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공성능

검색결과 1,929건 처리시간 0.04초

해저지반 굴삭용 워터젯 장비의 시공성능 추정에 관한 기초적 연구

  • 나경원;조효제;백동일;황재혁;한성훈;장민석;김재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6
    • /
    • 2015
  • 해저파이프라인 및 해저케이블 설치해역이 대수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육지와는 다른 열악한 시공 환경에 놓이게 된다. 이때 파이프라인 및 케이블이 매설되는 해저지반 상태와 작업이 이루어지는 해역의 해상조건 등은 작업효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율적인 시공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구조물 매설에 앞서 해저지반 굴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ROV 트렌쳐의 하단에 장착되는 워터젯 굴삭기의 작업효율 및 시공성능 추정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워터젯 굴삭기의 굴삭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노즐 수량을 정하였고,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굴삭기의 시공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최대 굴삭심도 및 최대 굴삭속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운용중인 워터젯 굴삭장비들과 시공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통신용 관로 자재의 물성치와 품질 성능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ve between physical properties and quality efficiency of telecommunication conduit materials)

  • 김동훈;한진우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1-116
    • /
    • 2006
  • 통신용 지하 관로 자재로는 주로 100mm관(PVC관, FC관)과 50mm관(FC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관자재의 품질은 관로 시공 품질 뿐 아니라 케이블 포설을 위한 선로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관자재의 품질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관자재의 품질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편평시험(5% 및 100% 변형하중)과 충격시험 결과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관로 시공 현장에서 이러한 성능 시험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관자재의 두께나 무게와 같은 물성치 측정으로 품질관리를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관자재의 물성치와 품질 성능간 상호 관계를 분석한 후, 상관성이 높은 항목들을 도출함으로써, 관종 별의 관자재의 물성치와 품질 성능간에는 상관성이 매우 높은 인자들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관자재의 물성치 만으로도 품질 성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관로 시공 현장에서 관자재 품질관리와 시공 품질 향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성능발주방식의 개념 정의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성능표시 제도를 바탕으로 한 발주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 (A Study about Improvement Idea for Performance-based Project Delivery system)

  • 이하승;백건구;신승하;이정원;김경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34-637
    • /
    • 2008
  • 성능발주방식은 발주자가 건축물의 요구성능만을 시공자에게 제시하여 시공자가 자유로이 재료, 기술, 공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발주방식으로, 공사의 입찰단계에서 확정되지 않은 부분의 시공방법 등에 대한 기술제안을 널리 모집 심사하여 경쟁참가대상을 결정한 후, 가격경쟁에 의해 낙찰자를 결정하는 방식의 기술제안형 입찰과 시설물 준공이후 일정기간 동안 미리 결정한 일정수준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시공자가 부담하는 성능보증계약제도의 상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성능체계의 미비, 발주자의 성능에 대한 무지가 성능발주방식의 활용 저해요인으로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ECRS기법을 사용하여 성능체계를 구축하고, 발주자의 편의를 위한 공동주택 성능표시 제도를 활용한 발주자용 요구성능 체크리스트를 제안한다. 요구성능 체크리스트는 발주자와 시공사의 의사소통수단으로 사용되며 일종의 증거자료로 계약 등의 프로젝트 절차 수행이 수월해진다.

  • PDF

점착형 복합 방수시트의 표준(안)제정을 위한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시험방법 개선 및 검증 평가 연구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ructural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Standard Establishment of Adhesive Composite Waterproofing Sheets)

  • 김수연;박종선;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7-386
    • /
    • 2021
  • 본 연구는 지난 2019년 4월에 대한건축학회 기술표준(AIK-S-001-2019)으로 제정된 복합열화 및 구조체 거동이 동시에 작용하는 환경에서의 방수층 성능 시험방법에 있어 일부 표준 내용 중 현장 시공성 반영 부족 문제와 표준 시공 방법으로서 오류 부분 등이 지적되면서 이를 보완해야 한다는 관련 업계, 시공사, 발주자(건설사) 등에서 의견이 제안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시험 항목인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시험방법에 있어 현장 시공성, 시험 결과의 정량화, 기타 개선 사항 등을 고찰하였다. 고찰된 내용을 이용하여 표준(안)으로 제정 중인 (가칭)점착형 복합 방수시트에 포함되어 진행하고 있는 구조물거동대응성능 시험방법에 표준 규격으로서 활용 가능성과 현장 시공성 반영 문제 등의 개선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검토된 내용을 반영하여 1차와 2차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개선(안) 및 성능평가 결과를 토대로 (가칭) 점착형 복합방수시트 제정(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고주파 아크 금속용사 장치의 시공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nstruction Efficiency of High-Frequency Arc Metal Spray Machine)

