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적 특성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 Scheme for supporting Content- and Concept-based Video Retrieval (내용 및 개념 기반 비디오 검색을 지원하는 시공간 표현 기법)

  • 심춘보;장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4-66
    • /
    • 2001
  • 비디오 데이터는 미디어의 특성상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객체의 위치가 변하는 움직임 객체(Moving Object)를 가지며, 움직임 객체를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트를 색인 및 검색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시공간 표현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데이터가 지니는 움직임 객체의 움직임 경로(Trajectory)를 효율적으로 모델링하고 사용자에게 빠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수 있는 근사 탐색(Approximation Search)이 가능한 새로운 시공간 표현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스케치한 움직임 경로를 토대로 검색을 수행하는 내용 기반 검색과 움직임 객체의 일련의 움직임 경로들과 움직임 경로가 일어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얻어진 개념(의미)을 이용한 개념 기반 검색을 지원한다.

  • PDF

Geovisualization Environment for Spatio-temporal Trajectory of Personal Activity (시공간 개인통행자료의 지리적 시각화)

  • Ahn Jae-Seong;Lee Yang-Won;Park Key-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3 s.108
    • /
    • pp.310-320
    • /
    • 2005
  • This study attempts at prototyping and evaluating a geovisualization tool that summarizes and explores human activity patterns using spatio-temporal trajectory data collected from GPS receiver. A set of core conceptualization developed in 'time geography' is successfully represented by our prototype based on the notion of 'space-time cube.' The notions of 'temporal dispersion cylinder' and 'parallel plane plot' are also implemented to allow funker analyses of human activity pattern on the space-time trajectory. The capabilities of the geovisualization environment we proposed include the interactive and dynamic functions that support a variety of explorations on the three components of spatio-temporal data : space(where), time(when), and object(what).

The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for wind power resources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풍력자원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 Lee, Hwa-Woon;Kim, Min-Jung;Kim, Dong-Hyeuk;Kim, Hyun-Goo;Lee, Soon-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331-332
    • /
    • 2008
  • Wind energy issued as most spotlight general energy by excellence of actuality as well as economical efficiency,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 which caused by creating the energy and possibility of eternal production. Accordingly, government is at the stage of corresponding level by requesting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to the developed countries as a part of national key industries. The grievous situation from such a rapid movement is meteorological comprehens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the problem of estimation exactness about the wind. In this study, we use the regional meteorological station data,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and QuikSCAT SeaWinds data.

  • PDF

Analysis of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spatiotemporal analysis of solar rad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GK2A (천리안2위성을 활용한 한반도 일사량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한 태양광 발전 효율 분석)

  • Hwang, Seunghyun;Baik, Jongjin;Kim, Hyeonjoon;Byun, Jongyun;Cha, Hoyoung;Jun,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7-457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면서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 중립 대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34년까지 총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25.8%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은 비교적 광범위한 부지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환경 및 지형적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만큼 발전 시설 부지 선정 및 운용 계획을 위한 면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 활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지상 관측 일사량 및 일조량 데이터는 상당히 제한적이며 관측 밀도가 조밀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위성의 후속으로 발사된 천리안2위성의 산출물인 일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반도 영역에서의 일사량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토지 피복 유형에 따른 태양광 발전의 효율 정도를 분석·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계측 지역 및 미계측 지역에서의 시공간적인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을 위한 관련 시설물들의 최적 설치 위치 및 규모 등에 대한 설계 기준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Impulse Propagation Model between Lanes through Temporal-Spatial Analysis (시공간적 분석을 통한 차로간 충격량 전파모형 개발)

  • Kim, Sang-Gu;Ryu, Ju-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3
    • /
    • pp.123-137
    • /
    • 2011
  • In general, flow propagation has been explained using the shock wave theory which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variations in volume and density. However, the theory has certain limitation in portraying heterogeneous flow, e.g., flow propagation between lanes. Motivated by this fact, this study seeks a new measure for analyzing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at three sections of highway (i.e., merging area, weaving section, and basic section) from temporal and spatial perspectives, and then develops a model for estimating the measure for the flow propagation. The "shock wave speed" which is the measure widely adopted in literature, was first applied to describ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but it was hard to find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propagation. This finding inspires to develop a new measure named "Impulse Volume". It is shown that the measure better explain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t the three study sections of highway. In addition, several models are also developed by performing multi-regression analyses to explain the flow propagation between lanes. The model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sections and the lane placement.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Ganjeol Point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한국 남동해 간절곶 주변해역의 열염구조와 시공간적 변동 특성)

