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성

검색결과 8,961건 처리시간 0.031초

산림 내 산불 피해 시설 구분을 위한 연구

  • 박흥석;이시영;윤화영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9-179
    • /
    • 2013
  • 산림 내 시설은 산불 발생 시 접근성의 제한과 인접된 환경의 위험성으로 인해 큰 피해가 예상되는 시설이다. 또한 이러한 시설은 문화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이거나,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사회 간접 시설이 많아 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림내 시설의 정의와 위험성 구분을 위해, GIS를 이용하여 산림 내 시설의 지형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수치 지형도에 의해 335개소의 산지 전용 가능 시설물을 추출한 뒤, 이를 통해 고도, 경사, 능선상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재와 광산시설, 장례시설이 산불로부터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설물의 분류 시설물 중 30%가 산림 내 시설물로 분석되었다. 보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사례 검증을 통한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이일한;한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62
    • /
    • 2019
  • 공간서비스 그룹을 구성하는 업체들이 공간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이용목적과 생애주기에 맞춘 용도로 그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간대여 서비스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학습효과를 제공하며, 스터디 센터와 스마트 워크에 초점을 많은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대여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공간에 대한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 내의 시설이 시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가치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설만족도와 고객만족이 이용공간에 대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간대여 서비스의 구성요소인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내의 시설과 시설 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접근성과 서비스내의 시설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부환경요인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안전을 관리를 위한 국내외 국가기반시설(CIP)의 복합재난 관리 방안

  • 김용탁;권현한
    • 정보와 통신
    • /
    • 제34권6호
    • /
    • pp.65-72
    • /
    • 2017
  • 국가기반시설의 기능 상실은 신속한 재난 대응 및 복구를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의 심각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본고에서는 국가주요시설의 체계적 위험도 관리를 위한 DB 현황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내외 국가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절차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기반시설 분야에 적합한 재난관리 방법론을 연구하고 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재난 예방, 관리,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에서 관리되는 시스템의 활용범위와 같이 시스템의 대부분이 상황전파 및 재난신고접수와 사후 피해 상황 보고 등의 복구진도관리 위주로 운용되고 있으며 취약성 분석 및 시설체계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는 기능은 미비하여 복합적인 재난 유형에 적합한 관리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체계 및 사례를 조사하여 국가기반시설 간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복합재난 관리 체계를 소개하였다.

공동주택 화재에 따른 피난 및 대피시설의 효율성 제고 방안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Evacuation and Evacuation Facility due to Fire in Apartment House)

  • 송창영;송민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283-286
    • /
    • 2016
  • 국내에 다수의 공동주택이 건설되고 있거나 공사중에 있으며 그 수요 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의 공동주택 중 대피공간 규정이 신설된 1992년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은 현재에도 대피공간 및 피난시설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계획 및 시공, 준공된 준초고층의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대피공간 및 이에 준하는 시설은 사생활 침해 및 타 용도 공간 활용 등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피난 및 대피공간에 대한 실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타 시 도의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제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피난시설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관련 현황 및 사례 조사와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피난시설 및 대피공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율성이 높은 대피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 및 인센티브 제도, 가이드라인 등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 최적화를 위한 이행지표 평가 (Evaluation of Performance Index for Optimization of Food Waste Treatment and Recovery Facility)

  • 김종환;박준석;배재근
    • 청정기술
    • /
    • 제22권3호
    • /
    • pp.181-189
    • /
    • 2016
  • 본 연구는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최적화 이행지표를 적용하여 퇴비화시설과 사료화시설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2014년 현재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류폐기물은 약 27%이며, 재활용이 97.2%, 매립과 소각은 각각 0.9%와 1.9%로 미미하였다. 2014년 운영되는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은 총 105개소이며, 퇴비화와 사료화 시설이 각각 52개소(49.5%)와 24개소(22.9%)로 많았고, 하수병합 및 기타 시설이 29개소로 나타났다. 최적화 이행지표 평가 결과 기술성에서 사료화시설이 30점 만점 중 18.3점으로 퇴비화시설의 17.7점 보다 다소 높았으며, 환경성에서도 사료화 시설이 30점 만점 중 18.3점으로 퇴비화시설의 16.7점 보다 다소 높았다. 그러나 경제성 평가에서는 사료화시설이 40점 만점 중 25.0점을 차지하여 퇴비화시설(18.3점) 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을 종합 평가한 결과에서도 100점 만점 중 사료화시설은 61.5점으로 퇴비화시설의 52.7점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각 지자체에서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 선정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천층처분시설에서의 주요 안전성인자 영향 분석

