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나리오 적용

Search Result 2,09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alysis on Spatio-Temporal Change of Extreme Rainfall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 변화 분석)

  • Kwon, Hyun-Han;Kim, Byung-Sik;Kim, Bo-Kyung;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52-1155
    • /
    • 2009
  • 기후변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여러 영향 중 가뭄 및 홍수와 같은 극치강수량의 변동은 사회 경제적으로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점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규모기후변화시나리오와 비정상성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Downscaling 기법의 적용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기후변화를 반영한 지점별 일강수계열을 생성하고 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문기후변화시나리오 작성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1과 A2 지역규모 기후변화시나리오가 사용되었으며 이를 비정상성 Downscaling 기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일강수량 자료를 모의 발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우리나라 기상청 산하 60개 강우지점에 적용하였으며 극치강수량의 빈도를 추정하기 위해 부분기간 계열과 전기간 계열 자료로 재생산하여 극치분석을 실시하였다. 극치분석결과 강수량에 대한 공간적인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강수량의 변동성 또한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선택된 시간 및 사용된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 가지 주목할 점은 기후변화정도가 심한 A2 시나리오와 정도가 약한 B1 시나리오를 비교할 때 온도와 같은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할수 없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rediction and Scenario Periods for the Reliability of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예측 및 시나리오 기간이 앙상블 유량예측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검토)

  • Kang, Tae-Ho;Kim, Chung-Soo;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79-1283
    • /
    • 2010
  • 미국의 경우 1994년 발생한 대홍수(Great Flood)에 대해 사건조사를 수행하면서 예측에 포함되는 불확실성 정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확정적 예측의 위험성 및 확률유량예측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앙상블 유량예측(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SP) 기법을 활용한 확률유량예측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확률예측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기존 국외 연구사례를 토대로 국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중장기 앙상블 유량예측의 경우 현업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앙상블 유량예측의 기본이론은 예측시점의 초기조건 하에서 예측기간에 발생 가능한 기상 앙상블 시나리오를 수문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불확실성 범위를 설명 가능한 유량 앙상블을 모의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이론적 단순함 때문에 쉽게 현업의 유량예측 시스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동시에 기법적 특성으로 인하여 유량예측의 신뢰도가 현업에서 활용되기 어려울 정도로 낮아지는 관계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그동안 기상자료 및 수문모형으로 인한 불확실성 저감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예측 및 시나리오 기간의 잘못된 설정으로 기존의 불확실성 저감을 위한 연구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앙상블 유량예측의 신뢰도가 오히려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시나리오 기간에 따른 오차의 양상과 예측기간의 증가에 따른 초기조건의 영향을 분석하여 앙상블 유량예측의 기법적 특성 하에서 신뢰도 높은 예측을 기대할 수 있는 예측 및 시나리오 기간을 제안하였다.

  • PDF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이용한 다단계 용수공급시스템의 최적설계

  • Gang, Du-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15-215
    • /
    • 2012
  • 사회는 우리의 예상보다 빠르게 혹은 느리게 발전할 수 있고, 정부의 법령이나 규정은 때때로 수정되며, 대중의 선호도나 정서 등도 시시각각 변화한다. 이러한 불확실하고 변화가 많은 환경하에서 수자원기술자들은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종종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즉, 언제(when), 얼마만한(how big) 규모의 시스템을 구축해야 불투명한 미래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을까란 의문이 바로 그것이다. 시스템의 계획단계(planning stage)에서 시스템과 관련된 여러 가지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하면서 또한 직감적인 방법은 바로 여러 가지 미래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scenario)를 구성하여 그것에 대비하는 방법이다. 최근 들어 시나리오에 기반한 시스템 플래닝 기법이 수자원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미래에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구축된 시스템은 그 자체로 유연성을 발휘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예측에 어긋난) 다양한 변화에도 큰 사회적인 혼란 없이 최소의 추가비용만으로도 본래의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 기법을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 (scenario planning technique)과 접목하여 분산형 용수공급 시스템(decentralized water supply system)의 최적설계에 적용하였다. 대상지역은 미국의 대표적인 준사막지역의 하나인 애리조나주에 위치한 투산시의 통합 물공급시스템으로 향후 20년을 대비한 시스템의 최적화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 PDF

Study of the Effective Water Use Applying K-WEAP in Irrigation Dam (K-WEAP을 적용한 관개용댐의 효율적 용수이용 검토)

  • Lee, Sang-Yoon;Kim, Sun-Joo;Lee, Joo-Yong;Kang, Seu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13-917
    • /
    • 2006
  • K-WEAP은 수자원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용수이용에 대한 정책 시나리오 설정과 용수관리가 용이하게 설계되어 사용자와 정책결정자가 이해할 수 있는 일반적인 과정과 합리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성주군에 위치한 성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각 수요처의 용수수급요인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증발산량, 유효우량, 토양수분 등 실제 현장의 여러 여건을 고려한 농업용수 산정 값과 용수수요 및 공급에 영향을 주는 경제, 인구 등의 시나리오 구성 구동인자를 K-WEAP에 적용하여 2002년${\sim}$2011년까지 총 10개년 대상유역의 수요-공급량의 변화를 모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주댐 유역의 모든 수요처는 약 98.45%의 용수충족률이 나타났으며, 이 결과가 밭용수의 공급원을 지하수가 아닌 성주댐으로하여 K-WEAP에 적용하였음을 감안할 때 각 대상 수요처에서 만족된 용수충족률이 100%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K-WEAP에 적용한 기준시나리오에 새로운 수요처의 추가와 하천유지용수의 증가 등 수요관리에 변화를 주어 10개년 대상유역의 물수지 변화를 모의.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각 대상 수요처들은 수원공인 성주댐으로부터 충분한 용수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NGN based on Telematics Service request and data response scenarios for Telematics service deployment (NGN기반 텔레매틱스 적용을 위한 서비스 요청 및 데이터 응답 시나리오)

