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밀집분석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해상교통망 구축을 위한 밀집분석과 GIS 알고리즘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정석;이철용;김학찬;조익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59-60
    • /
    • 2023
  • 현재 우리나라는 연안수역에 급증하는 해양시설물 설치사업에 따라 해상교통로를 보존하고 연안수역 해상교통망 수역을 기존에 구축된 지리정보 시스템(GIS)와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중에 있다. 이에 따라 Postgres SQL 기반의 PostGIS를 활용하여 해상교통 밀집분석을 시공간 형태로 구축 하였으며 표출 방법에 따라 최적의 해상교통로를 선정하고자 한다. 표출 방법은 등도수 분할을 활용하여 10개의 등급으로 구분한 후 상위 1개 등급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GI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좌표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수많은 격자 데이터와 벡터형태로 저장된 해상교통밀집 분석 결과는 폴리곤 결합, 폴리곤 부분 제거, 폴리곤 스무싱, 폴리곤 단순화를 활용하여 해상교통망을 구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dispersion coefficient method using a drone-based spatio-temporal hyperspectral image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기법 개발)

  • Gwon, Yeonghwa;Han, Eunjin;Kim, Dongsu;You, Hojun;Kim, Youngdo;Kwon, Siyoo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2-113
    • /
    • 2021
  •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유수의 흐름에 따라 이송되며 혼합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해석을 위해서는 확산 또는 분산계수 산정이 필요하다. 오염물질의 거동과 관련된 실험적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와 형광성 물질을 이용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추적자 실험은 많은 비용 및 인력을 요하며, 고정식으로 설치한 계측장비로부터 수집한 시계열 농도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공간적 분포에 대한 자료 취득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천의 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이동하는 입자의 관점에서 물리량을 표현하는 Lagrangian 방식보다 특정 위치에서 물리량 변화를 표현하는 Eulerian 방식이 적합하다. 그러나 드론을 활용한 하천원격탐사 연구의 대부분은 이동식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특정 시간에 공간적 분광특성의 분포 파악이 한정적이며, 동일 지점에서 분광특성의 시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면단위를 측정하는 이동식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천 모니터링에 적합한 Eulerian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촬영 플랫폼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하천에서 형광성물질인 Rhodamine WT를 이용하여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접촉식 센서를 활용한 농도측정과 동시에 드론과 초분광센서를 활용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영상을 획득하였다. 실험결과 도출된 전통적인 방식의 분산계수 산정과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을 비교하여 오염물질 거동 분석에 초분광영상 활용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 기법을 교량이나 기타 하천구조물에 초분광 센서를 설치하여 CCTV형식으로 활용할 경우, 공단이나 하·폐수 처리장 등의 점오염원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직접 설치하여 화학사고의 감지 및 오염물질의 유출 확인 및 조류, 부유사 등의 다양한 수질항목의 농도 변화 감지가 가능하고, 수심변화 감지로 장기적으로 활용할 경우 특정 지점에서의 하상변동 조사가 가능하다. 또한, 오염물질의 유출 사고 발생 등의 사람이 직접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 드론을 활용하여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오염물질 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IS Analyst of Fishing Fleet in the East Sea Derived from Nighttime Satellite Images in 1993 (1993년 야간위성영상에서 관측한 동해 어선분포의 GIS에 의한 분석)

  • 김상우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6
    • /
    • pp.812-818
    • /
    • 2002
  •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nighttime fishing fleet are descirbed with the aid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echnology in the East/Japan Sea, using daily mean composite images of the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DMSP) /Operational Linescan System(OLS) in 1993. We selected a study area from $30^{\circ} N to 44^{\circ} N in latitude and from 124^{\circ} E to 142^{\circ}$ E in longitude in order to describe the monthly and seasonal changes of nighttime fishing fleet. The GIS software package Image Analyst (ArcView 3) are used to analyz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fishing nut. And the OLS images of nighttime visible b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fishing nut. Density areas of nighttime fishing fleet are around Tsushima/korea Strait. the east coast of the Korea Peninsula, the coast of Honshu, and around Yamato Bank.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of One-Person Household - The Case of Busan City - (1인가구의 시공간적 분포 분석 - 부산시를 사례로 -)

