Whi-Vin;Lee Yong-Hwan;Rhee Sang-Burm;Lee June-Hwan
    • 한국컴퓨터산업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5-1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wavelet을 이용한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 구현을 제안한다. wavelet 변환 기법은 JPEG2000 이나 MPEG-4와 같은 차세대 데이터 압축 표준의 기본적 연산으로서 DCT연산에 비해 주파수 해상도와 시간해상도를 모두 만족시킨다. 제안한 시스템은 크게 DWT 변환모듈, 워터마크 삽입모듈, IDWT 복원모듈, Main Controller모듈로 구성된다. DWT 변환모듈은 Haar 웨이블렛 변환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계 됐으며 1차 신축을 통해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중간주파수 대역(LH 및 HL)을 선택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 모듈, IDWT를 이용 신호를 복원하는 모듈, 전체시스템 구성 블록을 제어하는 Main Controller모듈로 구성된다.

  • PDF

A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Audio Mixer (범용 DSP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믹서 구현)

  • 이규하;이지하;이기승;윤대희;이충용;박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95-9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TI사의 범용 DSP인 TMS320C31을 이용하여 48KHz의 표본화주파수를 지원하고 20비트의 해상도를 갖는 방송용 디지털 오디오 믹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전체 시스템은 4부분의 모듈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및 AES/EBU 디지털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믹싱을 위한 믹싱 모듈, 처리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포맷으로 출력하는 출력 모듈, 그리고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 PDF

Authoring System for Open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SCORM (SCORM 기반 개방형 교육용 컨텐츠 저작 시스템)

  • 서대우;윤경배;김남용;진영배;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36-838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SCORM을 지원하는 교육용 컨텐츠 저작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영역 모델, 항해 모델, 추상인터페이스 모델, 애셋 모델 등 4개의 모델로 구성하였으며, 컨텐츠의 구성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는 표기법을 지원한다. 이 시스템은 저작 모듈과 실행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작 모들에서 생성된 각 명세서는 국제적인 교육용 컨텐츠 표준인 ADL SCORM XML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실행 모듈과 웹 서버를 통해 서비스된다.

  • PDF

Modular Verification of Statecharts Specification (Statecharts 명세의 모듈 기반 검증)

  • 서선애;오승욱;조승모;이남희;차성덕;권용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593-595
    • /
    • 1999
  • 모형 검증을 통한 시스템 명세의 정형적인 검증은 상태 폭발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러 개의 병렬 프로세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상태의 객수로 인해 현실적으로 모형 검증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스템을 모듈 단위로 생각하여 정형 검증을 시도하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병렬성을 중요한 특성의 하나로 하는 Statecharts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모듈을 바탕으로 검증을 수행하려는 시도가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내장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는 Statecharts명세를 모듈을 바탕으로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Statecharts에서의 모듈을 정의하고 그와 같은 정의를 바탕으로 여러 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Statecharts 명세의 모듈 기반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듈 기반 검증은 환경에 대한 가정이 만족된다면 모듈을 반드시 주어진 성질을 만족한다는 가정-보증 추론(Assume-Guarantee Reasoing)을 이용한다.

  • PDF

Development of Micro Thermal Image Acquisition System (마이크로 열화상 계측 시스템의 IOT 모듈화 개발)

  • Lee, Jun-Yeob;Oh, Jong-woo;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69-169
    • /
    • 2017
  • 스마트 돈사 내의 열환경 분석에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인자는 가축의 복사 에너지 변화로 볼 수 있다. 열환경 제어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회귀적으로 열환경 변화의 인자이기도 하다. 이러한 가축의 복사 에너지 분석을 위하여 시설 내에 용이하게 배포가 가능한 열화상 계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초소형 마이크로 열화상 계측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IOT(Internet of Thing) 기반 기술을 이용한 모듈화 개발을 병행하였다. 열화상 계측 센서로 LWIR(Longwave infrared)영역에 해당하는 $8{\mu}m{\sim}4{\mu}m$의 영역에서 $0.05^{\circ}C$의 분해능을 보이는 $Lepton^{TM}$ (500-0690-00, FLIR, Goleta, CA)모델을 사용하였다.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속도 2 Mhz로 마이크로프로세서(NanoPi NEO Air, FrendlyArm, CA, USA)와 고속 통신을 수행하여 9 Hz의 계측이 가능하다. 열화상 센서와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단위 계측 시스템의 통신 기능 확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단계의 정보 전달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1) 단독적으로 열화상을 계측 하고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형식 2) 인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1번 단독 모듈에 접속하여 열화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도시하는 형식 3) 2번 사용자 도시모듈과 병행적으로 Local WI-FI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화면을 도시하는 형식. 이와 같은 계층적이며 모듈화된 계측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 1번 모듈에 공개 소프트웨어인 Hostapd 2.5(http://w1.fi/hostapd)버전을 설치하였다. 외부 인터넷 환경이 없는 상황에 1번 모듈 단독으로 AP(Access Point) 기능을 제공하여 지근 거리에 있는 2번 모듈과 3번 모바일 기기의 접속을 관리할 수 있다. 2번 모듈의 경우 화면 다수의 1번 모듈에 접속을 교차적으로 수행하는 방식과 2번 모듈 자체가 AP가 되어 1번 모듈의 접속을 허용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계측 시스템의 계측 매트릭스 구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1번 2번 모듈 공통적으로 TCP/IP Listener와 Client 서비스를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을 하였다. 3번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하여 범용 Android 기반 GUI 프로그램과 Socket 통신을 연동시켰다. 1개의 열화상 Frame의 전송량은 9,600 Byte ($=80{\times}60{\times}2Byte$) 로 WI-FI 통신 전송 시 2회 ~ 6회 정도 내외로 가변적인 통신 수행 횟수를 나타내었다. 센서 계측 시스템과 정보 전송 시스템을 병렬적으로 구성한 모듈화 된 계측시스템의 전 요소에서 센서에서 제공하는 최대 계측 주기인 9 Hz 구현이 일반적으로 가능하였다. 이를 이용한 추후 연구를 통해 가축 객체의 열복사 정보와 돈사 내 열환경 간의 역학성을 연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