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역전

Search Result 26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Based Face Detection and Pose Estimation (오류-역전파 신경망 기반의 얼굴 검출 및 포즈 추정)

  • Lee, Jae-Hoon;Jun, In-Ja;Lee, Jung-Hoon;Rhee, Phill-Kyu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6
    • /
    • pp.853-862
    • /
    • 2002
  • Face Detection can be defined as follows : Given a digitalized arbitrary or image sequence, the goal of face detection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y human face in the image, and if present, return its location, direction, size, and so on. This technique is based on many applications such face recognition facial expression, head gesture and so on, and is one of important qualify factors. But face in an given image is considerably difficult because facial expression, pose, facial size, light conditions and so on change the overall appearance of faces,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them rapidly and exactl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fast and exact face detection which overcomes some restrictions by using neural network. The proposed system can be face detection irrelevant to facial expression, background and pose rapidily. For this. face detection is performed by neural network and detection response time is shortened by reducing search region and decreasing calculation time of neural network. Reduced search region is accomplished by using skin color segment and frame difference. And neural network calculation time is decreased by reducing input vector sire of neural network.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can reduce the dimension of data. Also, pose estimates in extracted facial image and eye region is located. This result enables to us more informations about face. The experiment measured success rate and process time using the Squared Mahalanobis distance. Both of still images and sequence images was experimented and in case of skin color segment, the result shows different success rate whether or not camera setting. Pose estimation experiments was carried out under same conditions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glasses shows different result in eye region detection. The experiment results show satisfactory detection rate and process time for real time system.

A Neural Network Based Korean Segmental Duration Modeling Using Tonal Information of Phonemes (음소별 성조 정보를 이용한 신경망 기반의 한국어 음소 지속시간 모델링)

  • 김은경;이상호;오영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6
    • /
    • pp.84-88
    • /
    • 1999
  • The accurate estimation of segmental duration is crucial for natural-sounding text-to-speech synthesis. For predicting Korean segmental durations, conventional methods utilized phonemic context, part-of-speech context and locational information in prosodic phrase. In this paper, the tonal information of phonemes is employed for more accurate prediction. After defining two non-boundary tones and six boundary tones, we annotated the tonal label on each syllable of 400 sentences. To predict segmental duration using tonal information, we constructed neural networks with a real-valued output node predicting phonemic duration and trained them by backpropagation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features are effective for predicting Korean segmental durations, and we got 0.863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observed durations and predicted ones.

  • PDF

Decision of Rainfall Time Distribution Method for Storm Sewer Design (우수관로 계획시 확률강우량의 시간분포방법 선정)

  • Park, Jong Pyo;Kim, Mun Mo;Jo, Min Hyun;Lee, K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5-410
    • /
    • 2015
  •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하천 및 수공구조물 계획시 Huff 분포를 지배적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Huff 방법은 호우선정, 평균방법, 지속기간별 동일분포 가정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어 극치 호우사상을 적절히 모의하지 못하는 약점이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수공구조의 계획시 국내에서 주로 사용해 왔던 강우량 시간분포 방법인 Huff 방법이 과연 하수도시설물 계획시 적정한가를 평가하고 중소규모 배수(排水)시설물 설계시 합리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ABM 방법의 적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하수도시설물의 계획시 적정한 확률강우량의 시간분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지역은 삼척지역이며 기상청 산하 동해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삼척지역의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Huff 방법을 적용하여 시간분포하면 지속기간 2시간, 3시간 호우의 1시간 최대치의 경우 지속기간 1시간 최대치 보다 크게 산정된다. Huff 1분위의 경우 지속기간 1시간 호우는 55.3mm이나 지속기간 2시간, 3시간 호우의 1시간 최대치는 각각 61.8mm, 60.7mm 로 지속기간 1시간 호우보다 더 크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구간별 최다 강우량의 지속기간별 역전현상은 도달시간 1시간이내의 소유역이라 할지라도 지속기간 2, 3시간호우에서 첨두홍수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지속기간의 개념을 고려하여 빈도별 홍수시 ABM, Huff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ABM 방법의 경우 적용 유역 면적(0.1~2,000ha) 전체에서 지속기간이 길어지면 첨두홍수량 결과가 수렵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반면, Huff 방법의 경우 유역면적이 커짐에 따라 임계지속기간이 길어진다. 30년 빈도 홍수의 경우 유역면적 0.1~0.5ha 에서는 30분, 1~50ha 에서는 1시간, 80~300ha 에서는 2시간, 500~2,000ha 에서는 3시간이 임계지속기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규모 유역에서는 ABM과 Huff 방법의 홍수량 산정결과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하수도시설물 계획시 적용성이 높은 강우량 시간분포 방법은 유역의 연속성을 고려할 수 있는 ABM 24시간 호우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Genetic Algorithm Approach to Linear Threshold Neural Network Synthesis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선형 신경회로망 합성 방법)