  • 박주완;김현주;김창락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193-193
    • /
    • 2004
  • 처분시설의 안정성 평가에 사용된 시나리오와 파라미터들은 본질적으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불확시설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일한 시나리오에 대해서 평가 입력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라 개인피폭선량 결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처분시설을 빠져나온 핵종이 하부의 불포화된 토양층을 지나 대수층에 이른후 지하수에 의한 분산과 이류 등에 의해 인간환경의 우물까지 이동되고, 우물을 통해 다시 희석되어 부지 경계의 주민이 우물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지하수음용시나리오'가 고려되었다.(중략)

  • PDF

도시주거지역 와류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에서의 Zn제거특성 (Removal of Zinc by Vortex Flow Separator as BMPs in Residential Area)

  • 이승철;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4호
    • /
    • pp.443-4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하나인 주거지역에서 배출되는 강우유출수 내에 중금속이 장치형 비점 오염저감시설 중에 하나인 와류형시설에서 제거되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대상 중금속을 Zn으로 삼고 2007년 4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유출수 모니터링은 와류형 시설의 유입부와 유출부에서 유량과 수질을 각각 시간변화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설유입부와 유출부, 그리고 시설하부에 쌓인 침전물을 채취하여 침전물 모니터링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높은 강우강도에서 발생된 강우유출수는 와류형 시설내에 HRT를 감소시켜 Zn의 제거효율이 낮게 관측되었으며, 특히 HRT가 20분이내의 조건이 될 경우에는 처리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Zn는 입자성물질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제거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입자성물질이 스크린에 의한 여과 및 침전작용이 일어날 때 입자성물질에 부착되어 거동하는 특성을 보였다. 그 중에 0.075mm 이하의 미세한 입자에 부착된 고농도의 Zn는 제거되지 못하였고, 와류형 시설 후단에 후처리시설로서 저류시설을 두어 충분한 HRT를 제공한 결과, 와류형 시설만을 운전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높은 제거특성을 보이게 되었다.

실내·외 임시주거시설의 실용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Practical Use of Inner and Outer-Temporary Housing)

  • 서붕교;염태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09-420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해 실용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기본적인 성능, 형태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해 실용성측면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실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에서 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거주성, 경제성, 시공성, 운용방안이라는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생애주기에 따른 제작단계, 운반단계, 설치단계, 보관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실용성 향상을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개선사항을 적용한다면 실용성이 향상된 실내 외 임시주거시설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미기상 해석에 의한 간이시설의 형태별 효율성 검토 (Efficiency Evaluation of Several Types of Rain Selter by Meteorological Analysis)

  • 김문기;손정익;유인호;신만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3년도 가을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7-18
    • /
    • 1993
  • 여름철 비가림 재배에서는 병발생이 노지재배보다 억제되고, 품질향상과 수량증가가 가능하지만, 기존의 간이시설은 작업성 및 고온장애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형태의 비가림 시설을 보급하기 위하여 선정된 간이시설에 대하여 미기상해석에 의한 간이시설의 형태별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원자력시설 발생 가연성 폐기물의 국내외 소각 동향

  • 민병연;양다솜;윤경수;이기원;최종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논문요약집
    • /
    • pp.413-414
    • /
    • 2015
  • 국내 최초로 가연성 해체폐기물 부피감용을 위해 안전하게 시설을 운영하고 있어 소각에 대한 국민인식 재고에 기여할 수 있으며, 우라늄변환시설의 가연성 해체 폐기물 소각을 통해 U 핵종오염 폐기물 소각기술을 확보하여 원자력시설 운영 효율향상, 처분비용 절감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무해화로 최종처분장의 안전성 관리 최적화에 기여하고, 향후 원자력시설의 해체 및 해체 폐기물 처리/처분사업에 기술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