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재배지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9초

동절기 대파 재배지 파총채벌레 발생 보고 (Report on an Outbreak of the Onion Thrips, Thrips tabaci, Infesting Welsh Onion during Winter Season)

  • 김철영;최두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47-254
    • /
    • 2021
  • 동절기(1 ~ 2월) 시설재배지 대파에 파총채벌레(Thrips tabaci)가 발생하였다. 파총채벌레의 동정은 트랩에 포획된 개체의 DNA 바코드를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주별 파총채벌레 발생은 끈끈이판 하나당 약 240 ~ 700 마리의 포획 밀도를 나타냈다. 포획 효율은 트랩 색상에 따라 차이를 보여 황색이 청색 트랩에 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대부분(90% 이상) 대파는 이들 파총채벌레의 식흔을 보였다. 이러한 파총채벌레 발생은 특정 비닐하우스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국부적 파총채벌레의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자 이들 행동을 실내외에서 관찰하였다. 실내 분석은 약 1.5 mm 정도 몸길이의 성충이 약 5 cm 까지 도약하였다. 야외에서는 이들 성충이 시설재배지 최대 높이인 2 m 까지 비행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비행 행동은 인근(2 m 이내) 시설재배지까지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실제로 전파되지 않은 것은 야외 저온 조건이 물리적 장벽을 제공하여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겨울기간 파총채벌레의 대발생은 특정 소지역에 국한되었다.

유기농업실천농가 포장내 인산의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Accumulation in Organic Farming Fields)

  • 김필주;이상민;윤홍배;박양호;이주영;김석철;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4-241
    • /
    • 2000
  • 현재 친환경농업을 위한 하나의 대체농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기농업실천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시설재배지 36곳, 논 10곳, 과수원 8곳을 전국에서 선발 표층토내 인산의 분포특성과 주요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기농업포장의 화학성중 평균 유기물함량은 시설재배지 $44g\;kg^{-1}$, 논 $26g\;kg^{-1}$, 과수원 $39g\;kg^{-1}$으로 국내 90년대 농지내 평균 유기물 함량에 비해 높게 분포하였다. 유효인산 함량은 시설재배지 $986mg\;kg^{-1}$ 과수원 $754mg\;kg^{-1}$, 전인산은 각각 2973과 $2303mg\;kg^{-1}$으로 과량의 인산이 축적되고 있었다. 이는 유기농업실천 농가에서 질소와 인의 비율(N/Pratio)이 낮은 축분을 비옥도 관리에 주로 이용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시설재배지와 과수원 토양에서는 전인산(T-P)의 62~80%로 무기태 인(Inorganic-P) 형태로 존재하여 가장 높은 비율로 차지하였으며, 논토양에서는 Residual-P가 전인산의 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인산분획특성(P Fractionation)중 시설재배지와 과수원 토양내에서는 Ca-P가 약 $1,330mg\;kg^{-1}$으로 Extractable P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었으며, 이는 두 토양의 높은 pH 영향으로 해석되었다. 반면 논토양내에서는 Fe-P가 Extractable P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토양의 이용특성간 분포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수용성 인산이 시설재배지 $65mg\;kg^{-1}$, 과수원 $26mg\;kg^{-1}$으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친환경 농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재 우리의 유기농업 실천농가포장의 상당부분 인산이 과량축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토양환경 악화 초래 및 주변수계의 부영양화 유발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중부지방 시설재배지의 뿌리혹선충 감염현황 및 종 동정 (Incidence and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 in Plastic-House Fields of Central Area of Korea)

  • 고형래;김은화;김세종;이재국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48-354
    • /
    • 2017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중부지방 시설재배지를 대상으로 지역별, 주요 작물별 뿌리혹선충의 감염 현황을 조사하였다. 총 132개 시설재배지 중에서 65개 포장(49%)에 뿌리혹선충이 감염되어 있었으며, 평균밀도는 토양 $100cm^3$ 당 뿌리혹선충 2기 유충 178마리로 나타났다(최저 1-최고 3,947마리). 시군별 감염률은 춘천이 80%로 가장 높았으며, 천안, 논산, 부여와 예산은 각각 68%, 36%, 33%와 30%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작물별 뿌리혹선충 감염률은 토마토가 83%로 가장 높았으며, 오이(61%), 딸기(41%), 고추(30%), 수박(26%) 순으로 나타났다. 중부지방 시설재배지에서 검출된 뿌리혹선충 대표집단 15개체군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결과, 고구마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 3종이 각각 47%, 20%와 33%의 비율로 나타났다. 작물별로는 토마토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 총 3종, 오이와 수박은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 총 2종, 딸기와 상추에서는 당근뿌리혹선충 총 1종이 각각 검출되었다. 따라서, 뿌리혹선충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작물별로 검출된 종을 고려한 방제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에 분포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밀도 및 기내조건에서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 특성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spore of plastic film house soil in Yeongnam area and characterestics of AMF in vitro)

