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적 특성

Search Result 69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Analysis of Dynamic Wind Pressures Acting on a Tall Tower Model (고층 타워에 작용하는 동적 풍압력의 POD 방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특성 해석)

  • Yi, Mee-Hwa;Ham, Hee-Jung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4 no.B
    • /
    • pp.29-36
    • /
    • 2004
  • The wind and wind-induced dynamic wind pressures fluctuate irregularly according to time and space. In this study, the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POD) technique is applied to wind pressures acting on a tall tower model,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found: the along-wind and across-wind forces can be reconstructed by only four dominant POD modes, and the reconstructed errors are 4.71% and 22%, respectively for across-wind and along-wind directions. The physical meanings for dominant modes are also presented in the paper. The POD analysis can compress complex wind pressure data only by a few dominant modes and interpret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wind pressure by novel way while existing statistical methods do not have such benefits.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land price variation considering modifiable area unit problem (가변적 공간 단위의 문제를 고려한 지가 변동의 시공간 분석)

  • 오충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2
    • /
    • pp.185-199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itable spatio-temporal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zoning effect of spatial analysis termed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In former studies of spatio-temporal analysis, there were disagreement between attribute data with spatial data, because of vari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aggregating attribute data. It is need to consider how the analysis zone effect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urban region through land price variation analysis. This study considers MAUP through basic mesh system, which is composed of micro grid. Mesh system can solve disagreement of resolution between spatial data and attribute data.

  • PDF

The Analysis of Flickering Artifact of Multimedia Video in DMB Environment (DMB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화면 떨림 현상 분석)

  • Lim, Jong-Min;Kang, Dong-Wook;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1-114
    • /
    • 2009
  •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부호화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손실 부호화(lossy coding)이기 때문에 압축된 동영상에는 불가피하게 화질의 열화가 포함된다. 압축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압축을 하더라도 영상이 단순하고 움직임이 적은 경우에는 이러한 열화의 영향이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압축률이 너무 높거나 원본 영상에 포함된 움직임이 복잡하거나 공간적으로 세밀한 영역이 많은 경우에는 손실이 심하여 시각적으로 거슬리는 다양한 잡음이 발생한다. 화면 떨림(flickering)은 시간 영역에서의 대표적인 부호화 잡음으로서 프레임율(frame rate)이 너무 낮은 경우에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튀거나 부호화 비트율(bit rate)을 제어하기 위해서 양자화 파라미터를 변동하는 과정에서 연속되는 프레임들의 화질에 차이를 보이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DMB 환경에서 사용되는 주기적으로 I 프레임이 삽입되는 GOP(Group of Picture) 구조에서 화면 떨림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시공간적 특성에 따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화면 떨림 현상을 분석한다. 실험 영상으로서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보이며 H.264/AVC방식으로 부호화된 10개의 동영상을 선택하였으며, 양자화 파라미터를 낮은 화질의 영상에서부터 높은 화질의 영상까지 변화시키면서 화면 떨림 현상의 존재 여부 및 정도를 살펴보았다. 실험의 결과로 화면 떨림 현상은 영상의 화질이 너무 좋거나 너무 나쁘지 않은 중간 영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호화 잡음이며, 프레임 내의 세밀함의 정도, 움직임의 정도, 객체의 크기, 카메라의 움직임 등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 PDF

종로 귀금속 및 보석산업의 집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수연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9-133
    • /
    • 2003
  •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세계화에 따라 시공간적인 장벽을 초월하여 경제활동의 공간적 분산이 이루어지는 가운데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특정지역에 동일한 산업이 집중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식기반경제 시대의 도래로 지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지역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중략)

  • PDF

Spatial Analysis to Capture Person Environment Interactions through Spatio-Temporally Extended Topology (시공간적으로 확장된 토폴로지를 이용한 개인 환경간 상호작용 파악 공간 분석)

  • Lee, B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3
    • /
    • pp.426-439
    • /
    • 2012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ethod to capture the qualitative person spatial behavior. Beyond tracking or indexing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a person,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person and its environment are considered as the main source for the formal model of this study.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movement behavior of a person near the boundary of a region. To capture the behavior of person near the boundary of regions, a new formal approach for integrating an object's scope of influence is described. Such an object, a spatio-temporally extended point (STEP), is considered here by addressing its scope of influence as potential events or interactions area in conjunction with its location. The formalism presented is based on a topological data model and introduces a 12-intersection model to represent the topological relations between a region and the STEP in 2-dimension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TEP concept, a prototype analysis results are provided by using GPS tracking data in real world.

