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소와그네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시소와그네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유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eesaw & Sw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on the Adaptiv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황혜정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85-2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esaw & Sw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on the positive changes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eesaw & Swing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Hwang et al., 2009).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34 3~6-year olds (177 in the service group, 357 in the control group) from low-income families. The instrument used was the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second edition (Sparrow, Cicchetti, & Balla, 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eesaw & Swing intervention program produced positive effects in all of the domain areas under examination : namely, the communication abilities, life skills, socializati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iv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Seesaw & Sw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program which goes some way towards ending the intergenerational transition of poverty in Korea.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지역사회변화 인식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시소와그네'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Change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the Integrated Program for Early Children Development with Low-income Families Using Photo-voice Method: Centered on the Case of 'Seesaw and Swing')

  • 홍현미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233-25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개입과 교육 복지 의료의 통합지원을 통해 기회균등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영유아통합지원 실천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존적 경험에서 발견한 지역사회변화 인식을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 인식을 사진을 통해 공유하는 포토보이스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사업 참여 전의 지역사회는 '무장소의 발견'(주눅 들어 웅크리고 살아야 하는 의미 없는 공간, 우리동네) 이었다. 하지만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을 통해 '다시 뿌리내리기'(You are not alone)를 경험한다. 이는 본 실천을 통해 '양육품앗이' 공동체 체험을 하며 지역사회 네트워크로 편입되어가는 과정이었다. 실천경험의 결과 연구 참여자에게 지역사회는 교육 복지 의료자원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장소, 즉 '장소성의 회복'(내 안에 피어난 새로운 장소, 우리동네)을 경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저소득 빈곤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개입의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포토보이스 연구결과에서 발견한 지역사회에 대한 반성적 고찰단계, 재정착 단계, 장소성 회복 단계 등을 제시한다. 더불어 지역사회변화 실천주체인 '양육품앗이'조직의 중요성과 사회자본 형성 노력 또한 제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