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효과

Search Result 14,286,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Improved Time Delay Difference Estimation for Target Tracking using Doppler Information (도플러 효과의 보상을 통한 시간지연 차의 추정)

  • 염석원;윤동헌;윤동욱;고한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8
    • /
    • pp.25-3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 쌍의 센서를 이용하여 미지의 수중 음향 신호의 시간지연의 차 (Time Delay Difference)를 추정하고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다루고 있다. 전형적인 시간지연 차의 최적화 추정 기법은 두 신호의 상관관계(Cross Correlation)에 의한 ML(Maximum likelihood)추정으로 구할 수 있지만, 실제 수중 음향 환경 하에서 시간 지연뿐만 아니라 표 적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도플러 효과로 신호의 주파수도 변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 주 파수의 올바른 고려 없이 단순히 두 신호의 시간지연만을 추정하는 방법은 불가피한 에러를 생성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시간지연의 차를 구하기 위한 준 최적화 기 법인 확률분포 함수의 Recursive Filter에 시간 지연 차와 도플러효과의 2차원 확률분포 함 수를 적용한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관측된 신호의 리샘플링(Resampling)을 통하여 도 플러 효과를 보상한 후 2차원 Conditional likelihood를 구하고 Projection과 Correction 과정 을 통하여 시간지연과 도플러 효과에 대한 사후확률을 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알고리즘을 가상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평가한다.

  • PDF

Determinants of Householdwork and child Care Time of Wives and Housbands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 허경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90-105
    • /
    • 1994
  • 본 연구의 기본적 취지는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자녀 양육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가사분담 및 육아시간 설명에 유용하게 쓰여온 다양한 관점의 이론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된 이론은 경제적 효율가설(Economic Efficiency), 수요 및 실행가능가설 (Demand/Response Capability), 성 역할관념가설(Sex-Role Ideology), 그리고 상대적 자원가설(Relative Resources)이다. 이 가설들로부터 유출된 대용변수들의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이 변수들은 임금률 부부간의 임금률 비율 노동시 장에서의 근로시간 어린자녀 수 성별에 따른 역할에 대한 사고관, 소득, 부부간의 상대적 소 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연령 가족형태, 인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는 1988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내의 인구 및 생태국(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실시한 전국 가족 및 가계조시(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이다.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 시간량을 설명하는 이론의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역할 관념가설을 부인과 남편모두의 가사 및 육아노동 시간을 잘 설명하는 가설로 나타났고 수요 및 실행가능성가설은 남편보다는 부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더 설득력있는 가설임이 밝혀졌다. 대체적으로 경제적 효율가설과 상대적 자원가설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요 및실행가능가설이 남편의 총가사시간을 설명하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남편의 여성중심형 과업시간에는 유의마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 PDF

Work, Care or Leisure? - The Effects of Gender and Education on Time Allocation of Full-time Working Parents (노동인가, 돌봄인가, 여가인가? -전일제 임노동자 맞벌이 부모의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영향과 학력의 조절효과-)

  • Joo, Euns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5 no.3
    • /
    • pp.5-34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ime allocation among paid work, child care and leisure of dual earner parents of pre-school child. The focuses of this study are time allocation of full-time dual earner parents which can be affected by traditional gender role ideology, and if the gender effects can be diminished or not. So the analysis were about gender effects in the time allo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ducation on gender eff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ypothesis are partly corroborated. Even though gender is not effective on paid working time(production time), it affects the time allocation for child care and leisure.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gaps in time share for child care(family time) and time share for leisure(private time). The education has moderating effects on gender effects. When education years getting longer, gender gap in child care time becomes narrow, however gender gap in leisure time becomes wide. Because the education is expected to cultivate the sense of value of child care, it can bring decrease of gender gap in care time. According to the result on leisure time share, the education is not expected to make changes in patriarchical gender role in terms of leisure and it doesn't contribute work and life balance.

The Trip Generation Models with Time-effects (시간효과를 반영한 통행발생모형 개발)

  • Kim, Sang-Rok;Kim, Jin-Hee;Kim, Hyung-Jin;Chung, Jin-Hy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1
    • /
    • pp.103-112
    • /
    • 2012
  • This research introduces a trip generation model reflecting time-series effects derived from a panel analysis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national household trip surveys conducted in 1996, 2002 and 2006. The existing methods are unable to reflect time-series effects from the change of socioeconomic conditions because the parameters applied to the model were basically from the base year of study - the parameter values were unchanged. This study proposes a new trip generation model developed through a panel analysis perform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last three national household trip survey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chool trips increases and that the number of shopping trips decreases as time pas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ime-series effects affecting in trip generation.