  • 박주현;이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287-290
    • /
    • 1997
  • 신경회로망은 높은 정확도의 학습 결과를 제시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패턴 인식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경회로망의 설계에 있어 최적의 뉴런과 층의 개수, 그리고 그 연결 등의 기하학적 해답을 제시하기가 어렵고, 서은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도 오차가 없는 완벽한 학습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며, 상당히 많은 학습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선형 신경회로망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데, 이진 함수 최소화(binary function minimization)과정을 거친 minimal-sum-of-product(MSP)를 통해서 이진 클래스 패턴(binary class pattem)을 표현 함으로써 오차가 없는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학습에 필요한 패턴과 학습에 걸리는 시간도 대폭 줄일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형 신경회로망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여러 가지 예제를 통해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Traning Method of Wavelet Neural Network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Kyung-Ju;Choi, Yoon-Ho;Park, Jin-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197-2199
    • /
    • 2004
  • 시간 및 주파수 특성 분석이 용이한 웨이블릿 변환을 네트워크화 시킨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의 파라미터 학습 방법에는 오차 역전파 알고리듬 및 유선 알고리듬 등이 있으나 이러한 학습 방법들은 수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의 최적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학습방법으로 확장 칼만 필터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확장 칼만 필터 알고리듬은 복잡한 연산 과정에 불구하고 적은 학습 횟수로 빠른 수렴 특성을 가진다.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장 칼만 필터 학습 방법을 적용한 웨이블릿 신경 회로망을 혼돈 시스템 동정에 적용하여 경사 하강법을 사용한 기존의 신경 회로망에 비해 더 양호한 성능을 가짐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The Real-time Printed Alphabets Recogni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실시간 영문인쇄체 인식)

  • 심성균;정원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1.06a
    • /
    • pp.149-152
    • /
    • 2001
  • The goals of this papper are not only to maximize of performance but also to reduce the response time for the real-time printed alphabets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i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Genesis board and MIL(Matrox Image Library) package were used to real-time acquisition, processing and display of images. Through this experiment proved the possibility of real-time recognition processing by comparing response times of the system and proposing the method to reduce of order of the output vectors.

  • PDF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of Rank-Order Filter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Rank-Order 필터의 구현과 성능 평가)

  • Yoon, Sook;Park, Dong-S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6B
    • /
    • pp.794-80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rank-order 필터의 구현을 위해 세 가지 신경회로망의 구조를 제시하고 분석하며 용도를 제안한다. 첫 번째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2-입력 정렬기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계층적인 N-입력 정렬기를 구성한다. 두 번째로 입력 신호간의 상대적인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 패턴을 구성한 후 역전파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순방향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rank-order 필터를 구현한다. 세 번째로 신경회로망의 구조의 출력층에 외부 입력으로 순위 정보를 가지도록 하는 rank-order 필터를 순방향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안된 기술들에 대해 확장성, 구조의 복잡도와 시간 지연 등에서의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2-입력 정렬기를 이용하는 방식은 확장이 용이하고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나 입력 신호들의 정렬을 위해 신경회로망은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며 입력 신호의 수에 비례하는 반복 연산 후에 결과를 얻게 된다. 반면에, 순방향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rank-order 필터의 구현 방식은 이러한 반복 연산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줄일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 PDF

Effect of Higher Frequency of Pulse Current on Copper Microstructure (고주파수 펄스 전류가 구리 미세조직에 미치는 영향)

  • Park, Chae-Min;Lee, Hyo-Jong;Lee, Gy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9-159
    • /
    • 2015
  • 금속의 기계적 강화방법인 결정립미세화의 일종으로 미세한 쌍정을 도입하여 기계적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전기전도도는 감소시키지 않는 방안으로 nanotwin 구조의 Cu가 보고되고 있다. Nanotwin 구조는 FCC결정구조에서 특정 결정면을 [(111) mirror plane]을 기준으로 정합계면을 유지하면서 원자층의 배열이 역전되는 구조가 수~수십나노 수준의 간격으로 이뤄진 미세조직을 의미한다. 전해도금법을 이용한 nanotwin Cu의 형성방법으로는 pulse 파형을 사용하는데, pulse파형의 on time동안의 높은 전류밀도로 인해 발생한 도금층의 stress가 off time동안에 release되면서 nanotwin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Nanotwin형성 조건으로 보고된 pulse 도금 조건은 수에서 수십밀리초의 on time에 duty cycle($t_{on}/(t_{off}+t_{on})$)이 1/100~1/10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이중층의 이온고갈에 필요한 회복시간인 수에서 수십 밀리초 보다 짧은 시간인 마이크로 초($1{\mu}s$, $10{\mu}s$$100{\mu}s$)의 pulse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구리 도금층의 미세조직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ime-course Analysis of Biofilm Formation in Quorum Sensing-deficient Bacteria (Quorum sensing 결핍 세균에서 생물막 형성의 시간적 추이 분석)