  • Yoo, Chang-Ju;Nam, Kw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59-71
    • /
    • 2014
  • At present, Korean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pite of the reduction of total population. The increasement of one-person household has become a social and institutional issue. It is necessary to response socially and economically to not only changes of housing demand but also the disadvantaged classes such as the socially weak and single elderly household from the national level.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such as the increasing area, high-density area, and majority area) of one-person household with census data in the city of Busan. The clusters of one-person households were selected by focusing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by time series changes of 2000, 2005, and 2010 and considering their hous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olicy efficiency, the clusters of one-person households to be supported by priority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ensus data from 6066 output areas in the city of Busan. As a result, lots of one-person households of juniors were distributed around the university town, office facility, and station service area. Lots of one-person households at middle-aged class were distributed in Busan's original downtown and mountain-side road. Generalizing these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ne-person household dense area in Busan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is research should be utilized as a counterplan for increasing the housing demand of one-person household or basic data for supporting small housing supply policies in the future.

Changes in the Extreme Event of Local Downpour over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집중호우의 극치사상 특성 변화)

  • Son, Chan-Young;Park, Kyung-Mi;Kang, Hyun-Woon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8-418
    • /
    • 2015
  • 산업화로 인하여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경험하지 못한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한반도 역시 집중호우와 같은 극치수문사상으로 인해 매년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2010년 9월 21일 발생한 호우는 상대적으로 지역적인 편차가 큰 국지성 집중호우 형태로 인하여 국가기관시설이 밀집한 종로구 광화문 일대에 내수침수를 야기한바 있으며, 2011년 7월 26일 이후에 발생한 집중호우의 경우 연 강수량의 30% ~ 45%를 차지할 만큼의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서 우면산 산사태, 강남역 및 도림천 침수를 발생시킨 바 있다. 특히, 치수대책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도시개발과 여름철의 강우 집중화(연강우량의 약 70%) 때문에 수자원확보 및 수방대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보다 효율적인 이 치수 대책을 위해서는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집중호우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우분리기법을 적용하여 집중호우만을 추출하고 한반도 집중호우의 극치사상을 시공간적인 특성 및 변동 및 경향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 치수 대책을 고려한 도시계획 및 대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astal Eutrophication caused by Effluent from Aquaculture Ponds in Jeju (제주연안 육상양식장 밀집지역 주변해역의 영양염 과잉 요인)

  • Koh, Hyuk-Joon;Park, Sung-Eun;Cha, Hyung-Kee;Chang, Dae-Soo;Koo, Ju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4
    • /
    • pp.315-326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D, SPM, DIN, DIP, silicate, TN, TP, and chlorophyll-a) in the coastal area of Jeju, Korea, adjacent to aquaculture ponds (Aewol-ri, Haengwon-ri, Pyosun-ri, and Ilkwa-ri). Data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February 2010 to December 2011.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dentified three major factors controlling variations in water quality during the sampling period. Aquaculture effluent water led to large changes in nutrient levels. The highest nutrient values were observed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he relatively larg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t the sampling stations coupled with sea area runoff events during the summer rainy period. Variation in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mainly driven by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in the coastal areas of Aewol and Haengwon. In the coastal areas of Pyosun and Ilkwa, pollution was caused by anthropogenic factors such as discharge of aquaculture effluent water.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at the majority of the coastal stations indicate eutrophication of coastal waters, especially within a distance of 300 m and depth of 10m from drainage channels. Coastal eutrophication driven by aquaculture effluent may be harmful inshore. Events such as eutrophication may potentially influence water pollution in aquaculture ponds when seawater intake is detected because of aquaculture effluent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