  • 박향미;남민희;강항원;이재생;고지연;강위금;박경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3-209
    • /
    • 1999
  • 인산축적 시설재배지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의 토착 Arbuscular 균근균의 분포밀도를 조사하고 in vitro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표면살균 조건에 따른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정도를 검토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재배작물별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수박에서 가장 높았으며 오이, 참외, 고추의 순이었으며 건토 100 g당 포자수는 101~207개 범위에 있었다. 한편,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B/F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토양유효인산의 함량과는 $r=0.416^*$의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Acaulospora spinosa와 Gigaspora margarita 두 균주를 대상으로 기내실험한 결과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표면살균은 두 균주 모두 2% Chloramin T 및2% Chloramin T와 항생제 혼합 처리시 50%이상의표면 살균력과 포자발아율을 보여 다른 화합물 처리보다 양호하였다. pH에 따른 Gigaspora margarita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은 pH 5.0 ~ 9.0 사이의 넓은 범위에서 5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초기 pH가 증가 할수록 균사생장이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Acaulospora spinosa의 경우에는 pH 9.0에서 포자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균사생장은 실험한 pH의 범위에 상관없이 저조하였다.

  • PDF

변곡점을 이용한 영농형태별 토양 인산 유출 잠재력 평가 (Evaluation of Phosphorus Release Potential in Arable land with Different Landuse by Phosphorus Threshold)

  • 이슬비;이창훈;홍창오;이용복;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3-347
    • /
    • 2010
  • 우리나라 농경지 이용형태에 따라서 인산유출 잠재력과 합리적인 농경지 인산관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 경남 통영시, 창녕시 및 진주시의 논, 밭, 시설재배지 토양을 각각 100, 100, 75 곳에서 채취하여 인산유출 변곡점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역의 논, 밭, 시설재배지의 평균 유효인산 함량은 각각 86, 619, 796 mg $P_2O_5$/kg로 농경지 이용형태에 따라 토양의 인산함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논 토양에서는 유효인 산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0.01M $CaCl_2$ 함량도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변곡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밭과 시설재배지에서는 토양 유효 인산 함량이 약 520 mg $P_2O_5$/kg에서 0.01M $CaCl_2$ 가용성 인산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변곡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밭과 시설재배지에서 주변 수계로 인산 유출량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농경지 유효인산 함량을 520 mg $P_2O_5$/kg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영상분류에 의한 하우스재배지 탐지 활용성 분석 (Analyzing the Applicability of Greenhouse Detection Using Image Classification)

  • 성증수;이성순;백승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7-404
    • /
    • 2012
  • 농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인 제주지역은 소득 증대를 위해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의 전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하우스재배지에 대한 지속적인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하우스재배지 탐지를 위한 효과적인 영상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ormosat-2 위성영상을 대상으로 감독분류와 규칙기반분류 방법을 적용하여 하우스재배지를 분류하였으며, 두 가지 결과를 연계하여 하우스재배지 탐지를 위한 정확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였다. 각 분류 방법별 결과는 육안 탐지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감독분류 방법 중 마하라노비스 거리법이 가장 높은 탐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감독분류 결과와 규칙기반분류 결과의 연계 시 탐지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향후 감독분류 결과와 규칙기반분류 결과의 연계 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하우스재배지의 효율적인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설원예지에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종류 및 간이 동정법 (Root-knot Nematode Species Distributing in Greenhouses and Their Simple Identification Scheme)

  • 김동근;이영기;박병용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49-55
    • /
    • 2001
  • 남부 시설재배지에서 서식하는 뿌리혹선충의 종류와 race를 조사하고 그들에 대한 간이동정법을 제시하였다. 남부 시설재배지에는 Meloidogyne arenaria race 2(59%), M. incognita race 1(23%), M. incognita 미동정 race(18%)가 분포하고 있었음, 우점종은 땅콩뿌리혹선충(M. arenaria) race 2 였다. 유충의 길이는 M. arenaria가 411$\mu\textrm{m}$(306-503$\mu\textrm{m}$), M. incognitark 384$\mu\textrm{m}$(312-488$\mu\textrm{m}$)로 두 종의 범위가 겹치고 있어 종 동정에 참고하기 어려웠으며, M. arenaria와 M. incognita의 종 동정에 가장 쉽게 이용할수 있는 특징은 암컷의 머리에 있는 Excretory pore 위치였다.

  • PDF

서울 강남지역 채소류 경작지의 토양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Land from the Southern Area of Seoul)

  • 최채만;육동현;홍채규;김태랑;황영숙;황인숙;김정헌;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0-165
    • /
    • 2011
  • 본 연구는 강남일부(강남구, 강동구, 송파구)지역 시설재배지에서 시기별 잔류농약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토양시료 60 점을 채취하여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을 다성분 동시 스크리닝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설재배지 잔류농약 조사결과, endosulfan 0.002-0.999 mg/kg, procymidone 0.002-1.200 mg/kg, diazinon 0.003-0.024 mg/kg, metalaxyl 0.012-0.075 mg/kg로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난 endosulfan을 대상으로 참나물, 상추에 대하여 흡수 이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강남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tan이 0.445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참나물을 60일 재배 후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fan 0.157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참나물 중 endosulfan 이행률은 35.3%를 보였다. 또한 강동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fan이 0.358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상추를 60일 재배 후 상추 중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tan 0.004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endosulfan 이행률은 1.1%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