  • PDF

An Analysis on the Variation of Hydrometeorology due to Land Use Change in Urban Area (도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수문기상 변화 분석)

  • Ah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27-6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도시지역의 수문기상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토지이용의 변화로 인한 국지 수문기상의 변화를 모의하여 장기적인 변화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화로 인한 우리나라 강우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대안의 수립 및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상변화의 예측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한 모의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화의 영향 정도를 시공간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서울지역에 직접 적용 및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시화로 인한 기상수문학적인 인자의 시공간적 영향을 분석 및 일반화하고, 도시화에 따른 기상수문학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울 지역 장기 관측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기온, 습도, 강수량이 증가하며, 일조 시간 및 잠재증발량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기온이 증가하고 도시화의 특성에 따라 습도 증가 및 일조시간과 잠재증발량의 감소가 나타나며, 이것이 큰 폭의 강수량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토양수분과 실제증발량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내부증발 강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Applicability of Analysis Scheme for Spatio-Temporal Droughts Using Mass Moment Concept (질량모멘트 개념을 이용한 시공간적 가뭄해석기법의 적용성 분석)

  • Yoo, Ji Young;So, Byung Jin;Kim, Tae Woong;Kwon, Hyun 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0
    • /
    • pp.1069-1079
    • /
    • 2012
  • In this study, to analyze travelling route and transition characteristics which is a spatial time interpretation method now actively progressed in domestic as well as abroad, it was intended to develop new drought interpretation technique which can decide the centroid and orbit of drought through assuming ellipse using Mass Moment concept. First of all, after estimating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per different precipitation observatory station to extract drought events, by selecting precipitation sites where drought starting and end point are same, these were categorized as CASE. As a results, with various CASE selections falling in specific duration for monthly drought analysis, it is possible to find out drought area that additionally occurred, and drought reliving process could be confirmed more definitely. Therefore, if the research methods adopted in this study for drought monitoring are utilized, not only accurate spatio-temporal drought analysis is possible, also pattern of drought centroid movement can be analyzed by establish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spatial characteristics data after separating all the drought events that occurred sporadically in Korea Peninsula.

Time-Spatial Characteristics of Railroad Tour Package with Open Cave (관광동굴이 포함된 철도관광상품의 시공간적 특성)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5
    • /
    • pp.73-77
    • /
    • 2006
  • 운영중인 철도패키지 관광상품중 관광동굴이 포함된 철도관광상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모든 상품이 당일 또는 1박정도의 철도노선 주변에 위치한 자연관광자원과 주로 연계된 상품 특성을 보였다. 철도관광상품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보다 다양한 시장세분화가 요구되며 적극적인 홍보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키지 상품의 차별화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철도관광상품에 포함된 지자체의 경우 수요관광객에 대한 질적인 서비스 향상과 지역간 관광협력 네트워크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철도관광상품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에 대한 만족도와 경험하고자 하는 예비관광객에 대한 수요조사도 아울러 필요하다.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yields in the Soyang Dam upstream watershed (소양댐 상류유역의 유사 발생에 대한 시공간적 특성)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90-20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강 상류의 소양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K 모형을 적용하여, 토지이용별, 하도구간별, 월별 및 연별 유사 발생을 비교 검토하였다. 모형 보정과 검증을 거쳐 대상유역에 대해 유출과 유사 모의의 정성적, 정량적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로부터 대상유역에서의 시공간적인 유사량 자료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유사량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이용별 토양 유실량을 산정하고 기존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침식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개략적인 평가를 하였다. 댐 상류로부터의 유입 유사량의 발생 원인 지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모형으로부터 추정된 각 하도구간별 유사량을 오염원에 따라 점원, 비점원으로 구분하여 비교해 본 결과 비점원에 의한 영향이 99%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고랭지밭이 많이 분포한 자운천 상류유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상류 소유역에서의 유사량이 작게 나타났다. 월별 유사량 분석 결과, 소양댐으로 유입되는 총 유사량의 88%가 여름철인 $7{\sim}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 분석에서는 소양호의 고탁도가 문제가 되었던 2006년의 유사 발생이 다른 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