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배치계획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강당의 평면적 특징에 따른 대피효율에 관한 연구 (Evacuation Efficiency on School Auditorium Floor Layout)

  • 권준범;김덕수;김길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3-10
    • /
    • 2017
  • This study compared evacuation effective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school auditorium plan and a suggested hypothetical plan that was generated by a mathematical model, which is commonly applied in the field of industrial engineering. Recent school buildings became much more complicated in floor planning due to new social needs and modern curriculum than the old days. Nevertheless, architect's approach to floor composition in terms of fire emergency evacuation planning, still has no relation to optimized effective but relies more on an conventional school planning. Therefore, since school buildings are much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ny fire related events than any other building types, emergency exit effectiveness based on spatial composition has to be seriously evaluated with a scientific method. The algorithm, which acquires the number of persons in each spatial type(node) per floor and the minimum physical distance between spatial types(arc), can propose the most optimized spatial layout per floor regarding emergency evacuation event. Consequently, this study evaluated school's fire exit effectiveness focusing on auditorium area with the scientific tool and suggested the most reliable spatial layout regarding possibile emergency evacuation event.

초등학교 층별 구성과 비상시 대피효율성의 관계 (Effective Evacuation based on Elementary School's Floor Layout)

  • 권준범;김덕수;김길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10
    • /
    • 2016
  • This study compared evacuation effective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school floor plan and a suggested hypothetical floor plan that was generated by a mathematical model that is commonly applied in the field of industrial engineering. Recent school buildings became much more complicated in floor planning due to the new educational system and modern curriculum than the old days. Nevertheless, architect's approach to floor composition in terms of fire emergency evacuation planning, still has no relation to optimized effective but relies more on a conventional school planning. Therefore, since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re much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ny fire related events than middle school or high-school, emergency exit effectiveness based on spatial composition has to be seriously evaluated with a scientific method. The algorithm, which acquires the number of persons in each spatial type (node) per floor and the minimum physical distance between spatial types (arc), can propose the most optimized spatial compositing per floor regarding emergency evacuation event. Consequently, this study evaluated elementary school's fire exit effectiveness with the scientific tool and suggested the most reliable spatial composition per floor regarding possibile emergency evacuation event.

공동주택 주민복지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사전 타당성 평가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Pre-Feasibility Evaluation Factors of Activation for Welfare Facilities for the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 김영훈;강현욱;원유만;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60-167
    • /
    • 2011
  • 본 연구는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는 주민복지시설의 활성화를 위해 사전 타당성 평가 모델 구성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D신도시에 위치한 공동주택 단지 5곳을 사례대상으로 선정한 후 주민복지시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타당성 평가 항목 조사를 위해 선정된 사례대상 공동주택 5곳의 거주자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기획단계, 설계단계, 운영단계로 구분하여 타당성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기획단계, 설계단계, 운영단계에 대한 타당성 평가 항목 도출 결과를 바탕으로 AHP기법을 활용하여 평가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중요도 분석 결과 값의 검증을 위해 관련 전문가의 설문을 통해 중요도 분석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단지 내 주민복지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사전 타당성 평가 항목의 중요도 분석 결과 기획단계(P-1)의 경우 이용시설구성, 사용자조사, 시설배치 항목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설계단계(P-2)의 경우 실별 평면배치, 동선계획, 교구비품 항목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운영단계(P-3)의 경우 운영비, 운영일정, 이용시설검토 항목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연안도서해역에서의 준설작업이 정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Dredging Work to Coastal Finishing the development)

