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혼성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gradation of Pesticides in Wastewater Using Plasma Process Coupled with Photocatalyst (광촉매를 병합한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한 폐수에 함유된 살충제 분해)

  • Jang, Doo Il;Kim, Kil-Seong;Hyun, Young Ji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4 no.1
    • /
    • pp.87-92
    • /
    • 2013
  • Nonthermal plasma hybridized with photocatalysts is proven to be an effective tool to degrade toxic organics in wastewater. In this study, a specially designe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system combined with photocatalysts was applied to decompose pestiticides such as dichlorovos, carbofuran and methidathon,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golf courses and the orange plantations. The degradations of the pesticides in single and coupled systems were evaluated. The single system was used with ozone plasma which consisted of electrons, radicals, ions produced by oxygen gas and air, with and without ultra-violet (UV) irradiation, respectively. The coupled systems utilized the air-derived ozone plasma combined with zinc oxide, titanium dioxide and graphite oxide photocatalyst activated by UV. The graphite oxide was synthesized by a modified Hummer's method and characterized using FTIR spectrometer. It was elucidated that the plasma reaction with graphite oxide (0.01 g/L) brought about almost 100% of degradation degrees for dichlorovos and carbofuran in 60 min, as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s showed by no catalyst condition. The photocatalyst-hybridized plasma in the presence of UV irradiation was proven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degrading pesticides.

Therm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Upper Arm Hybrid Structure of Lightweight Pantograph Considering Heat Source by Collecting Current (집전전류에 의한 열원을 고려한 경량 판토그래프 상부암 혼성구조체의 열 특성 분석 연구)

  • Park, Chan-Bae;Jeong, Geo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4
    • /
    • pp.466-473
    • /
    • 2017
  • Recently, domestic railway related institutes are developing pantographs for high speed trains; to lighten the upper arm, this device has a composite structure of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aluminum instead of conventional steel. In the case of KTX-Sancheon, the pantograph must have a large current capacity because this system is of power-car type, supplying all necessary power for the train through a single pantograph. If the thickness of the pipe is arbitrarily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urrent carrying capacity, without analyzing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aluminum pipe,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upper arm may cause degrada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paper, using the thermal analysis technique, we analyze the temperature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aluminum pipe of the upper arm over time, while receiving power at the stationary state of the KTX-Sancheon; we als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aluminum pipe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ed pantograph flow capacity.

An optimum design of a ship based on numeric and knowledge processing (지식처리기법에 의한 선박의 주요 치수 최적화)

  • Kim, Soo-Young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1 no.4
    • /
    • pp.227-238
    • /
    • 1997
  • 다목적함수 최적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유전자 알고리즘과 직접탐색법을 결합하여 혼성형 최적화기법을 구현하였다. 이 방법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점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탐색한 후, 이 영역에서 직접탐색법을 사용하여 최종해를 찾는다. 따라서 탐색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계산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적화기법이 효율적이지만, 최적화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제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전문지식과 최적화기법이 효율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21세기에 산다 - 초고속 교통시대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4 s.359
    • /
    • pp.20-22
    • /
    • 1999
  • 2015년에는 서울-LA를 5시간에 비행할 수 있는 초고속 여객기가 등장한다. NASA가 계획중인 하이퍼-X계획은 지상 3만m고도에서 현재의 제트여객기보다 11배 빠른 여객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성공만 한다면 서울-뉴욕을 한시간에 날아갈 수 있게 된다. 21세기 중반에는 공항에 내린 여객기들이 터널을 통해 도심터널까지 들어가서 승객을 내려준다. 또한 2020년엔 모두 수소에너지를 사용하는 혼성차가 나오고 초전도 전자추진기술을 이용한 대형 화물잠수함도 등장하게 된다.

  • PDF

An Efficient BIST for Mixed Signal Circuits (혼성 신호 회로에 대한 효과적인 BIST)

  • Bang, Geum-Hwan;Gang, S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9 no.8
    • /
    • pp.24-33
    • /
    • 2002
  • For mixed signal circuits that integrate both analog and digital blocks onto the same chip, testing the mixed circuits has become the bottleneck. Since most of mixed signal circuits are functionally tested, mixed signal testing needs expensive automatic test equipments for test input generation and response acquisition. In this paper, a new efficient BIST is developed which can be used for mixed signal circuits. In the new BIST, only faults on embedded resistances, capacitances and its combinations are considere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chips, the new BIST performs both voltage testing and phase testing. Using these two testing modes, all the faults are detected. In order to support this technique, the voltage detector and the phase detector are developed.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e efficiency of the new BIST.

