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물관리체계

Search Result 47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rategy of Establishing GIS for Social Facility in Korea (한국의 사회기반시설물 GIS 구축 방안)

  • 이태식;이교선;조영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 no.1
    • /
    • pp.27-38
    • /
    • 1994
  • Due to the rapid civilization, the need for social facilities is increasing. When these facilities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GIS), various adverse situations such as emergencies, inconvenience of the public and duplication of construction cost can be improved. In this study, the types of information for GIS which may be needed by the facility management agenci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information, major components for the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tandard format of digital map, basemap scales, and basemap management methods are established.

  • PDF

Development of an Asset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공공시설물의 자산관리체계구축을 위한 모델 개발)

  • Kim, Chang Hak;Lee, Su Young;Jeon, Seok Hy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3
    • /
    • pp.297-304
    • /
    • 2021
  • Th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domestic public facilities is shifting from the concept of diagnosis and repair for maintaining safety of facilities to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at improves and maintains the performance of facilities. However, in Ko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maintenance of facilities has not been established, so the performance evaluation has not been properly perform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sset management model that introduces the concept of performance evaluation to complement the simple maintenance strategy focused on safety management of current facilities. This model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model by proposing a method for using WBS as a method for collecting facility maintenance information. This model proposed the most important level of service evaluation method and performance measure factor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facilities,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is mode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ata Linkage Method for Performance-based on Port Facility Maintenance Decision Marking System (성능기반의 항만시설물 유지관리 의사결정체계 개발을 위한 데이터 연계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 Kim, Yong-Hee;Kang, Yoon-K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9-18
    • /
    • 2020
  • Recently, studies of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and performance-based maintenance decision-marking systems have proceeded to the efficient management of port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nage and operate port facilities based on performance and to provide long-term durability and budgetary execution. Thus, it is essential to secure basic data to be analyzed in an integrated platform and decision-marking system. This study derived the data linkage measures to secure port facility design and management information. The target of deriving the data linkage was the POMS (Port Facility Management System) currently in operation by the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o derive data linkage, analyze the database of POMS and select the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integrated platform and decision-marking system. The final data linkage target was determined by compiling the requirements of the relevant experts and selecting the final target of three groups (port and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s a result, the API interface design was prepared for detailed linked data and data linkage framework between the linkage data of POMS. The provision of real-time data linkage between POMS and integrated platform is expected to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integrated platform.

A Study of the Serious Civil Accidents Management Framework (중대시민재해 관리 체계 연구)

  • Lee, ChangeYeol;Chae, Jonggil;Park, GIl Joo;Lim, S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63-64
    • /
    • 2023
  • 중대시민재해의 대상은 공중이용시설, 공중교통수단, 그리고 원료·제조물로 구성되고, 재해를 관리하기 위한 안전보건체계와 이에 대한 이행체계로 구성된다. 중대시민재해의 주요 대상 기관은 지자체와 공공기관, 그리고 다중밀집시설 사업장을 가진 업체가 주요 대상이 된다. 특히 지자체의 경우에 광범위한 시설물을 관리하기 때문에 그 관리체계의 복잡함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관점의 체계를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었다.

  • PDF

A Study of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Management Framework (중대산업재해 관리 체계 연구)

  • Park, GIl Joo;Lee, ChangeYeol;Lim, Sung Hun;Lee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65-66
    • /
    • 2023
  • 중대시민재해의 대상은 공중이용시설, 공중교통수단, 그리고 원료·제조물로 구성되고, 재해를 관리하기 위한 안전보건체계와 이에 대한 이행체계로 구성된다. 중대시민재해의 주요 대상 기관은 지자체와 공공기관, 그리고 다중밀집시설 사업장을 가진 업체가 주요 대상이 된다. 특히 지자체의 경우에 광범위한 시설물을 관리하기 때문에 그 관리체계의 복잡함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관점의 체계를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었다.

  • PDF

Building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Distribution using GIS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송배전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

  • Jang, Yong-Gu;Kang, In-Joon;Kim, Sang-Seok;Yang, Se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2
    • /
    • pp.69-77
    • /
    • 2004
  • Now, there are some problems to manage underground facilities in domestic. Specially, in the case of KEPCO(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it is so difficult to manage electronic line more stably and detailedly because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being built is not easy to be updated in the field. KEPCO officials who are accompany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in earthwork do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GIS but they grasp the information of geography and property which coincide with the field. Therefore they have to refer their business analysis contents sufficiently for more efficient lines management in the KEPCO, but it is problem that the existing information of electronic lines management system is not.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distributio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user to manage and maintain underground facilities more easily and safely using the information of geography and property about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distribution underground facility which have been built by KEPCO.