  • 이상헌;하창식;문승효;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7-129
    • /
    • 2016
  • 근래 소규모항만이 흩어져 있는 연안도서해역에서는 빈번한 폭풍의 내습으로 신규 외곽시설을 포함한 항만정비사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항만의 경우 늘어나는 물동량에 대응하기 위해 수역시설 및 부두의 배치에 변화를 가져오고 일부 항만의 경우 만입구, 항내, 수로 등 특정해역의 준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개발과 유지 준설에 따른 정온도의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파랑상호간 간섭, 흐름과의 상호작용, 쇄파 및 구조물에 대한 반사를 반영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고 특히 준설작업의 규모, 방향에 따른 정온도에서 결과에 차이를 나타내어 평면배치계획에 수정을 기할 수 있게 되었다. 수치실험에는 50면 재현빈도 심해설계파 내습시 영역을 광역, 중간역, 상세역으로 하여 네스팅 기법으로 개방해역조건을 반영하였으며 외곽시설에서 해수소통 개구부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소음지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로교통소음 개선방안 연구 (A Road Traffic Noise Management Using a Noise Mapping Simulation)

  • 김형철;정재훈;권우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353-360
    • /
    • 2007
  •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밀도의 증가로 도시의 주거지역은 점점 고층화, 고밀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그로 인하여 인구의 공간적 집중으로 발생하는 교통수요를 감당하기 위하여 도시내부 도로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주거지역은 도로에 바로 인접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에 연접한 주거지역의 도로교통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음벽에 의존하는 실정이었으나, 경관저해, 소음차단성능저해 등 다양한 역기능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음벽의 역기능을 해소하고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의 현장측정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검증한 후 방음시설별 성능평가 및 전체 지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선방안으로 건축물의 배치형태 변화와 도로단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20m 증가시켰다. 분석 결과 도로변과 평행한 공동주택의 피해가 가장 심각하였고, 시설별 분석에서는 방음벽의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건물 배치형태는 $30^{\circ}$ 배치가 우수하며,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교통소음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재개발지구의 복합형 마리나 개발에 관한 연구

  • 이형하;이중우;강석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29
    • /
    • 2012
  • 부산북항을 국내에서는 체류형 해양관광과 동남해안 관광벨트 중심의 해양관광 거점으로, 또한, 국제적으로는 해륙교통의 요충지 여건을 활용하여 교통인프라를 구축하여 유라시아 관광의 전초기지로 하기위한 친환경 워터프런트 및 시민참여형 항만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북항 재개발지구의 친수공간 배치계획에 따라 반영된 마리나 시설을 대상으로 국제해양관광의 거점조성 개발컨셉에 부합하는 마리나시설 개발을 정립하기 위하여 국내 및 해외 선진국의 마리나시설 개발사례에 대하여 국가별, 시설별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는 추후 국내 마리나 개발시 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부산북항 마리나항만의 효율적인 개발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인 절차, 정부의 지원정책, 개발방향, 사업시행방안, 관리운영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하여 향후 국내 마리나 개발과 운영시 사례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제주지역 현대건축의 배치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 및 제주의 문화·집회시설에 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te Plan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Jeju -Focu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Culture and Meeting Facilities in Domestic and Jeju-)

  • 홍광택;박정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17-124
    • /
    • 2010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 elements of deducing site pla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Jeju by looking into the mainly used measures and value in establishing the site pla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of Jeju. Being the initial decision making stage that serves as basis in creating design alternative and completes overall designing alternative frame, Site plan is the core stage of initial architectural planning. In addition, analysis of site plan concept the central overall idea for site plan offers the perspective to access the problem for solution in site plan.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s to deduce the site plan concept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Jeju, the characteristics of site plan concept that considered the placement and locality of Jeju can be objectively examined in planning out the site pla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Jeju, and such analysis results may become objective basic data in planning out the site plan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Jeju.