ROC curve and AUC for linear growth models (선형성장모형에 대한 ROC 곡선과 AUC)

  • Hong, Chong Sun;Yang, Dae S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no.6
    • /
    • pp.1367-1375
    • /
    • 2015
  • Consider the linear growth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analysis. Several kind of linear growth models are selected such as time-effect and random-effect models as well as a dummy variable included model. In this work, simulation data are generated with normality assumption, and both binormal ROC curve and AUC are obtained and compared for various linear growth models. It is found that ROC curves have different shapes and AUC increase slowly, as values of the covariance increase and the time passes for random-effect models. On the other hand, AUC increases very fast as values of covariance decrease. When the covariance has positive value, we explored that the variances of random-effect models increase and the increment of AUC is smaller than that of AUC for time-effect models. And the increment of AUC for time-effect models is larger than the increment for random-effect models.

Estimation of Peak Time and Peak Discharge Using Rational Method Considering Storage Effect (저류효과를 고려한 합리식의 첨두시간 및 첨두유량 산정)

  • Sung, Jeemi;Lee, Jinwook;Byun, Jongyun;Park, Kihong;Jun,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3-193
    • /
    • 2022
  • 소유역 내 첨두유량 산정 시 자주 활용되는 합리식은 유역 내 저류효과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저류효과를 고려하여 첨두시간과 첨두유량을 산정하게 되면 규모가 큰 유역에 합리식을 적용했을 때 발생 가능한 불확실성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즉, 합리식의 경우, 집중시간과 동일한 지속기간에서 첨두유량이 최대가 되지만 저류효과를 고려하는 경우, 집중시간보다 긴 지속기간에서 첨두유량이 최대가 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른 임계지속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 내 저류효과를 고려한 합리식을 제안하기 위해 집중시간과 다른 지속기간에도 적용 가능한 선형저수지 이론 기반의 수정합리식을 개발하였다. 특히, 가상 유역 및 실제 유역 내 개발된 수정합리식을 적용함으로써 지속기간과 집중시간 간의 차이에 따른 첨두시간 및 첨두유량의 변동 특성을 분석·평가하였다.

  • PDF

확률효과회귀모형을 이용한 공군 전투기 모듈의 동적 예방정비 주기 예측

  • Son, So-Yeong;Yun, Gy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927-932
    • /
    • 2005
  • 전투기를 적절히 정비하는 활동은 공군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일반적인 정비정책은 정해진 일정으로 주요 모듈의 정비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비활동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모듈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변동되는 평균 고장간 시간 (MTBF) 과 평균 수리 시간 (MTTR)을 산출할 수 있는 확률효과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모듈의 특성을 반영한 동적 예방정비 주기를 예측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 준비 태세 향상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se of High $CO_2$ Gas to Control Decay on Peach Fruits (복숭아의 부패 억제를 위한 고농도 탄산가스 처리 효과)

  • 최정희;정문철;임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7.1-137
    • /
    • 2003
  • 본 연구는 저장 중 부패된 복숭아(‘황도’)에서 Botrytis cinerea를 분리한 후 $25^{\circ}C$에서 배양 중 고농도 탄산가스 (35, 60, 100% + 24, 48, 72시간) 환경에서의 생장억제 효과를 구명하고 이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고찰하였다. 실시한 모든 처리 농도에서 곰팡이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가스 농도 및 처리 시간의 증가에 의해 효과가 극대화되었다. 특히, 100% 탄산가스를 24, 48, 72시간 처리할 경우 5일 배양 후 곰팡이의 생장 정도는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 25, 39, 46% 감소되었다. 고농도 탄산가스 처리 기간 동안 곰팡이 성장은 억제되었고 가스 환경이 제거될 경우 정상적인 생장을 재개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확된 ‘황도’ 과실을 대상으로 가스처리 효과를 검증한 결과 100% + 24, 48시간, 60% + 48시간 처리가 부패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5% 농도의 경우 효과가 미미하였다. 가스 처리에 따른 과실의 당도 변화는 없었으며 100% + 48시간 처리의 경우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 PDF

Analysing the Effect of Parking Information using the Micro Simulation Method (주차정보 제공에 따른 주차대기시간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미시적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 김은경;노정현;김강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5
    • /
    • pp.19-2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parking information on the waiting time using the simulation method. Stated Preference survey has been implemented to construct the parking lot choice model. A queue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parking information on the waiting time. The results show that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is likely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parking place and to decease the waiting time of individual vehicle. Furthermore, as the parking demand increases, the detailed and quantitative parking information such as "5 minutes delay" is more effective than qualitative parking information such as "available".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mpulse of Korean Adolescents: Weekday/Weekend Sleep Duration Effects and Gender Difference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자살충동 - 평일/주말 수면시간 효과에 대한 성별 분석)

  • Kim, Kyungmi;Youm, Yoo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2
    • /
    • pp.314-325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leep duration on Korean adolescents' suicidal impulse. A gender-base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ekday sleep du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male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who sleep less than seven hours on a weekday a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al impulse by 1.9 times higher than the others. This effect remained significant even when other relevant variables wer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who have less than seven hours of sleep on a weekday have about 1.3 times higher chances to experience suicidal impulse. However, this effect became insignificant when other variables such as stress were controlled. Meanwhile, weekend sleep dura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By demonstrating the different effects between weekday/weekend sleep duration and male/female adolescents, this study supports the claim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social approach in studying sleep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