  • 장종민;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81-488
    • /
    • 2020
  • 아크 금속용사 공법을 활용한 EMP 차폐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사용되는 3종류의 금속용사 장치의 시공성능을 평가하였다. MS, KMS, HMS에서 용사금속의 부착량은 각각 58.32%, 64.66%, 87.62%로 나타났다. 또한, 1시간당 시공면적(㎡/h)은 MS가 14.3, KMS가 19.25, HMS가 22.16으로서 나타났으며, HMS공법의 경우 Φ1.6mm의 선재 사용, 용사면적 80mm 형성, 반선속도 18m/min 사용과 함께 금속용사 시공시의 비산량이 대폭 작아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시공성능 측면에서 HMS공법이 EMP차폐용 아크 금속용사공법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의 시공 중 구조성능 분석 (Analyses of Structural Performances for RC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Building under Construction)

  • 황영진;김재요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2015
  • 근래 국내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에는 철근콘크리트구조가 보편적으로 적용되는데,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은 시공 시점에 따라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중인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에 대하여, 시공 시점별 구조 안전성 및 횡력저항성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제 모델로 탑상형의 초고층 주상복합 60층 건물을 선정했고, 기존의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시공 시점별 10층, 20층, 30층, 40층, 50층, 60층 완료모델과 60층 완공단계 모델의 구조성능을 비교하였다. 구조성능 비교를 위해 이 모델들의 고유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횡력저항성능과 부재별 단면성능을 검토하였다. 횡력저항성능 검토를 위해 횡변위비와 층간변위비를 검토했고, 부재별 단면성능 검토는 완공단계에 대한 설계강도비와 시공단계의 설계강도비를 비교하여 부재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시공 중인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건물의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고 시공단계에 적합한 구조해석 및 설계하중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공이음부 계면처리방법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전단부착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ing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UHPC According to an Bonding Interface Treatment of the Construction Joint)

  • 장현오;김보석;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7-245
    • /
    • 2016
  • 시공이음부 발생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특성을 수반함과 동시에 전단부착성능에 대한 정량적인 계면처리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시공이음부의 부착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시공이음부 계면처리방법에 따른 전단부착성능 평가를 통하여 재료적인 측면에서의 합리적인 계면처리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초고성능 콘크리트 배합은 180MPa의 배합강도를 사용하였으며, 계면처리방법으로는 MN, AC, GR-10-0, GR-20-0, GR-30-0, SH-30-5, SH-30-10으로써 총 7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체는 $150{\times}150{\times}150mm$의 Size로 제작 후, 전단부착강도 평가를 위하여 Direct shear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시공이음부 접합면에 대해 계면처리를 실시한 경우 부착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접합부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일체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접합면 단면적의 비율 및 요철의 깊이, 개수 등이 적절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동주택 경량칸막이 벽체구성재 분류별 사용자 평가 및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User's Evaluation for Lightweight Panel in Apartment)

  • 박현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1-191
    • /
    • 2010
  • 최근 공동주택, 오피스 등 고층 초고층 건물의 경량화, 공간의 가변성, 시공의 용이성, 공기단축 등 설계, 시공상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변화된 건식부재로 벽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조적방식의 칸막이 벽체의 개선이나 건식 및 조립공법과 같은 새로운 경량칸막이 벽체 공법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공동주택 등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구조적 안전성이나 내구성 외에 거주성 및 환경성, 프라이버시 등의 추가성능 확보가 요구되면서, 벽체계획 시 제반 요구성능에 대한 종합적 분석 및 검토와 대안별 비교평가를 통한 적합공법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즉, 현장 및 건축물의 특성, 설계 및 시공 시 요구성능을 고려한 경량칸막이 벽체구성재의 분류와 성능평가를 통한 적정자재 및 공법선정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경량칸막이 벽체구성재의 시공현황을 조사하고, 벽체구성재 종류별 특성을 파악하여 분류한 후, 시공자 관점에서의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인공지반 녹화시스템 활용을 위한 일체형 방수·방근 시트의 성능평가 (Assessment of Evaluation by Hybrid Waterproof-Roof Barrier Layer for Green System on Artificial Ground)

  • 오창원;홍종철;박기봉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1-396
    • /
    • 2015
  • 도심지 건물의 증가는 친환경 공간에 대한 요구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녹화시공은 방수층, 방근층, 보호콘크리트 등과 같이 다양한 재료를 시공하므로 시공시간이 길고, 하자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녹화시스템 시공단계를 단축, 시공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녹화시스템에 사용하는 일체화된 방수 방근 하이브리드 시트의 물리적성능, 내구성, 방수성, 방근성을 평가함으로써 성능수준을 확인하고, 현장 적용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우수한 물리적 성능 및 내구성, 방수성, 방근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mock-up 시험을 수행하여 장기성능을 검증 중이다.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이음부 적정 시공안 제안을 위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Proposing Proper Construction Method for Joints of Polyurea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 이정훈;김병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7-8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시공 시차별 분석과 열화면에 대한 유지관리 시공 타입별 분석을 통해 시공 이음부위의 적정 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전체 16가지 조건을 대상으로 시공 이음부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시공시차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음부를 통한 누수발생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프라이머 시공을 통해 누수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시간 옥외 노출된 폴리우레아는 표면이 열화되어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부위를 연마할 경우 표면손상이 확대되어 계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지관리 시공 시에는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동일한 우레아 계열의 재료를 시공하는 것이 방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