  • In Min-Kyo;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990-993
    • /
    • 2006
  • NGN(next generation network)망에서는 기존의 통신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들이 통합된 형태로 망이 구성됨과 동시에 서비스가 이루어 질것이다. 현재는 각자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향후에는 이러한 서비스들이 통합 및 융합과정 거처 통합된 형태로 서비스되고, 사용자 입장에서 언제 어떤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이 예상되는바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NGN망과의 연계를 위한 새로운 구성도를 제시하고 및 적용을 위한 시나리오를 제안할 것이다. 텔레매틱스 기술은 이미 여러 표준화 단체에서 표준 작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산업체에서는 부분적인 위치정보제공 등의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초기단계이며 NGN 망에서의 적용에 대한 사항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으로 본 논문에서 향후 NGN 환경에서는 텔레매틱스 적용을 위한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 PDF

Study on the Well Scenario of the LILW Disposal Facility in Korea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우물 이용 시나리오를 적용한 안전평가 연구에 대한 고찰)

  • Jeong, Mi-Seon;Cheong, Jae-Yeol;Park, Jin Beak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3 no.1
    • /
    • pp.63-72
    • /
    • 2015
  •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generated in Korea is disposed of at Wolsong Disposal Facility. For the safety of a disposal facility, it must be assessed by considering some abnormal scenarios including human intrusion as well as those by natural phenomena. The human intrusion scenario is a scenario that an incognizant man of the disposal facility will be occurred by the drilling. In this paper, the well usage scenario was classified into the human intrusion event as the probability of the well drilling is very low during the man's lifecycle and then was assessed by using conservative assumptions. This scenario was assessed using the dilution factor of contaminants released from a disposal facility and then it was introduced the applied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assessed scenario using this methodology is satisfied the regulatory limits.

Representation Model of Spatio-Temporal Formalization for Game Scenario (게임 시나리오의 시공간 정형화 표현 모델)

  • 성해경;김달중;하수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86-288
    • /
    • 1999
  • 기존의 시공간 동기화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간 동기화와 공간 동기화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또한 시나리오의 시간적 정형화 표현 연구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프리젠테이션에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게임 공간상의 객체 표현에 있어서 게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동기화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 제안된 시간과 공간, 시공간 언명을 게임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시공간 동기화에 대한 통합 방법을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시간과 공간, 시공간 공식의 언명을 시공간 동기화 표현 모델로 제시하여 정형화된 표현법으로 나타내었다.

  • PDF

해체 콘크리트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외부피폭경로 시나리오 평가

  • 홍상범;김계홍;정운수;박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130-130
    • /
    • 2004
  • 본 연구는 연구로 1,2호기 해체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체처분대상 콘크리트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 NUREG-1640 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나리오에 대하여 외부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NUREG-1640에서는 콘크리트폐기물 재활용에 적용시 7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으며, 각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대량의 콘크리트에 인접, 콘크리트폐기물 수송, 콘크리트폐기물 처리, 매립을 위한 처분활동, 매립지 폐쇄 후 거주자, 콘크리트폐기물 이용 도로건설, 도로포장재로 대량의 콘크리트 이용이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cenario Based Design Method for the Idea Generation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기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

  • 유승헌;김동건;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4-5
    • /
    • 1999
  • 본 연구는 디자이너의 아이디어 발상기법과 시나리오기법, 그리고 코믹 챗을 비롯한 각종 관련 기법들의 분석과 적용을 통하여 ,제품의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를 보다 빠르게 작성해보고, 다각도로재구성 하면서 완성도 있는 제품 아이디어를 전개해 나갈 수 있도록 보조해 줄 수 있는 시나리오 디자인 프래임웍과 이를 응용한 컴퓨터 옹용 프로그램을 제안코자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Methods to Estimate the Time Required for Finishing Hypermedia Scenario (하이퍼미디어 시나리오 수행시간 예측 방법 고찰)

  • 임재걸;이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1.1-36
    • /
    • 1998
  • 본 논문은 하이퍼미디어 시나리오 수행시간 예측 방법을 고찰한다. 시나리오 수행 시간 정보는 사용자가 본인의 시간 사용 계획 수립이나, 정보 제공자가 효율적인 정보 감상 스케쥴을 수립하여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1]과 [2]에 소개된 두 가지 밖에 없다. 이 두가지 방법은 모두 변형된 페트리 넷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모델링 한 다음, [1]은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고 [2]는 통계적 기대값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