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설치기준

Search Result 7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Contents of the Installation Criteria of the Fire Suppression Education & Training Facilities (화재진압 교육훈련시설 설치기준의 필요성 및 내용에 관한 연구)

  • Song, Woo Seung;Ham, Seung Hee;Yoon, Myung 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3
    • /
    • pp.62-71
    • /
    • 2014
  • The importance of the firefighting education & Training is being magnified in order to enhance and strengthen a firefighters' ability and to reduce the firefighters' fatality and casualty. Therefore, It is needed to expand the facilities. In this study, wit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lobal firefighting education & training facilities for fire suppression, we try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the basic contents of the establishing the installation criteria for the domestic firefighting education & training facilities. It has to contain specific purpose of the training and minimum standards for the structures with a guarantee of an international level. Naturally, the top priority is a safety of trainees and trainers. And, it should pay attention to a higher effectivity of the training course with a active reflection of th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cenarios. Simultaneously, by securing a similarity and a compatibility to the other standards, it must maintain the balance of a whole standard.

오염방지 시설을 이용한 지하수 환경성 복원 연구

  • 이병대;조병욱;성익환;함세영;정상용;윤성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155-158
    • /
    • 2002
  • 질산성질소 및 탁도로 오염된 지하수공에 대하여 환경성 복원을 위한 오염방지 시설을 시범 설치하였다. 지하수공에 대한 오염 정도를 조사한 결과 PS-1, CW-1, 그리고 CW-2 공이 질산성질소로 오염되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였고, CW-3 공은 탁도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였다. 오염원은 지하수공 개발시 수량 확보를 위하여 그라우팅을 제대로 하지 않은 불량시공으로 인한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으로 기인되었다. 금번 연구는 오염된 지하수의 환경성 복원을 위한 것으로, 오염원과 지하수를 격리시켜 오염물질의 지하수 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커 그라우팅을 완벽하게 다시 실시하였으며,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대수층의 분포 및 특성팍악, 지하수공내 지표수의 유입구간 규명, 지하수 오염원, 오염실태, 오염경로 등을 파악하였다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후, 설치 전,후의 질산성질소와 탁도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PS-1의 경우, 오염방지시설 설치전의 질산성질소 함량은 16.1 mg/L 이었으나, 설치후에는 8.1 mg/L, 7.9 mg/L로써 설치전에 비하여 51% 감소되었으며, CW-1은 10.3 mg/L에서 6.3mg/L으로 39%, 그리고 CW-2는 14.9 mg/L에서 9.0 mg/L 으로 40% 감소되었다. CW-3 공의 탁도는 157 NTU에서 0.97 NTU로 완벽하게 복원되었다.

  • PDF

Improvement Programs for Traffic Safety Devices on Urban Freeway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개선방안)

  • 이대원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32-341
    • /
    • 1998
  • 본 연구는 지역간 고속도로에 비해 통행수요가 높고, 진·출입램프 간격이 짧으며, 구간의 용량변화가 심하고, 기하설계 기준이 낮은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운영상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통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문헌조사는 국내외 관련 기준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현황 조사는 서울지역의 도시고속도로중 올림필대로를 중심으로 시설물의 종류, 설치방법, 시인성등을 조사하였다. 문헌과 현황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행 시설물 중에는 설치 기준의 누락 또는 새로이 개발된 시설물 기준 등이 미흡하며, 시설물의 설치 및 운영이 현행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경제성을 고려한 시설상호간 중복 및 모순을 배제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의 유지관리체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연구를 통한 신개발 시설물의 설치 기준 설정, 현행 기준의 명확한 적용으로 시인성 및 통일성 확보, 시설물의 중복성 배제와 기능성 확립, 유지관리체계 마련, 그리고 도시고속도로 특성에 맞는 시설물 설치 기준서 및 실무지침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 PDF

중요목조문화재 소방시설 관리기준의 필요성 연구

  • Sin, Ho-Jun;Gu, Won-Hoe;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34-135
    • /
    • 2013
  • 2008년 숭례문 화재 이후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에 소화전, 방수총, 감지기, CCTV, 자동화 재탐지설비 등 수많은 방재시설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설치 및 관리에 대한 기준이 없어 안전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문화재의 특수성을 고려한 별도의 법률이 아닌 소방시설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특정소방대상물로 분류되어 소방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위치한 159개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현장조사를 통하여 방재시설 실태를 알아보고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oad Safety Judgment Indicators to Establish of Installation Criteria of Safety Facility (안전시설 설치 기준 마련을 위한 도로안전 판단지표 개발연구)

  • Kim, Do Kyeong;Hwang, Jae Seong;Lee, Jae Hyeong;Lee, Cheol K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6
    • /
    • pp.192-202
    • /
    • 2021
  • In the pas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and road safety indice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them to the field, such as using many survey items and variables that are difficult to us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road safety judgment indicators conside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and to prepare criteria for installing safety facilities. As part of the study, data of related systems were reviewed, and the use of variables already in use was figured out. Furthermore, the road safety judgment indicators reflecting traffic, road, and accident factors were developed through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Later, the criteria score for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was derived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analyses suggested, that the installation judgment criterion score at the intersection was lower than that of the single road(crosswalk), and the road risk at the intersection was higher.

Development of Determination Criteria Installing Crash Cushion on Freeway Off-Ramp (고속도로 진출램프 부근의 충격흡수시설 설치여부 판단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하태준;박제진;오재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07-116
    • /
    • 2002
  • Crash Cushion is a kind of safety facilities on roadside which acts the role of absorbing impact energy when vehicles are driven out of normal route such as Gore area of freeway off ramp. Criteria for severity index considering accident occurrence possibility are needed to have strong effect on installing the facilities. However, present criteria for establishing crash cushion design do not include such processes. Therefore, the paper presents two kinds of study to develop criteria for severity index. First of all, development of accident forecasting model on freeway off ramp is presented. The module is a relationship between accidents and road environment by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NB) which is called to reflect very well quality of accidents at Gore of crash cushion installed freeway Secondly, freeway exiting behavior model is developed because the human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one. However, many literatures have shown between road environment and accidents which are more quantitative than human factor. The study supposed advanced process steps on actual freeway and analysed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accidents. The criteria for severity index is presented to determine whether to install or not by benefit cost analysis for each module. The standard for severity index will help to determine whether to install the crash cushion or not and to estimate severity for freeway and off ramp.

법령과 고시-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3 s.188
    • /
    • pp.34-35
    • /
    • 2006
  • 건축법 중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의 일부가 지난 2월 13일 개정, 공포되었다. 이번에 개정된 주요 내용은 그동안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기준이 없어 적정수준의 실내의 공기 질을 확보하지 못하여 국민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필요환기 횟수를 시간당 시간당 0.7회 이상이 되도록 하고 다중이용시설 중 지하 역사의 경우 필요 환기량을 1인 기준으로 시간당 25㎡ 이상이 되도록 하는 등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환기설비기준을 정함으로써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피뢰설비의 설치기준을 강화하여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인 고층 건축물은 측면에 낙뢰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개정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의 벼락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지는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 중 신∙구조문 대비표를 게재하오니 회원사 여러분의 많은 참고를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