교정시설에 대한 시설관리자 측면의 요구사항 도출 및 중요도 분석 (An Analysis of Importance and Requirement Factors in the aspect of Facility Manager for Correctional Facility)

  • 천제홍;강민구;김민석;황욱선;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5-33
    • /
    • 2012
  •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대한 시설관리자 측면의 요구사항 도출 및 중요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준공된 교정시설 11곳을 사례대상으로 선정한 후, 선정된 교정시설의 시설관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요구사항을 기초로 시설관리자 설문조사를 통해 중요도 지수조사한 후 AHP기법을 활용하여 요구사항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정시설에 대한 시설관리자 측면의 요구사항은 배치 및 동선, 건축마감, 기계설비, 전기설비의 총 4가지 분야로 도출되었다. 2) 각 분야별 요구사항의 중요도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배치 및 동선분야는 건물배치계획(10.9%)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선정되었다. 건축마감분야는 차음성개선(14.1%)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선정되었다. 기계설비분야는 개별 냉 난방시스템 구축(11.9%)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선정되었다. 전기설비분야는 제어장치 개선(12.2%)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선정되었다.

도심 공원벤치의 디자인을 위한 표준크기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ndardization for site furniture design - with the park bench exemplified -)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43-50
    • /
    • 1999
  • 생활수준 향상으로 도시민의 옥외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시간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여가를 위한 대표적인 시설인 도심공원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휴식공간이 조성되며 이곳에는 휴식과 관련된 퍼골라, 벤치, 휴지통, 조명기기 등과 같은 휴게시설물이 다수 설치지기 마련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휴게시설물은 공원에서의 휴식을 즐기는 이용자들의 기본적인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휴게시설물은 공원의 분위기와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개발되어져야 하고 또한 한국적 문화에 맞는 이미지를 적용하여 적당한 장소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원을 계획할 때 이와 같은 점을 간과하고 이들 휴게시설물의 위치나 디자인을 타성적이고 편의적인 설계에 의하여 공원 이용자들의 시각적 만족감 결여와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또한 법적 규제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여가를 즐기기 위한 대표적인 시설물인 도심공원 안에 벤치의 현황을 파악하여 표준치수론 제시함으로서 디자이너가 참고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도시 6곳을 선정하여 도심에 있는 공원 벤치의 크기를 조사하였으며 미국, 일본 및 한국에서 표준이라고 적용하는 치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한국 성인 남, 여 신체치수를 검토하여 새로운 표준치수를 제시함으로서 좀 더 인간을 위한 시설물로 자리를 잡아 나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일원화 되어있는 현재의 벤치를 크게 이원화하여 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벤치의 표준치수만을 제시하였지만 앞으로 배치, 재료 및 형태 등에 대하여 연구되어 이용자 중심으로 한 휴게시설물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휴게시설물 전반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을 위한 농촌마을 리모델링 추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modeling Plans of Rural Villages for a Pleasant Settlement Environment)

  • 김상범;손호기;신민지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6권2호
    • /
    • pp.27-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시행되는 '농촌마을 리모델링 시범사업'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추진체계와 세부내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촌마을 리모델링 관련 연구는 현재까지 리모델링의 목적이나 기능에 따른 다양한 개념 연구와 농촌주택, 마을쉼터, 공공시설 등과 같은 개별시설에 대한 규모와 배치기준 등에 대한 분야에 한정되어 있어 종합적으로 농촌공간을 리모델링하는 계획 수립과 이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농촌마을 리모델링 추진체계로 첫째,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의 준비단계, 즉 주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마을정비 방향 설정, 시설물형태, 위치배치 등 사업내용에 대한 토론이나 포럼을 거쳐 마을계획서 작성을 하는 것, 둘째, 지자체에서 선정된 사업내용, 규모, 시기, 예산내역 및 예상성과 등을 검토하여 사업시행계획을 수립하는 것, 셋째, 관련전문가들에 의해 공간 및 시설계획과 법제도 검토를 통해 농촌마을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현재 농촌마을 리모델링은 개별적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에서 마을공간에 대한 종합적 계획 방식으로 변하고 있어 이를 위한 주민, 지자체, 전문가의 역할을 정의하여 리모델링 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추진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사업에 관련한 내용에 국한되어 수행되었으나 향후에는 농촌마을 리모델링의 대상별 세부기준과 리모델링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