  • Kim, Soo-Kyoung;Lee, Mi-Nan;Lee, Joon-Hee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0 no.2
    • /
    • pp.108-113
    • /
    • 2014
  • Pseudomonas aeruginosa and Vibrio vulnificus are Gram-negative human pathogens, which exert their virulence through quorum sensing (QS) regulation. The infection of these pathogens have been known to be mediated by biofilm formation in many cases a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time-course analysis of biofilm formation depending on the QS regulation in P. aeruginosa and V. vulnificus. In P. aeruginosa,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QS-deficient mutant better attached to surface at initial stage of biofilm formation, but poorly proceeded to the maturation of the biofilm structure, while wild type less attached at initial stage but developed highly structured biofilm at late stage. Because of this, the quantitative comparison of biofilm formation between wild type and the QS mutant showed the reversion; the QS mutant formed more biofilm until 10 h after inoculation than wild type, but wild type formed much more biofilm after 10 h than QS mutant. V. vulnificus has been reported to form more biofilm with the mutation on QS system. When we performed the same time-course analysis of the V. vulnificus biofilm formation, the reversion was not detected even with prolonged culture for 108 h and the QS mutant always forms more biofilm than wild typ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S regulation negatively affects the attachment at early stage but positively facilitates the biofilm maturation at late stage in P. aeruginosa, while the QS regul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biofilm formation throughout the biofilm development in V. vulnificus. Based on our results, we suggest that the developmental stage of biofilm and bacterial specie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QS system is targeted for biofilm control.

Effect of Steroid Hormones on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Aquaporin-4, -5 and -8 Genes in Mouse Uterine Endometrium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생쥐 자궁내막에서 Aquaporin-4, -5와 -8 유전자의 발현과 존재부위에 미치는 영향)

  • Kang, Soo-Man;Kang, Han-Seung;Gye, Myung-Chan;Shin, Hyeon-Sang;Lee, Ji-Won;Lee, Sung-Eun;Kim, Moon-Ky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1 no.2
    • /
    • pp.119-131
    • /
    • 2004
  • 연구 목적: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은 포유동물의 생식기관 발달과 정상적인 생식 기능, 수정과 배아의 착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에스트로젠은 자궁내액을 내강으로 분비하여 자궁부종 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궁내액은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과 착상전 배아의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Aquaporin (AQP)은 막관통 물수송 단백질로서 여러 조직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세포간 또는 상피세포간 물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자궁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자궁내액의 이동에 AQP 유전자가 관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생쥐에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피하주사하고 6, 12, 24시간 간격으로 자궁조직을 적출하였다. 대조군은 sesame oil만을 주사한 후 6시간째에 수획한 자궁조직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은 시간대별과 스테로이드 처리별로 채취한 자궁조직에서 역전사중합효소반응을 수행하였다. 역전사중합효소반응을 통해 막관통 단백질인 AQP-4, -5, -8 mRNA의 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mRNA의 위치를 살펴보기 위해 laser microdissection을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궁조직내에서의 단백질 발현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결 과: AQP-4, -5, -8 mRNA은 프로게스테론을 처리한 군보다 에스트로젠을 처리한 군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며, 에스트로젠을 주사한 지 6시간째 발현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할 때 AQP-4, -5, -8 mRNA가 각각 7.9배, 2.8배, 3.8배로 나타났다. AQP-4, -5, -8 mRNA는 간충조직보다 자궁내 상피조직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발현양상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로 에스트로젠의 영향을 받아 발현이 증가하였다. AQP-4 단백질은 에스트로젠을 24시간 처리한 후 프로게스테론을 처리한 군의 자궁내 상피조직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며, AQP-5와 -8 단백질은 에스트로젠을 처리한 군의 자궁내 상피조직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AQP-4, -5, -8은 주로 에스트로젠에 의해 자궁내 상피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에스트로젠의 영향하에 일어나는 자궁내액의 이동으로 인한 자궁부종기작에 이동통로로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