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of Myoblasts: Molecular Cloning of differentiation related Genes in the Chick Embryonic Myoblasts by Differential Hybridization. (근세포 분화에 관한 연구: 차별 혼성화 스크리닝법에 의한 근원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클로닝)

  • 강봉석;장세헌유병제양재섭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240-248
    • /
    • 1994
  • 골격근 세포는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로부터 신장과 융합을 거쳐 다핵 횡문근섬유로 분화되어 가며 동시에 근특이 유전자의 발현이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계배 배양 근원세포의 분화동안 유전자 발현 조절 양상에 대한 연구를 위해, 계배 근원세포를 72시간 배양한 근섬유로부터 C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이 cDNA 라이브러리를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배양 36시간)와 분화된 다핵 근섬유(배양 72시간)의 poly(A)+ RNA 주형에서 합성된 [32P〕cDNA를 Probe로 사용한 differential plaque hybridization 방법으로 스크리닝하였다 분화된 다핵 근섬유 CDNA probe에 강한게 흔성화되는 CDNA clone을 선별하여 클로닝하였다. 선별한 CDNA clone 들 중 하나는 약 1.3 Kb 크기의 삽입절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CDNA를 probe로 사용하여 northern blotting 한 결과, 이 CDNA엑 대한 유전자는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에서 분화된 다핵 근섬유로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유전자 산물인 RNA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1.3 Kb CDNA에 대한 RNA의 크기는 약 2 7 Kb로 확인되었다.

  • PDF

A Design of Profile Based Generational Garbage Collector in Java (자바에서 프로파일에 기초한 세대기반 가비지 콜렉터 설계)

  • 김일부호;오세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88-390
    • /
    • 1999
  • 자바는 자동 메로리 회수(garbage collection) 방식을 채택한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자바 가상머신(JVM)이 설치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현재 자바에서 사용되는 가비지 콜렉터는 휴지(pause) 시간이 상당히 길어 짧은 응답시간을 요구하는 서버 및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에는 적합하지 않은 표시-압축 기법을 사용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바 HotSpotTM 성능 엔진에서 세대기반(generational) 복사 기법에 기반을 둔 혼성(hybrid) 가비지 콜렉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당히 큰 오버헤드를 보이고 있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특성을 수용하기에는 개선의 여지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세대기반 기법을 기반으로, 자바와 자바 가상머신이 가진 특성들과 실행시간 객체의 타입 및 스택 정보를 이용하는 가비지 콜렉터를 설계한다. 또한, 힙 프로파일 분석기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한 메모리 구조를 분석하고, 가비지 콜렉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Regional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to pulp chamber dentin (치수강 상아질에 대한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 Lee, Sang-Hyuk;Choi, Gi-Woon;Choi, Kyoung-Kyu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9 no.1
    • /
    • pp.13-22
    • /
    • 2004
  • 본 연구는 치수강 상아질 부위 및 상아질 접착제 종류에 따른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시행되었다 45개의 대구치를 포매 후, 대조군에서는 교합면 법랑질 제거 후 #600 SiC paper까지 순차연마하여 상아질을 노출시켰고, 실험군에서는 치수강 개방 후 1시간동안 NaOCl에 보관 후 axial wall과 pulpal floor를 노출시켰다. 노출된 상아질 면에 상아질 접착제를 적용한 후 Z-100을 충전한 다음 40초간 광중합하였다. 사용된 상아질 접착제는 Scotchbond Multi-Purpose와 Single Bond, Clearfil SE Bond였다.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보관 후, 저속 diamond saw를 이용하여 0.7mm 두께로 수직절단하고 고속 diamond point(#104)로 단면적 $1{mm}^2$가 되도록 시편을 제작하고,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1. 모든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강도는 대조군, axial wall군, pulpal floor군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대조군에서 SM과 BB는 SE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3. SM과 SB는 대조군에 비해 axial wall군과 pulpal floor군에서 유의성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나, SE에서는 pulpal floor군만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4. Axial wall군과 pulpal floor군에서는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5. 전자현미경 소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axial wall군과 pulpal floor군이 더 부드러운 접착 계면을 나타내었다. 혼성층의 두께는 결합강도의 감소와는 관련이 없었다.

Numerical Simulation of Dynamic Response of Seabed and Structure due to the Interaction among Seabed, Composite Breakwater and Irregular Waves (II) (불규칙파-해저지반-혼성방파제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반과 구조물의 동적응답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 (II))

  • Lee, Kwang-Ho;Baek, Dong-Jin;Kim, Do-Sam;Kim, Tae-Hyung;Bae, Ki-S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3
    • /
    • pp.174-183
    • /
    • 2014
  • Seabed beneath and near coastal structures may undergo large excess pore water pressure composed of oscillatory and residual components in the case of long durations of high wave loading. This excess pore water pressure may reduce effective stress and, consequently, the seabed may liquefy. If liquefaction occurs in the seabed, the structure may sink, overturn, and eventually increase the failure potential.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liquefaction potential on the seabed,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expanded 2-dimensional numerical wave tank to account for an irregular wave field. In the condition of an irregular wave field, the dynamic wave pressure and water flow velocity acting on the seabed and the surface boundary of the composite breakwater structure were estimated. Simulation results were used as input data in a finite element computer program for elastoplastic seabed response. Simulations evaluated the time and spatial variations in excess pore water pressure, effective stress, and liquefaction potential in the seabed. Additionally, the deformation of the seabed and the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as a function of time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iquefaction potential at the seabed in front and rear of the composite breakwater was identified. Since the liquefied seabed particles have no resistance to force, scour potential could increase on the seabed. In addition, the strength decrease of the seabed due to the liquefaction can increase the structural motion an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tability of the composite breakwater. Due to limitations of allowable paper length, the studied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portions; (I) focusing on the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 acceleration, deformation of seabed, and (II) focusing on the time variation in excess pore water pressure, liquefaction, effective stress path in the seabed. This paper corresponds to (II).