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현황관리

검색결과 695건 처리시간 0.026초

공공 시설관리기관의 시설관리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n Improv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s)

  • 김창덕;이현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2-42
    • /
    • 2018
  • 시설 관리는 시설의 자산적 가치뿐만 아니라 시설 환경 및 사용자 성능까지도 시설 관리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시설 전체 생애 비용 중 운영 및 관리 비용은 시설의 용도와 사용 정도에 따라서 초기 건설비용의 3배에서 10배에 달한다. 효율적인 시설 관리는 다양한 용도로 건설된 다수의 시설을 관리하는 공공 시설관리 기관의 경우 더욱 중요하며, 특히 제한된 자원(인력/장비 등)과 제한된 예산으로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시설을 관리할 때 이 중요성은 증폭된다.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16개의 공공 시설관리기관의 시설관리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주요 조사 항목은 1) 시설 관리 시스템 구성 및 활용현황, 2) 중장기 수선 계획 수립 및 활용현황, 3) 수선대안 선정 시스템 수립 및 활용현황 등이다. 본 연구는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지방 공공 시설관리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설관리 시스템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국내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매뉴얼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a Domestic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Manual)

  • 박상훈;권태호;김종명;이상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27-33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프로세스와 운영기법을 담은 표준적인 매뉴얼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발주청이 자체적으로 가감하여 매뉴얼을 구성 활용할 수 있도록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매뉴얼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환경 현황 분석을 통해 자산관리 도입의 당위성을 살펴보고, 정부와 발주청의 자산관리 매뉴얼 현황과 미비점을 점검하였고, 호주, 영국, 미국의 선진국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매뉴얼 현황 및 체계를 파악하고 각국의 자산관리 매뉴얼의 특징을 분석 비교하여 한국의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매뉴얼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매뉴얼 구성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국내외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매뉴얼 구성방향을 통해 외국의 자산관리 매뉴얼의 특징을 반영하는 범용성, 자산관리 숙련도별 조직별 차등 적용가능성, 사용자의 편의성, 순환적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발주청이 활용할 수 있는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매뉴얼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업계탐방 - 분당서울대학교

  • 오정규
    • 방재와보험
    • /
    • 통권126호
    • /
    • pp.68-69
    • /
    • 2008
  • 이번 탐방은 중앙지부의 추천으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300번지에 위치한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하였다. 불곡산의 푸른 공기와 탄천의 맑은 물이 어우러진 넉넉한 자연의 품에 안긴 모습이 병원이라기보다는 휴양시설에 온 느낌이다. 이곳에서 방화관리를 담당하는 시설팀 이홍규 과장을 만나 시설현황과 안전관리현황, CEO의 경영철학 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 PDF

국내 안치실 및 염습실 종사자의 근무환경 및 질병관리시설현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eral director's working Circumstances and Management Facilities associated Infection Disease on Funeral home)

  • 황규성;장만석;진상명;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3호
    • /
    • pp.1-7
    • /
    • 2016
  • 2002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신을 통한 질병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연구가 시작된 후, 시신을 통한 질병감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왔다. 하지만 국내 장례종사자의 실제적 근무현황 및 근무지의 질병관리시설현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국내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의 3개 지역의 장례종사자를 대상으로 근무현황 및 질병관리시설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소독시설 미설치 장례식장이 50% 이상으로 장례종사자의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위생측면에서 장례종사자들이 항상 착용하는 가운의 소독 등 위생에 관련된 장비에 대해서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장례종사자들이 질병감염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함을 보여주었으며, 장례종사자의 개인위생뿐만 아니라 질병관리시설의 관리 및 설비보완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배시설 자동화의 현황과 미래 (Roles of Environment Control : Now and the Future)

  • 카노아쯔시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6년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29-41
    • /
    • 1996
  • 시설원예에 있어서 자동화는 피해서 갈 수 없는 길이다. 현재 비가림시설 등을 제외하면 인력만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시설에서의 생산이 충분한 이익을 올린 예는 거의 없다. 어느 정도 이상의 규모의 시설을 원활하게 관리ㆍ운영하기 위해서는 자동화가 필요하다. (중략)

  • PDF

빗물이용시설 활용성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Water Balance Analysis Tool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 박종표;심인경;원창연;김이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0-380
    • /
    • 2022
  • 빗물이용시설은 2014년 「물재이용법」 개정에 따라 시설 확충에 맞춘 획일적인 운영으로 시설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대상 시설의 이용량 증가에 대한 부분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설치 의무대상시설에 대한 적정한 시설의 이용현황을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이용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빗물이용시설의 효율적 관리방안 설정을 위해서는 의무 대상시설별 설치 및 운영관리 실태조사, 빗물이용시설관련 기준 검토 및 분석, 빗물이용시설 개선방안 마련의 단계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이용시설 기준 검토 및 분석에서 지역별, 수요처별, 용도별 일정 빗물이용 활용률을 확보할 수 있는 빗물이용시설의 평가를 위해 수문학적 물수지 분석을 통한 물수요-공급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수지 분석 툴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빗물이용시설 물수지 분석 excel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빗물이용시설 공급충족률(필요수량 대비 빗물이용량), 빗물보장률(전체일수 대비 빗물이용일수), 빗물이용시설 이용률(빗물이용시설용량 대비 빗물이용가능량)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한 물수지 분석 excel 도구를 이용하여 현재 설치되고 운영하고 있는 의무대상시설의 운영현황과 도구에서 계산된 활용성 평가 결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운영 현황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운영 결과를 시설 설치 이전에 확인하여 최적 운영방안 도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시설관리공단의 기록물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s' Records Management: Focused on the Gyeonggi Area)

  • 조진래;정연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0
    • /
    • 2020
  • 그동안 공기업의 기록물관리는 국가기록원 직접관리기관 공기업과 특별시·광역시 소재 지방공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고, 기초 지방자치단체 산하에 있는 지방공사·공단의 기록물관리는 지금까지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 일반 시·군 단위에 소재한 시설관리공단을 대상으로 기록물관리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이를 개선 및 발전시키는데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경기지역에 소재한 시설관리공단 중 기록물관리 담당자가 있는 8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전화인터뷰를 진행하여 기관의 기록물관리 현황을 살펴본 결과, 시설관리공단의 기록물관리는 어려운 여건 속에 많은 개선점을 남겨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