  • Choo, Hyo-Sang;Jang, Duck-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5
    • /
    • pp.474-485
    • /
    • 2014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Ganjeol Point during January, April, August and November 2011 were studied using the data from CTD observations and temperature monitoring buoys deployed at 20 stations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nearly homogeneous through the whole depth by mixing of the seawater in spring and winter related to the sea surface cooling. Stratification induced by the river runoff and the bottom cold water was clear in summer. In autumn, sea water had vertical mixing initiated from surface layer and weak stratification at the middle and bottom layers. Low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emerged throughout the year near Ganjeol Point, which inferred from turbulent mixing and upwelling by its topographical effect. Major periods of 1/4~1.4 day temperature fluctuations were recorded for the most part of the stations. According to the cross spectral density analysis, high coherence and small time lag for temperature fluctuation between layers were shown at Ganjeol Point. However, those features at the northen area of Hoeya river were opposed to Ganjeol Point. From analyses, thermohaline structure and its fluctuation around Ganjeol Point were characterized into those three parts, the south of Ganjeol Point, Ganjeol Point and the north of Ganjeol Point.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for Non-degradable materials in Dongjin Watershed (동진강수계 난분해성 물질의 시공간적 거통 특성 분석 연구)

  • Kim, Se Min;Kim, kyung Oh;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4-424
    • /
    • 2019
  • 수질오염 저감을 위한 유기물질의 처리를 위해 생물학적 처리에 중점을 둔 하 폐수 처리시설의 증가에 따라 BOD로 대표되는 생분해성 유기물질은 꾸준히 감소하였으나, COD농도의 경우 뚜렷한 감소를 보이지 않고 있다. 유기물질 중 특히 난분해성 물질의 증가는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하천의 경우 조류 증식 등을 유발하고 여과공정에 영향을 미쳐 상수처리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등의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기존 BOD, COD로 대표되는 유기물질의 경우 각 유기물질별 상관관계 및 유출특성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조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동진강수계는 '새만금 제2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 등 장기적인 수질개선 대책들이 추진되면서 하천의 BOD5 및 TP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COD는 개선되지 않고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동진강의 말단부의 경우 COD/BOD5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난분해성 유기물질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COD 및 COD/BOD5의 증가 추세는 국내 4대강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추세로서, 정부는 2013년부터 하천 및 호소의 생활환경기준에 TOC 항목을 도입하여 2016년부터 호소환경기준의 대표항목을 COD에서 TOC로 대체하였으며, 폐수배출시설에 대해서도 점차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으로, 난분해성물질을 포함하는 총유기물질 관리를 위해서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 유기물질에 대한 환경기준을 BOD5와 COD에서 TOC로 변경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유역의 본류 및 지류에서 TOC등 유기물질의 시공간적인 분포와 오염원별 배출특성을 현장조사를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시기는 건기시, 강우시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일반수질항목, 유기물질 항목, 유기물질 성상 분석 등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난분해성물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확보를 통하여 새만금호의 수질개선 및 목표수질 달성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Traffic Crash Characteristics Using Spatio-temporal Analysis in GIS-T (GIS-T 환경에서 시공간분석을 이용한 교통사고 특성 비교 - 도로 폐쇄 전후비교를 중심으로-)

  • Kim, Ho-Yong;Baik, Ho-Jong;Kim, Ji-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2
    • /
    • pp.41-53
    • /
    • 2010
  • Traffic safety assessment is often accomplished by analyzing the number of crashes occurring in some geographic space over certain specific time dur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procedure that can efficiently analyze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traffic crashes before-and-after implementation of a certain traffic controlling measure. For the analysis, crash frequency data before-and-after closing a major highway around St. Louis in Missouri was collected through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TMS) database that is maintained by Missouri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oDOT). In order to identify any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in crashes, each crash is pinpointed on a map using the dynamic segmentation in GIS. Then, the identified pattern is statistically confirmed using an analysis of variance table. 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o easily assess spatial and temporal trend of crashes that are not readily attainable otherwis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possibly be applied in enhancing the highway safety assessment procedure. This paper also makes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data system in Korea which is similar to MoDOT's TMS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