  • PDF

Study for implementa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system on Cisangkuy river basin in Indonesia (인도네시아 찌상쿠이강 유역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적용 연구)

  • Kim, Eugene;Ko, Ick Hwan;Park, Cha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9-469
    • /
    • 2017
  • 기후 변화 및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물부족 국가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집중형 강우의 형태가 많아짐에 따라 홍수피해 및 상수공급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20여 년간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화 과정에서 인도네시아는 인구와 산업의 과도한 도시집중으로 지난 1960-80년대 한국이 산업화 과정에서 겪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자카르타와 반둥을 포함하는 광역 수도권 지역의 물 부족과 수질 오염, 환경문제가 이미 매우 위험한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찌따룸강 중상류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3대 도시인 반둥시는 고질적인 용수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2010년 현재 약 일평균 15 CMS의 용수가 부족한 상황이며, 2030년에는 지속적인 인구증가로 약 23 CMS의 용수가 추가로 더 필요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용수공급 문제 해결을 위해 반둥시 및 찌따룸강 유역관리청은 댐 및 지하수 개발, 유역 간 물이동 등의 구조적인 대책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대책으로써 기존 및 신규 저수지 연계운영을 통한 용수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당유역의 용수공급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비구조적인 대책의 일환으로써 다양한 댐 및 보, 소수력 발전, 취수장 등 유역 내 수리 시설물의 운영 최적화를 위한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은 센서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시설물 및 운영자, 유관기관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유기적인 상호연계 체계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유역의 수문상황과 시설물의 운영현황, 용수공급 및 수요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수요에 따른 즉각적인 용수공급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및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개별 물관리 시설물에 대한 최적 운영룰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유역의 수문상황과 용수 수요 현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용수공급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개발의 목적은 찌상쿠이 유역의 수문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하천시설물의 운영을 분석하여 최적의 용수공급 및 배분을 통해 유역의 수자원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문자료의 수집체계를 구축하고 기관간 정보공유체계를 수립함으로써 분석을 위한 기반 인프라를 구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유역 유출을 비롯한 저수지 운영,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및 예측결과, 과거 운영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물관리 시설 운영룰 및 시설물 간 연계운영 방안, 용수공급 우선순위 의사결정 등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은 통합 DB를 기반으로 수리수문 현상의 모의 분석을 통해 하천 시설물 운영의 합리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관리주체들의 시설물운영에 대한 이견 및 분쟁을 해소하고, 한정된 수자원과 다양한 수요 간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분배 및 시설물 운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nstruction of Facility Guid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Imagery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다중영상과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시설물 안내 및 관리시스템 구축)

  • Sohn, Duk-Jae;Lee, Hey-Jin;Lee, Seung-Hwa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93-98
    • /
    • 2002
  • 본 연구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거나 짧은 시간 안에 수치기본도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인공위성 영상과 항공사진 및 지상사진 등 다양한 형태의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도와 준공도면에서 누락된 자료를 보완하여 수치지도를 편집 갱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대학 시설물 관리에 관한 연구가 시설물 DB 설계에 치중되어 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다중영상을 활용한 현황도 작성을 바탕으로 안내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보다 많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totype for Dam Facilities Using NFC Technology (댐 시설물의 NFC 기반 이력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An, Ji-Won;Park, Jin-Hong;Jang, Won-S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261-271
    • /
    • 2014
  • Construction industry becomes large and complicated as that occurr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es and operations, and the growing social demand for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methods of integrated management increases. Current facility maintenance system has been regarded as large labor-intensive and fairly stagnant, and faced on several issues including inefficiency in cost and time to collect and utilize various field information. Thus, this paper presents a maintenance prototype utilizing NFC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to efficiently collect and manage the field information in the course of the construction processes. By choosing dam facilities as a case study, construction data for dam inspection and maintenan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am maintenance guideline, and database structure was constructed to incorporate with the NFC tags and smart device interface. The system prototype presented in this paper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dam facilities maintenance system and provide business convenience and usability by contributing increased efficiency of field information management and 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